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자유도시로서의 제주도는 관문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제주공항을 유일한 공항으로 가지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광객의 증가로 인하여 2018년에 포화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72543
2015
-
제주도 ; 제주공항 ; 제주 신공항 ; 국제자유도시 ; Jeju Island ; Jeju Airport ; Jeju New Airport ; International Free City
320
KCI등재
학술저널
185-198(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제자유도시로서의 제주도는 관문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제주공항을 유일한 공항으로 가지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광객의 증가로 인하여 2018년에 포화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
국제자유도시로서의 제주도는 관문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제주공항을 유일한 공항으로 가지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광객의 증가로 인하여 2018년에 포화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시기적으로 늦었다는
인식도 있지만 제주 신공항 건설에 대한 논의가 제주도에서 본격화되고 있다.
현재 제주도는 제주공항을 그대로 존속시키고 제주 신공항을 복합관광지 기능에 치중하여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민자도 적극적으로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공항과 제주
신공항의 기능이나 역할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고 제주공항을 존속시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제주 신공항 건
설의 당위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제주공항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공급기반의 시각, 관광객니즈, 국제자유도시, 해외관
광마케팅의 차원에서 제주 신공항의 필요성과 그 당위성을 모색함으로써 제주 신공항건설의 조속한 추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그 연구목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ju island, as an International free city, has only Jeju Airport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gateway, but it is predicted that the airport will reach saturated condition of supply capacity in 2018 due to tourists have increased consistently. So a ...
Jeju island, as an International free city, has only Jeju Airport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gateway, but it is
predicted that the airport will reach saturated condition of supply capacity in 2018 due to tourists have increased
consistently. So a plan for building Jeju new airport has been discussed in earnest even there is a perception that
is late.
Now Jeju local authority has established the plan which maintains the JeJu Airport and construct Jeju new airport
as air city having multiple functions and for this consider attracting private capital.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view both functions and roles of Jeju Airport and Jeju new airport and also, we need to discuss about
appropriateness of building Jeju new airport under a precondition which Jeju keeps Jeju airpor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rapid construction of Jeju new airport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ituations of Jeju airport and finding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Jeju new airport in a dimension
of supply based-view, tourist needs, international free city and overseas tourism market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희, "해남도 관광실태분석과 제주국제자유도시의 발전방안" 3 (3): 92-, 2012
2 건설교통부, "항공인프라구축" 2014
3 박병호, "청주국제공항과 연계한 지역개발 전략" 24 (24): 101-122, 2005
4 김제철,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방안" 1-168, 2001
5 이성용,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 왜 시급한가?" 186 : 3-15, 2014
6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요약보고서" 47-48, 2009
7 최석범, "제주 신공항의 전략적 접근, 제주도의선택" 9-22, 2014
8 홍석진, "제주 신공항과 민영화에 대한 이슈" 27 : 2-10, 2008
9 이성용, "제주 신공항건설을 위한 대응전략" 117 : 3-19, 2011
10 양영오, "제주 신공항 우선 건설후, 호남-제주 해저고속철도의 신증한 검토 이유" JDI 3-23, 2012
1 박정희, "해남도 관광실태분석과 제주국제자유도시의 발전방안" 3 (3): 92-, 2012
2 건설교통부, "항공인프라구축" 2014
3 박병호, "청주국제공항과 연계한 지역개발 전략" 24 (24): 101-122, 2005
4 김제철,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방안" 1-168, 2001
5 이성용,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 왜 시급한가?" 186 : 3-15, 2014
6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요약보고서" 47-48, 2009
7 최석범, "제주 신공항의 전략적 접근, 제주도의선택" 9-22, 2014
8 홍석진, "제주 신공항과 민영화에 대한 이슈" 27 : 2-10, 2008
9 이성용, "제주 신공항건설을 위한 대응전략" 117 : 3-19, 2011
10 양영오, "제주 신공항 우선 건설후, 호남-제주 해저고속철도의 신증한 검토 이유" JDI 3-23, 2012
11 최석범, "제주 신공항 건설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1 (1): 31-56, 2010
12 최석범, "제주 신공항 건설과 운영방안" 9-42, 2010
1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공항 개발구상 연구" 130-133, 2012
14 국토해양부,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 (2011-2015)" 2011
15 제주특별자치도,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121-, 2011
16 제주특별자치도, "제258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임시회"
17 김호천, "원희룡 제주지사 “복합관광지 겸한 신공항건설해야”."
18 박성우, "신공항건설되더라도, 현제주공항은 존치돼야"
19 홍석진, "무안국제공항의 전략적 발전 방안" 2004
20 허종,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방안" 무안시 2004
21 홍석진, "대구국제공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4 (24): 7-19, 2006
22 홍석진, "대구국제공항 활성화 방안" 1-94, 2005
23 IATA, "World Air Transport Statistics" 2013
다단계 생산과정에서 손익분기분석 기반의 경제적 제조,구매 의사결정
인도네시아 물류산업의 현황과 한국물류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다단계 생산과정에서 손익분기분석 기반의 경제적 제조⋅구매 의사결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9 | 1.114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