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와 가정과 학교관련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and Factors of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on the Latent Groups in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79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on the latent group transfer. The subjects were 2,384 students in the first and third years of middle school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including 1,278 male and 1,106 female students. The survey classified the latent groups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and third years of middle school into three groups: the emotional problem low group, emotional problem middle group, and emotional problem high group. The low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year of a middle school transferred into the low group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62.2%). Similarly, the middle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year transferred into the middle group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58.3%). However, the high group of emotional problems transferred to the middle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40.2%). Family economic level, negative parenting attitude, study hours, academic helplessness,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essential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it categorizes latent groups of emotional problems in middle school's first and third years and examines the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affecting latent group transfer.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on the latent group transfer. The subjects were 2,384 students in the first and third years of middle schoo...

      This study examined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on the latent group transfer. The subjects were 2,384 students in the first and third years of middle school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including 1,278 male and 1,106 female students. The survey classified the latent groups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and third years of middle school into three groups: the emotional problem low group, emotional problem middle group, and emotional problem high group. The low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year of a middle school transferred into the low group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62.2%). Similarly, the middle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year transferred into the middle group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58.3%). However, the high group of emotional problems transferred to the middle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40.2%). Family economic level, negative parenting attitude, study hours, academic helplessness,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essential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it categorizes latent groups of emotional problems in middle school's first and third years and examines the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affecting latent group transf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와 더불어 가정과 학교관련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1차)과 중학교 3학년(3차) 시기의 2,384명으로 남학생은 1,278명, 여학생은 1,106명이다. 연구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와 중학교 3학년 시기 정서문제 잠재집단은 모두 3개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문제 하집단, 정서문제 중집단, 정서문제 상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하집단은 중학교 3학년 정서문제 하집단(62.2%)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은 중학교 3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58.3%)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상집단은 중학교 3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40.2%)으로 전이되는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정서문제 잠재집단이 중학교 3학년 정서문제 잠재집단으로 전이되는 데 있어서 가정경제수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학업시간, 학업무기력, 학업성취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과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정서문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학교관련 변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와 더불어 가정과 학교관련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

      본 연구는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와 더불어 가정과 학교관련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1차)과 중학교 3학년(3차) 시기의 2,384명으로 남학생은 1,278명, 여학생은 1,106명이다. 연구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와 중학교 3학년 시기 정서문제 잠재집단은 모두 3개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문제 하집단, 정서문제 중집단, 정서문제 상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하집단은 중학교 3학년 정서문제 하집단(62.2%)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은 중학교 3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58.3%)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상집단은 중학교 3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40.2%)으로 전이되는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정서문제 잠재집단이 중학교 3학년 정서문제 잠재집단으로 전이되는 데 있어서 가정경제수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학업시간, 학업무기력, 학업성취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과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정서문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학교관련 변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자영 ; 이상민,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131-147, 2012

      2 김태명 ; 이은주,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3-333, 2017

      3 유창민, "한국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 유형 분류 및 예측요인 확인: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적용한 7개년도 종단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230-258, 2019

      4 박병기 ; 노시언 ; 김진아 ; 황진숙,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5-29, 2015

      5 장성화 ; 오은정, "학생들의 휴대폰 중독과 우울, 불안,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259-268, 2009

      6 김신영 ; 강태훈 ; 김정민 ; 양길석, "학교평가에서의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1-30, 2011

      7 백승영 ; 이승희,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07-231, 2014

      8 오정희 ; 선혜연,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성별 및 학교급,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1981-1994, 2013

      9 노언경 ; 홍세희, "초기 청소년의 정서적 우울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성별, 관계 친밀도와의 관련성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91-110, 2010

      10 서미정, "초기 청소년의 내재화 행동문제 변화에 대한 성별 및 학업성취감의 영향력 검증 : 우울/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115-138, 2008

      1 이자영 ; 이상민,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131-147, 2012

      2 김태명 ; 이은주,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3-333, 2017

      3 유창민, "한국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 유형 분류 및 예측요인 확인: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적용한 7개년도 종단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230-258, 2019

      4 박병기 ; 노시언 ; 김진아 ; 황진숙,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5-29, 2015

