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교과수업에서 자기결정 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자기결정성동기와 실패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SDLM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79336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1-43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교과수업에서 자기결정 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자기결정성동기와 실패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SDLMI...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교과수업에서 자기결정 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자기결정성동기와 실패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SDLMI에 기초한 교과수업은 SDLMI의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포함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78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교과수업에서 자기결정 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과제수행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자기결정성동기와 실패내성 설문검사를 사전․사후․추후에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단변량 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자기결정 교수학습모형(SDLMI)은 구조화된 단계와 질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전통적인 교수법과의 혼합교수, 개별학습과 집단학습의 접목, 순환학습의 내용이 포함된 프로그램이다. 둘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인 확인된 조절과 내재된 조절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실패내성과 하위요인의 행동과 과제선호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3주 후의 추후검사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인 확인된 조절과 내재된 조절은 유의한 효과를 유지하였고, 외재된 조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패내성(행동)에서 유의한 효과를 유지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교과수업에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결정 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프로그램이라는 외부자극으로 자기결정성동기와 실패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13 (13): 99-142, 1999
2 김주환 ; 김은주 ; 홍세희,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243-264, 2006
3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4 김아영 ; 주지은,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29 (29): 157-176, 1999
5 염지혜 ; 이숙향,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51-178, 2015
6 신헌재, "초등국어과 교수학습방법" 박이정 2009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8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793-1811, 2011
9 이은주 ; 임성애, "청소년기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71-494, 2018
10 최헌철 ; 엄우용,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91-113, 2020
1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13 (13): 99-142, 1999
2 김주환 ; 김은주 ; 홍세희,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243-264, 2006
3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4 김아영 ; 주지은,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29 (29): 157-176, 1999
5 염지혜 ; 이숙향,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51-178, 2015
6 신헌재, "초등국어과 교수학습방법" 박이정 2009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8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793-1811, 2011
9 이은주 ; 임성애, "청소년기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71-494, 2018
10 최헌철 ; 엄우용,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91-113, 2020
11 최헌철 ; 우채영,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조건부 관심,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393-410, 2018
12 조은문 ; 이종연, "중학생의 동기조절전략과 자기결정동기 및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405-428, 2010
13 장명주 ; 양지웅, "중학생의 교사애착이 자기조절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무동기 및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과학교육연구소 57 (57): 341-352, 2018
14 김수연,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자기결정력 증진을 위한 초등 체육과 게임 활동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29-56, 2007
15 박주경 ; 강영심, "자기결정학습모형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15-139, 2011
16 김성수 ; 윤미선, "자기결정성이론의 연구 동향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학회 50 (50): 77-106, 2012
17 임성애,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학습동기와 수업참여의 종단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59 (59): 163-184, 2021
18 김아영,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583-609, 2010
19 이미봉,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0 김창호 ; 백은희, "자기결정 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직업훈련이 정신지체 전공과 학생의 작업 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25-148, 2011
21 정준욱, "자기결정 동기 따른 이질적 효과 : 자기조절학습전략과 학업성적의 차이" 경북대학교 2016
22 김경희 ; 한상민 ; 한송이 ; 백은희, "자기결정 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반한 대면상담이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행동과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6 (6): 131-158, 2019
23 Wehmeyer M. L., "자기결정 교수와 사정전략" 시그마프레스 2012
24 박분희 ; 육진경 ; 김누리, "영재아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자기결정성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한국영재교육학회 12 (12): 49-67, 2013
25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26 서지혜 ; 이종숙,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1 (11): 429-454, 2014
27 김아영, "실패는 나의 힘, 성공을 부르는 실패학" 초이스북 2018
28 서미옥, "실패 내성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학회 57 (57): 87-118, 2019
29 홍국진 ; 이은주,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양육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동기의 종단적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305-326, 2017
30 임성애 ; 이은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 자기결정성동기, 수업참여의 관계: 이중과정모형의 적용" 한국교육심리학회 34 (34): 259-283, 2020
31 Wehmeyer, M. L.,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 전략" 학지사 2010
32 최경희 ; 이향연,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연구소 12 (12): 747-767, 2008
33 최욱, "문제중심학습 모형 및 실천적 교수전략 탐색: 새로운 이론적 패러다임에 기반하여" 한국교육공학회 32 (32): 29-64, 2016
34 고홍월,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교육연구소 13 (13): 125-147, 2012
35 진용성 ; 박태호, "국어과 교수학습에서 거꾸로 수업의 실천 방안—4세대 모형의 구안과 기존의 국어수업 모형에 적용을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3 (53): 103-140, 2018
36 Legault, L., "Why Do High School Students Lack Motivation in the Classroom? Toward an Understanding of Academic Amotivation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98 (98): 567-582, 2006
37 Clifford, M. M., "Thoughts on a theory of constructive failure" 19 (19): 108-120, 1984
38 Vansteenkiste M. C., "The development of the five mini-theories of self-determinationtheory: An historical overview, emergi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16 (16): 105-165, 2010
39 Wiske, M. S., "Teaching for Understanding with Technology" Jossey-Bass 2005
40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ing" 55 (55): 68-78, 2000
41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 Basic Psychol Needs in Motivation, Development, and Wellness" Guilford Press 2017
42 Christle, C. A., "School characteristics related to high school dropout rates" 28 (28): 325-339, 2007
43 Palmer, S. B.,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 early elementary school : Teaching self-regulated problem-solving and goal-setting skills" 24 (24): 115-126, 2003
44 Ryan, R. M.,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 57 (57): 749-761, 1989
45 Deci, E. L.,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2002
46 Clifford, M. M.,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risktaking in ten-to twelve-year-old students" 58 (58): 15-27, 1988
47 Roth, S., "Effects of noncontingent reinforcement on tasks of differing importance : Facilita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32 (32): 680-691, 1975
48 Miller, W. R., "Depression and learned helplessness in man" 84 (84): 228-238, 1975
49 Martin, J. 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time-based task change sequence" 22 (22): 250-255, 1987
교사효능감과 교사창의성이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과 과제 흥미에 따른 교수방법에 미치는 영향
예비교사의 교직 기대와 가치, 비용 인식에 기초한 교직동기 잠재프로파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