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약한 민족주의, 강한 실리주의’: 젊은 세대 낮은 통일의식의 원인과 시사점 = ‘Weak Nationalism, Strong Practicalism’: The Causes and implications of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Korean Unification of South Korean Young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11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unification, which is clearly mentioned in Republic of Korea Constitution, is one of the national tasks of great significance. Therefore in South Korea, national unification is an indisputable sovereign project. However, as the division of Sout...

      Korean unification, which is clearly mentioned in Republic of Korea Constitution, is one of the national tasks of great significance. Therefore in South Korea, national unification is an indisputable sovereign project. However, as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has lasted more than 60 years, South Korean negative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have increased gradually. Especially the South Korean young generation shows low approval rating of unification. They do not perceive national unification as a normative duty, but weigh the gains and losses of national unification. In short, regarding national unification, their perception of unification shows ‘weak nationalism, strong practicalism.’ There are four major reasons for such attitudes: 1) skepticism about the necessity of national unification; 2) inadequacies of unification education; 3) dissatisfaction with both the North Korea policy and the unification policy of South Korean government; 4) antagonism against North Korea. Now it is time for South Korean government to stop the cramming method of unification teaching so that young generation may develop perceptive argument about national unification. They can make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need of national unification when they learn what benefits it brings to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통일은 대한민국의 헌법에 명시된 민족적, 국가적 과제이다. 통일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고, 이 ...

      통일은 대한민국의 헌법에 명시된 민족적, 국가적 과제이다. 통일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고, 이 변화의 바람은 젊은 세대에서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젊은 세대는 통일을 당위성의 차원에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도구적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한 마디로 ‘낮은 민족주의, 강한 실리주의’의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세대별 통일의식을 비교하고, 젊은 세대에서 통일의식이 낮게 나타나는 이유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짚어보는 것은 향후 세대별로 적합한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나아가 남북한 주민통합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된다.
      젊은 세대의 통일의식이 낮은 이유로는 통일 당위성에 대한 회의적인 인식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통일교육의 부재, 대북정책과 통일정책에 대한 낮은 만족도,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들 수 있다. 이제 통일 당위성을 주입하는 통일교육 방식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젊은이들이 통일을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할 때이다. 통일의 민족사적 당위성에 더하여 통일이 어떤 이득을 가져다줄 것인지를 현실적으로 잘 설명할 때 국민들, 특히 젊은 세대가 통일의 필요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단의 장기화에서 오는 여러 가지 고통과 폐해를 환기시키고, 통일 이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이득과 혜택들을 국가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167-206, 2014

      2 이병수, "통일의 당위성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55-388, 2010

      3 김창남, "통일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9) : 121-143, 2014

      4 통일부, "통일교육지침서 2014(일반용)"

      5 통일부, "통일교육지침서 2011(일반용)"

      6 한주희, "제7장 통일과 통합을 위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공존 가능성 모색 -대학생들의 통일교육 현장으로의 활용-"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195-227, 2014

      7 성장환,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검토와 이명박정부의 통일정책 변화 방향"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4 (14): 247-265, 2011

      8 전성훈, "신뢰·균형·통합·진화의 대북·통일정책" 통일연구원 22 (22): 1-24, 2013

      9 안승대, "분단 구조와 분단 의식 극복을 위한 통일교육의 과제" 인문학연구원 54 : 147-170, 2012

      10 안득기, "북한 및 통일의식 분석: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1 (11): 151-191, 2007

      1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167-206, 2014

      2 이병수, "통일의 당위성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55-388, 2010

      3 김창남, "통일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9) : 121-143, 2014

      4 통일부, "통일교육지침서 2014(일반용)"

      5 통일부, "통일교육지침서 2011(일반용)"

      6 한주희, "제7장 통일과 통합을 위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공존 가능성 모색 -대학생들의 통일교육 현장으로의 활용-"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195-227, 2014

      7 성장환,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검토와 이명박정부의 통일정책 변화 방향"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4 (14): 247-265, 2011

      8 전성훈, "신뢰·균형·통합·진화의 대북·통일정책" 통일연구원 22 (22): 1-24, 2013

      9 안승대, "분단 구조와 분단 의식 극복을 위한 통일교육의 과제" 인문학연구원 54 : 147-170, 2012

      10 안득기, "북한 및 통일의식 분석: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1 (11): 151-191, 2007

      11 이경태, "바람직한 대학통일교육방향" 대한정치학회 11 (11): 233-256, 2004

      12 김성재, "독일통일 교훈과 한반도 평화체제 형성" 9 (9): 81-94, 2014

      13 염돈재,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한국보훈학회 11 (11): 125-150, 2012

      14 박균열, "대학생과 성인의 통일의식 및 통일교육 시사점"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35-159, 2014

      15 조진만, "남북한 젊은 세대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민족적 당위와 현실적 이익의 문제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6 (26): 149-177, 2014

      16 김병로, "남남갈등 해소를 위한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 통일연구원 12 (12): 111-139, 2003

      17 권영승, "글로벌·다문화 사회의 통일의식" 1 (1): 1-38, 2011

      18 이윤희, "국민여론조사에 나타난 한국인의 통일의식 및 북한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15 : 133-151, 2005

      19 변종헌, "20대 통일의식과 대학 통일교육의 과제" 통일연구원 21 (21): 157-186, 2012

      20 박명규, "2014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21 박명규,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22 강원택,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2

      23 강원택, "2011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

      24 강원택, "2010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0

      25 박명규, "2009 통일 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9

      26 박명규, "2008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8

      27 김병로, "2007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2007

      28 임현진, "'전환의 계곡'을 넘어-통일편익, 통일비용, 그리고 통일혜택" 역사문제연구소 (97) : 318-34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