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소·중견기업의 경영시스템성숙도, 혁신역량과 경영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06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중견기업들의 성과창출 및 지속가능성장모델을 위한 기업들의 혁신역량과 경영시스템 성숙도가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규명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제도화하여 실시하고 있는 한국형 생산성경영시스템(Productivity Managemant System)제도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시스템 성숙도 진단결과와 경영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설문지를 통하여 기업의 혁신역량 수준, 비 재무적 성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경영시스템 성숙도 수준과 기업의 혁신역량에 따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성장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라 보인다. 또한 중소·중견기업들이 보다 경쟁력있는 강소기업 또는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하기 위한 경영시스템의 역할에 대한 규명과 보다 낳은 성과창출 및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육성정책의 일한으로 생산성 경영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의 필요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중견기업들의 성과창출 및 지속가능성장모델을 위한 기업들의 혁신역량과 경영시스템 성숙도가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규명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산업통...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중견기업들의 성과창출 및 지속가능성장모델을 위한 기업들의 혁신역량과 경영시스템 성숙도가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규명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제도화하여 실시하고 있는 한국형 생산성경영시스템(Productivity Managemant System)제도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시스템 성숙도 진단결과와 경영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설문지를 통하여 기업의 혁신역량 수준, 비 재무적 성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경영시스템 성숙도 수준과 기업의 혁신역량에 따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성장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라 보인다. 또한 중소·중견기업들이 보다 경쟁력있는 강소기업 또는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하기 위한 경영시스템의 역할에 대한 규명과 보다 낳은 성과창출 및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육성정책의 일한으로 생산성 경영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의 필요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 1.1.1 문제의 제기 1
      • 1.1.2 연구의 목적 3
      • 1.2 연구범위 및 방법 4
      • 제 1 장 서 론 1
      • 1.1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 1.1.1 문제의 제기 1
      • 1.1.2 연구의 목적 3
      • 1.2 연구범위 및 방법 4
      • 1.2.1 연구의 범위 4
      • 1.2.2 연구의 방법 4
      • 1.3 논문의 구성 5
      • 제 2 장 이론적 고찰 7
      • 2.1 기업의 혁신역량 7
      • 2.1.1 혁신의 개념 7
      • 2.1.2 혁신의 형태 및 분류 9
      • 2.1.3 혁신역량 10
      • 2.2 경영시스템 성숙도 14
      • 2.2.1 경영시스템 성숙도의 일반적 고찰 14
      • 2.2.2 경영시스템 성숙도 평가모델 17
      • 2.3 경영성과와 경영시스템 성숙도의 관계 38
      • 2.3.1 경영성과와 경영시스템 성숙도의 선행연구 38
      • 2.3.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0
      • 제 3 장 연구모형의 설계 41
      • 3.1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41
      • 3.1.1 연구모형 41
      • 3.1.2 가설의 설정 42
      •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9
      • 3.2.1 기업역량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변수 49
      • 3.2.2 경영시스템 성숙도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변수 50
      • 3.2.3 기업성과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변수 51
      • 3.3 조사설계 53
      • 3.3.1 표본설정 및 자료의 수집 53
      • 3.3.2 자료의 분석방법 55
      • 제 4 장 실증연구의 자료분석 56
      • 4.1 기초통계 분석 56
      • 4.1.1 기업 Data 통계분석 56
      • 4.1.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집단 차이 57
      • 4.2 척도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62
      • 4.2.1 측정도구의 신뢰성 분석 62
      • 4.2.2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63
      • 4.2.3 판별타당성 분석 66
      • 4.3 연구가설 검증 66
      • 4.3.1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 66
      • 4.3.2 연구모형의 가설검증 66
      • 4.3.3 매개효과 검증 74
      • 제 5 장 결 론 80
      • 5.1 연구결과의 요약 80
      • 5.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82
      • 5.2.1 연구의 시사점 82
      • 5.2.2 연구의 한계점 84
      • [참고 문헌] 85
      • [그림 차례]
      • [그림 1.1] 연구방법 6
      • [그림 2.1] MB 모델의 7가지 범주 19
      • [그림 2.2] ADLI의 평가기준 내용 22
      • [그림 2.3] 우수성의 기본 개념 25
      • [그림 2.4] EFQM 모델 프레임웍 및 가중치 26
      • [그림 2.5] The RADAR 평가방법 28
      • [그림 2.6] PMS 프레임 웍 30
      • [그림 2.7] 탁월한 생산성 목표에 이르는 길 33
      • [그림 2.8] 등급평정을 위한 역량성숙도모델(Capability Maturity Model) 35
      • [그림 3.1] 연구모형 41
      • [그림 3.2] 실증연구모형 48
      • [그림 4.1] 구조모형 분석 결과 70
      • [표 차례]
      • [표 2.1] 혁신의 정의 8
      • [표 2.2] 시장경쟁역량에 관한 실증연구 12
      • [표 2.3] 기술혁신역량에 관한 실증연구 13
      • [표 2.4] 2011-2012년 말콤볼드리지 평가기준 21
      • [표 2.4] 범주별 기본항목의 평점구조 34
      • [표 2.5] 생산성경영시스템 역량 성숙도 35
      • [표 3.1] 시장경쟁역량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변수 49
      • [표 3.2] 기술혁신역량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변수 50
      • [표 3.3] 경영시스템 성숙도 수준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측정변수 51
      • [표 3.4] 경영성과의 평가지표 및 산식 52
      • [표 3.5] 경영성과의 평가지표 53
      • [표 3.6] 설문지의 구성 54
      • [표 3.7] 경영시스템 성숙도 진단결과 활용 54
      • [표 4.1] 표본의 기초통계 기업 data 56
      • [표 4.2] 표본의 재무적 성과 57
      • [표 4.5] 표본의 비재무적 성과 58
      • [표 4.6] 표본의 경영시스템 성숙도 59
      • [표 4.7] 매출규모에 따른 기업 재무적 성과의 차이 60
      • [표 4.8] 매출규모에 따른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의 분산분석 60
      • [표 4.9] 매출규모에 따른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의 차이 61
      • [표 4.10] 매출규모에 따른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와의 분산분석 61
      • [표 4.11] 설문 문항의 신뢰성 검증 62
      • [표 4.12] 시장경쟁역량 유형의 탐색적 요인분석 64
      • [표 4.13] 기술혁신 유형의 탐색적 요인분석 64
      • [표 4.14] 확인요인분석 결과 65
      • [표 4.15] 상관계수와 평균분산추출지수 66
      • [표 4.16] 개념신뢰도 및 평균분산추출지수 67
      • [표 4.17] 구조모형 적합도 69
      • [표 4.18] 가설 검증 결과 73
      • [표 4.19] 매개효과 및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결과 74
      • [표 4.20] 매개효과 및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결과 75
      • [표 4.21] 매개효과 및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결과 76
      • [표 4.22] 매개효과 및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결과 77
      • [표 4.23] 가설검증 결과 7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술혁신 이론 개관”, 이공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연구보고서, , 2000