      5 장성화 ; 오은정, "학생들의 휴대폰 중독과 우울, 불안,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259-268, 2009

      6 김신영 ; 강태훈 ; 김정민 ; 양길석, "학교평가에서의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1-30, 2011

      7 백승영 ; 이승희,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07-231, 2014

      8 오정희 ; 선혜연,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성별 및 학교급,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1981-1994, 2013

      9 노언경 ; 홍세희, "초기 청소년의 정서적 우울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성별, 관계 친밀도와의 관련성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91-110, 2010

      10 서미정, "초기 청소년의 내재화 행동문제 변화에 대한 성별 및 학업성취감의 영향력 검증 : 우울/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115-138, 2008

      11 이성주, "초·중·고 학생의 학교만족도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69-588, 2015

      12 김명자 ; 손은령,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20, 2018

      13 신선미 ; 이소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20 (20): 49-64, 2017

      14 정혜원 ; 원정은 ; 박소영,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185-215, 2018

      15 김선숙 ; 고미선,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5-29, 2007

      16 정문주 ; 양현숙 ; 채은영 ; 김선희,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65, 2016

      17 이충권 ; 양혜린, "청소년의 학대·방임경험이 정서문제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문제와 또래관계 간 상호인과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261-285, 2015

      18 김세연 ; 김재철, "청소년의 정서ㆍ행동문제에 대한잠재프로파일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7 (27): 159-182, 2020

      19 이유정 ; 최문선,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의 잠재집단유형과 문제적 인터넷 사용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97-521, 2018

      20 황매향 ; 임효진 ; 최희철, "청소년의 자기통제와 학습시간의 교호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65-284, 2018

      21 김세경, "청소년의 자기조절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7 (17): 251-274, 2016

      22 최희철 ; 하창순 ; 김지현 ; 유현실,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학교수업 참여도, 개인 학습시간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181-200, 2006

      23 김세원 ; 김예성, "청소년의 신체적 공격성 발달궤적 및 예측요인"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87-107, 2009

      24 함자영,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불능증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18 : 77-90, 2005

      25 조수경 ; 이소연,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5-32, 2020

      26 하문선, "청소년의 생활시간 사용 종단적 변화와 가정환경, 정서행동문제 간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5-59, 2017

      27 최정아,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및 개인, 부모, 또래 영향요인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431-455, 2012

      28 이명진 ; 봉미미,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한국교육학회 51 (51): 77-105, 2013

      29 이봉주 ; 민원홍 ; 김정은,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17-346, 2014

      30 민원홍 ; 이봉주, "청소년기 빈곤과 내재화 문제의 종단적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145-169, 2015

      31 송리라, "청소년기 경험과 우울궤적 형성: 역경과 또래관계 질 효과" 한국인구학회 44 (44): 19-45, 2021

      32 박소영 ; 정혜원, "청소년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주요 예측변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2 (32): 63-96, 2021

      33 이정미 ; 양명숙, "청소년 전환기 문제행동: 가정 및 학교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7 (7): 865-883, 2006

      34 조정미 ; 김장회 ; 김미점, "청소년 성별에 따른 정서문제와 삶의 만족도 간의 시간적 발달 관계 분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효과" 교육발전연구소 30 (30): 329-348, 2020

      35 이순성,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의 종단적 추이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36 배성만 ; 홍지영 ; 현명호, "청소년 또래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25-344, 2015

      37 김수연 ; 안도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학업무기력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9 (39): 177-203, 2021

      38 박희현 ; 김진아 ; 한귀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17 (17): 345-362, 2014

      39 염혜선 ; 이은주, "중학생의 학업열의, 또래관계 질, 공격성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시너지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4 (34): 521-541, 2020

      40 우연경 ; 노언경,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잠재프로파일: 영향요인 탐색 및 집단별 특성 차이" 안암교육학회 27 (27): 281-304, 2021

      41 금지헌 ; 손찬희 ; 채수은 ; 강성국,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정 및 개인 관련 변인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19-143, 2013

      42 최준열 ; 김지선,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경기도 내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및 혁신공감학교와의 효과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25-50, 2018

