최근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캄보디아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문 목적의 유학생, 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을 꾸리려는 여성, 캄보디아의 한국 기업이나 한국에서의 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45895
서울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2015. 8
2015
한국어
41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Korean proverbs for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viii, 115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이정희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82-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캄보디아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문 목적의 유학생, 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을 꾸리려는 여성, 캄보디아의 한국 기업이나 한국에서의 취...
최근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캄보디아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문 목적의 유학생, 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을 꾸리려는 여성, 캄보디아의 한국 기업이나 한국에서의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근로자, 아직 꺼지지 않은 한류 열풍에 K-Drama와 K-POP을 생생하게 느끼고 싶어하는 젊은이까지, 캄보디아인 사이에서 한국어 교수-학습의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고 그만큼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차별화된 학습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학습 방안의 한 방법으로 속담을 활용하는 것은 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속담은 한 나라의 문화가 가장 잘 녹아있는 언어의 한 형태이며 그 문화를 들여다보는 거울이 된다. 또한, 언어를 배우는 것은 그 언어권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고 문화라는 것은 언어 속에서 창조된다. 즉, 속담과 문화, 속담과 언어, 언어와 문화는 서로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속담을 통하여 언어를 교수-학습하는 것은 그 문화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더 빨리 습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속담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더욱 쉽게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더욱 빨리 한국 생활에 적응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이 된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최적의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여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각 장의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며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언어와 문화, 한국어 교육과 속담에 관해 서술하였다. 언어와 문화에서는 제2 언어를 교수-학습하는 데에 있어 문화의 중요성과 제2 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그 언어권의 문화적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2 언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논의하였다. 한국어 교육과 속담에서는 속담의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의 교육적 가치와 학습자 수준별 속담 교육의 초점을 짚어봄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이 되는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 선정의 기본적 이론을 마련하는 장이 되었다.
제3장에서는 양국 속담 현황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한국 속담의 경우 한국어 교재, 한국어 평가, 한국 속담 전문가와 서적의 한국 속담 전문, 이 세 가지 측면에서 교육용 한국 속담 현황을 살펴보았다. 캄보디아 속담의 경우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배경 지식으로써 작용할 수 있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화되는 속담이 필요하므로 캄보디아인이 자주 사용하는 속담 현황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캄보디아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실생활에서의 사용 빈도수가 높은 속담을 조사한 것이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선정한 양국의 속담을 중심으로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속담의 비교·분석은 어휘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고려하였는데 어휘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 포함되지 않는 상태 묘사의 범주까지 포함하여 7개의 범주- (1) 동물, (2) 사람, (3) 말(言), (4) 의식주(衣食住), (5) 자연·날씨, (6) 기타 정신문화, (7) 상태 묘사-로 구분하였다. 각 범주에서는 해당하는 양국의 속담을 나열하고 양국 속담의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본 장에서 분석한 양국 속담의 유사성은 제5장에서 활용하였는데 캄보디아인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는 요소로 반영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이 되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속담의 기본 목록은 제3장 한국 속담 현황에서 제시한 속담으로 한국어 교재, 한국어 평가, 한국 속담 전문에서 거론되었던 속담이다. 여기에 1) 어휘 및 문형의 난이도, 2) 캄보디아 특수성을 반영하였는데 어휘 및 문형의 난이도에서 정한 기본 난이도를 캄보디아 특수성의 각 요소에 의해 조정하였다. 캄보디아 특수성은 세 가지 요소-제4장에서 도출한 양국 속담의 유사성, 캄보디아인 학습자 속담 인식 난이도, 캄보디아 문화를 경험한 한국인의 추천도-를 반영하였다. 속담은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단계별로 제시하였고 해당 단계에서 교수-학습이 반드시 필요한 교육 ‘필수 속담’과 교육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용’ 속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해용 속담은 학습자의 능력이나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다.
이렇게 선정한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은 제5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캄보디아인을 위한 특수성을 반영한 것으로 타 언어권 학습자보다는 캄보디아인 학습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속담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 통하여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수-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의사소통에 있어서 자연스럽고 재치있고 세련된 표현을 구사하고 한국과 한국인, 한국 문화를 편견 없이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the number of Cambodians who desire to learn Korean is steadily increasing. Including students who study for scholarly attaintment, women who wish to form multi-cultural families, laborers who desire to have jobs in Korea or Korean companies...
Nowadays, the number of Cambodians who desire to learn Korean is steadily increasing. Including students who study for scholarly attaintment, women who wish to form multi-cultural families, laborers who desire to have jobs in Korea or Korean companies in Cambodia, and teenagers who are interested in K-Drama and K-POP, lots of people in Cambodia feel the need to learn Korean. Therefore,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learning strategies are required for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One method of these strategies is learning through proverbs, which can be a very effective way of acquiring a new language.
A proverb is one form of a languag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e. And it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culture of the country. In addition, learning a language is in fact learning the culture of the country, and the culture i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language. In other words, proverbs, culture and language are clos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acquiring a language through proverbs is not only an effective way of learning the culture but also a more successful method of studying the language. Therefore, learning Korean through Korean proverbs is the effective approach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language easily and adapt to the lif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most efficient educational list of Korean proverbs for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different levels.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the followings. In chapter on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suggested, the previous studies are researched, and the method of the research is introduced.
In chapter two, som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erbs are stated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language and culture’ part, the importance of culture in studying the second language and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background information o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re discu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erbs’ section, the definition and features of proverbs are stated. And the educational Korean proverbs are stated b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value of proverbs and the proverbs education in different levels.
In chapter three, some proverbs from both countries are introduced. First, Korean educational proverbs are introduced in three aspects; Korean textbooks, Korean evaluation, and Korean proverbs experts & proverbs in publications. Next, some frequently used Cambodian proverbs are suggested since they would work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real life situations. And these proverbs were se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Cambodian citizens answered.
In chapter four,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roverbs from both countries that are suggested in chapter three are analyzed. The analysis considered the aspect of vocabulary an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e proverbs a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including proverbs that are not related in vocabulary or content aspect; (1) animals (2) human (3) utterance (4) food, clothing and shelter (5) nature, weather (6) moral culture (7) state description. In each category, relevant proverbs from both countries are listed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analyzed.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proverbs are used in chapter five to select the list of Korean proverbs for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In chapter five, the list of Korean proverbs for different levels of Cambodian learners is suggested, which most of the proverbs are discussed in chapter three, the current Korean proverbs. And the two aspects, (1) the difficulty levels of vocabulary and sentences, (2) the characteristics of Cambodia; similarities of two countries proverbs, Cambodian learners’ recognition degree about the proverbs, the opinions of the Koreans who experienced Cambodian culture are reflected. The proverbs are suggested step by step, considering the abilities of the learners. In this process, proverbs are distinguished into two parts; ‘essential proverbs’ that are required to study definitely and ‘selective proverbs’ that are less important ones comparatively and can be chose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abilities of the learners.
The proverbs selected by this process would be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Cambodian learners than other people from different language groups because Cambodian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Hopefully,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would become more fluent in communication in Korean by using witty and polished style of speech,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Korea without any prejudice through this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