      2. 말콤볼드리지 성공법 칙, 신완선, 김영사, , 2005

      3. 기술개발의 경영학적 고찰, 윤석철, 韓國經營硏究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 구소, , 1991

      4. 생산성 개념체계에 관한 연구, 이정훈,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생산성본부, , 1997

      5.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전략 논고, 김병태, 산업경영연구, 30(3), pp.69-95, , 2007

      6. 생산성경영체제 인증기준 개발연구, 김익택, 한국 생산성본부, , 2004

      7. 일본의 10년 불황을 이겨낸 힘 도요타, 조두섭, 전우석, 김태진, 위즈덤 하우스, , 2004

      8. 하도급 중소기업의 R&D 활동 결정요인, 윤성민, 중소기업연 구, 25(1), pp.51-81, , 2003

      9. 생산성경영체제 등급평정기준 개발연구, 김익택, 한국생산성본부, , 2004

      10. 혁신적 중소기업의 유형별 특성 및 성과, 송광선, 김영배,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 기업연구, 14(2), pp.29-63, , 1992

      1. “기술혁신 이론 개관”, 이공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연구보고서, , 2000

      2. 말콤볼드리지 성공법 칙, 신완선, 김영사, , 2005

      3. 기술개발의 경영학적 고찰, 윤석철, 韓國經營硏究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 구소, , 1991

      4. 생산성 개념체계에 관한 연구, 이정훈,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생산성본부, , 1997

      5.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전략 논고, 김병태, 산업경영연구, 30(3), pp.69-95, , 2007