      43 김정민 ; 송수지,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5-27, 2014

      44 이명옥 ; 정문경, "중학생의 정서문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우관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97-517, 2018

      45 신윤임 ; 강태석,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11-932, 2020

      46 홍원준, "중학생 정서·행동문제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부모의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291-320, 2020

      47 하미영 ; 정현희, "중학교 신입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요인 검증" 한국아동교육학회 30 (30): 225-245, 2021

      48 박수영 ; 이주재,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 청소년의 주관적 빈곤감과 사회적 위축의 관계 - 자아탄력성과 양육태도의 조절효과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193-210, 2019

      49 오영수 ; 이재영, "중ㆍ고등학생의 행복에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한국경제교육학회 21 (21): 1-31, 2014

      50 노언경 ; 홍세희,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을 적용한 청소년기 초기의 공격성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관련요인 검증" 한국조사연구학회 10 (10): 37-58, 2009

      51 권석만 ; 이지영,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61-493, 2006

      52 한정아, "정서문제 프로파일의 잠재적 변화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495-519, 2017

      53 변호걸, "정서 및 행동장애의 이해" 문음사 2004

      54 오민아 ; 조혜영,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성취가치의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35 (35): 125-137, 2017

      55 백승희 ; 전현정 ; 정혜원,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휴대전화의존도, 정서문제,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5 (15): 167-188, 2014

      56 배화옥 ; 김현정, "아동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적응의 관계: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35 (35): 135-156, 2019

      57 조붕환 ; 임경희,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729-746, 2003

      58 김선희,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16 (16): 155-166, 1998

      59 조정아, "선형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우울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변화경향과 개인차에 대한 성별·부모·또래·교사 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67-192, 2009

      60 조혜영 ; 이경상, "사교육시간, 개인공부시간, 학교수업참여도의 실태 및 주관적 학업성적향상효과" 한국교육개발원 32 (32): 29-56, 2005

      61 한아름, "부모의 삶의 만족도, 긍정적 양육행동,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가구와 일반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24, 2018

      62 최가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청소년의 또래의사소통, 정서문제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5-32, 2020

      63 김준림, "부모유형변화에 따른 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64 김영미,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21 (21): 159-175, 2000

      65 배장섭, "부모양육행동, 정서문제 및 삶의 목표가 청소년의 학습습관에 미치는 영향" 19 : 51-71, 2017

      66 정은혜 ; 김현주 ; 손은령, "부모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학생의 학년 변화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7-85, 2021

      67 김용회 ; 한창근, "부모 삶의 만족도와 아동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29-55, 2017

      68 정주미 ; 이동형,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발달 궤적: 잠재계층 분류 및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친구지지의 영향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2 (32): 57-85, 2021

      69 김훈희 ; 황영신,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발달자산 내적발달자산 및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인문사회 21 10 (10): 1607-1622, 2019

      70 YOO JOAN PAEK ; Chung, Grace Haejin ; 이상균, "경제적 결핍 경험의 잠재계층과 부모가 보고한 아동 건강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397-431, 2015

      71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72 Loeber, R., "Young children who commit crime : Epidemiology, developmental origins, risk factors, early interven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12 (12): 737-762, 2000

      73 Loukas, A., "Trajectories of school connectedness across the middle school years : Examining the roles of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48 (48): 557-576, 2016

      74 Laursen, B., "Towards understanding peer conflict" 42 (42): 76-102, 1996

      75 Diener, E. 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76 McLaughlin, K. A., "The public health impact of major depression : a call for interdisciplinary prevention efforts" 12 (12): 361-371, 2011

      77 Schaufeli, W. 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 (3): 71-92, 2002

      78 Leyendecker, B., "The effects of ethnicity and SES on parenting : An ecological perspective" Erlbaum 2005

      79 Orpinas, P., "The Aggression Scale : A self-report measure of aggressive behavior for young adolescents" 21 (21): 50-67, 2001

      80 Chou, C. 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37-54, 1995

      81 Lipowski, Z. J., "Somatization : The concept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145 (145): 1358-1368, 1988

      82 Rubin, K. H.,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60 : 141-171, 2009

      83 Helsen, M.,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and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ce" 29 (29): 319-335, 2000

      84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motivation, development, and wellness" Guilford Press 2017

      85 Salmela-Aro, K., "School burnout and engagement profiles among digital natives in Finland : A person-oriented approach" 13 (13): 704-718, 2016

      86 Roeser, R. W., "School as a context of early adolescents' academic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 A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100 (100): 443-471, 2000

      87 Grimm, L. G.,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88 Oliva, A.,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related to internalizing problems during adolescence" 43 (43): 505-520, 2014

      89 Mónaco, E., "Parents and peer attach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ce : is stress mediating?" 8 (8): 67-73, 2021

      90 Finkenauer, C., "Parenting behavior and adolescen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 The role of self-control" 29 (29): 58-69, 2005

      91 Rohner, R. P.,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 Theory, methods, cross-cultural evidence, and implications" 33 (33): 299-334, 2005

      92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7

      93 Gerard, J. M., "Marital conflict, parent-child relations, and youth maladjustment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spillover effects" 27 (27): 951-975, 2006

      94 Collins, L. M.,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Wiley 2009

      95 Kenny, 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distress in adolescence" 36 (36): 351-360, 2013

      96 Muthén, B., "Integrating person-centered and variable-centered analyses : Growth mixture modeling with latent trajectory classes" 24 (24): 882-891, 2000

      97 Marsh, H. W., "In search of golden rules : Comment on hypothesis-testing approaches to setting cutoffvalues for fit indexes and dangers in overgeneralizing Hu and Bentler's(1999)findings" 11 (11): 320-341, 2004

      98 유진은 ; 노민정, "Group lasso를 통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27-149, 2017

      99 Kearney, C. A., "Forms and functions of school refusal behavior in youth : An empirical analysis of absenteeism severity" 48 : 53-61, 2007

      100 Connell, A., "Family intervention effects on co-occurring early childhoo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approach" 36 (36): 1211-1225, 2008

      101 Nunes, S. A. 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 Contributions of attachment and parental practices" 26 : 617-625, 2013

      102 Wadsworth, M. E., "Explaining the Link Between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Psychopathology : Testing Two Mechanisms of the Social Causation Hypothesis" 73 (73): 1146-1153, 2005

      103 McLeod, B. D.,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nd childhood depression : A meta-analysis" 27 (27): 986-1003, 2007

      104 Sánchez-García, M. d. l. Á.,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in adolescence : Relationship with emotional well-being, affect, and academic performance" 34 (34): 482-489, 2018

      105 Duchesne, S., "Early adolescent attachment to parents, emotional problems, and teacher-academic worries about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29 (29): 743-766, 2009

      106 Lansford, J. E., "Development of aggression" 19 : 17-21, 2018

      107 Beck, A. T., "Depression : Causes and treatm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9

      108 Huisman, M., "Cognitive ability,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sing problems in adolescence : findings from two European cohort studies" 25 (25): 569-580, 2010

      109 Reed, S. K., "Cognition : Theories and applications" Cengage 2012

      110 Ashiabi, G. S., "Children's health status : examining the associations among income poverty, material hardship, and parental factors" 2 (2): 1-9, 2007

      111 Sourander, A., "Childhood predictor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14 (14): 415-423, 2005

      112 Asparouhov, T.,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 Three-step approaches using Mplus" 21 (21): 329-341, 2014

      113 Van Horn, M. L., "Assessing differential effects : Applying regression mixture models to identify variations in the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on academic achievement" 45 (45): 1298-1313, 2009

      114 Berlin, K. S., "An introduction to latent variable mixture modeling(part 1) : Overview and cross-sectional latent class and latent profile analyses" 39 (39): 174-187, 2014

      115 Wadsworth, M. E., "Adolescent coping with poverty-related stress" 15 (15): 13-17, 2008

      116 Wicks-Nelson, R., "Abnorm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Routledge 2013

      117 Jensen, P. S., "ADHD : current concepts on etiology, pathophysiology, and neurobiology" 9 (9): 557-572,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