      6. 생산성경영체제 인증기준 개발연구, 김익택, 한국 생산성본부, , 2004

      7. 일본의 10년 불황을 이겨낸 힘 도요타, 조두섭, 전우석, 김태진, 위즈덤 하우스, , 2004

      8. 하도급 중소기업의 R&D 활동 결정요인, 윤성민, 중소기업연 구, 25(1), pp.51-81, , 2003

      9. 생산성경영체제 등급평정기준 개발연구, 김익택, 한국생산성본부, , 2004

      10. 혁신적 중소기업의 유형별 특성 및 성과, 송광선, 김영배,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 기업연구, 14(2), pp.29-63, , 1992

      11. 기업역량과 기술혁신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류태모, 송경수, 신진교,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연구, pp.221-243, , 2001

      12. 중소기업의 혁신특성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 황정태, 2009 STEPI 기술 혁신조사 Symposium 논문집, , 2009

      13. 중소기업에서의 기술혁신과 영향요인의 관계, 박노윤,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 연구, 20(2), pp.119-147, , 1998

      14. 기술혁신적 기업과 비혁신적 기업의 비교연구, 권행민, 김인수,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14(2), pp.1-25, , 1985

      15.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구조 및 활성화 방안,”, 홍석일, 산업연구원, 산업연구 원 정책자료, , 2004

      16. 국내 기업의 경영생산성 평가사례 에 관한 연구, 서정일, 유명관, 이영훈, Samsung SDS Journal of IT Services, Vol.4 No.2, , 2004

      17. 대․중소기업 신제품개발 협력과정과 상생정책, 김중현, 배종태,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29(4), pp.295-318, , 2007

      18. 말콤볼드리지 모델을 활용한 경영혁신 사례연 구, 김정현,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2007

      19. 기술협력이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장표 ( Jang Pyo Hong ),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학회, 27(3), , 2005

      20.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혁신에 관한 연구, 김경오,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7

      21. 한국, 미국, 일본의 신제품 성공요인에 관한 비 교연구, 하영원, 박흥수,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30(2), pp.531-556, , 2001

      22.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성과공유제 성공요인 분석”, 김기학, 윤병섭, 장지인, 한국중소기업학회,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32(2), pp.83-113, , 2010

      23.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관정에 관한 실증연구:시스템 접 근, 임재현,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24. 기술협력 활동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영조, 한국경영학회, 경영학 연구, 34(5), , 2005

      25. 신제품수용과정에 있어서 소비자의 혁신저항에 관 한 연구, 이승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1993

      26. 국내중소기업의 기술협력활동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배종태, 정진우,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19(2), pp.273-296, , 1997

      27. “기술혁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송광선, 중소기업연구, 17(2), pp.169-192, , 1995

      28. 국내기업의 경영품질과 사업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이동규,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 1999

      29. “외부 자원 활용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상문, 이병헌, 이형오, 한국전략경영학회, 한국전략경영학회, 하계통합학술대회, , 2005

      30. 「지속적 혁신관리를 위한 생산성경영시스템 (PMS) 개발에 관한 연구」., 김석은, 강경식, 대한안전경영과학회, 대한안전경영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집. p.395-404, , 2008

      31. 대-중소기업간 협력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용운, 이장우,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28(3), pp.243-268, , 2006

      32. 수출주도형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혁신역량 진단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이준호,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 2014

      33.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사업화가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 는 영향”, 송건호,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 2010

      34. 부산지역 기업의 기술혁신 형태와 결정요인: 기 업특성, 기술협력과 기술혁신, 이대식, 이근재, 한국경제통상학회, 한국경제통상학회, 22(4), , 2004

      35.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이 대 중소기업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박우종,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 2014

      36. “기업의 기술혁신성과 결정요인 : 기업규모와 외부 네트워크의 역할을 중심으로”, 성태경,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18(4), pp.1767-1788, , 2005

      37. PSBP Paradigm을 이용한 상생협력 진단모델 구축: 발전사와 협력기업간 상생협력을 중심으로, 박지윤 ( Ji Yun Park ), 송창석 ( Chang Seok Song ) ,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 업연구, 31(2),pp.255-272, , 2009

      38. 경영시스템 성숙도와 생산성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 구(제조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조남혁,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 2010

      39.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영향요인과 혁신활동이 성과에 미 치는 영향 -활용 및 탐색적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이도명,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1

      40. 도요타 생산시스템(TPS)의 생산철학을 기반으로 한 중소기업 생산성경영시스템(PMS)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개발, 생산운영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윤병국, 석사학위논문, 명 지대학교., ,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