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장서각 소장 『醫譯籌八世譜』(K2-1778)의 首卷에 해당하는 「의팔세보」의 자료적인 성격과 내용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해본 것이다. 먼저 '개념' 정리를 시도해보았는데, 「의팔세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9730307
2009
Korean
팔세보 ; 족보 ; 의팔세보 ; 의과팔세보 ; 등제팔세보 ; 의관 ; 의과 ; 잡과 ; 중인 ; uipalsebo ; uikwa palsebo ; deungje palsebo ; genealogy ; medical officer ; middle class ; uikwa
15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65-195(31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장서각 소장 『醫譯籌八世譜』(K2-1778)의 首卷에 해당하는 「의팔세보」의 자료적인 성격과 내용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해본 것이다. 먼저 '개념' 정리를 시도해보았는데, 「의팔세보...
이 글은 장서각 소장 『醫譯籌八世譜』(K2-1778)의 首卷에 해당하는 「의팔세보」의 자료적인 성격과 내용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해본 것이다. 먼저 '개념' 정리를 시도해보았는데, 「의팔세보」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① 의과 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과팔세보'와 ② 의과에 합격하지 않았지만 의료직에 종사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등제팔세보'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의과 합격 여부가 기준점이었다.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의팔세보」의 경우, 같은 내용을 가진 소장본이 규장각에도 소장되어 있다. 교정사항이나 정확도 등을 고려할 때 장서각 소장본이 정본인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다른 도서관 소장본에 비해서 비교적 초기에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도로 보아서는 1880년 이후 1882년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의팔세보」에 수록된 사람들을 통해서, 조선 후기 내지 말기에 신분제가 동요되고 해체되었다는 식의 일반적인 설명과는 달리, 기술직 중인들의 경우, 특히 의관들의 경우 소수의 집안에 집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집안에서의 세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과 합격이 가장 주요한 변수이기는 했지만, 의과에 합격하지 않더라도 세전 가문에 속하는 경우 '等第'라 하여 같은 신분층 내지 동류층에 포함시켜 주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등제와 등제팔세보는 그런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그들 두 그룹은 많은 경우 혈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들 사이에는 기술관의 진출에서 하나의 중요한 계기가 되는 '의과' 합격이라는 분명한 구분점이 있었다.
「의팔세보」에 대한 분석과 활용은 이제부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의팔세보」와의 비교 검토 역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은 필자로서는 그 같은 연구로 나아가기 위한 시고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going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 of Uipalsebo, namely the first volume of Uiyukju Palsebo of JangSeoGak. At first, this paper makes a conceptual arrangement that the Uipalsebo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one is ...
This paper is going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 of Uipalsebo, namely the first volume of Uiyukju Palsebo of JangSeoGak. At first, this paper makes a conceptual arrangement that the Uipalsebo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one is Uikwa Palsebo, a lineage record of the passers of the Examination of Uikwa(a part of Jabkwa, the other is the Deungje Palsebo, a lineage record of the non-passers of the Examination of Uikwa, but they were engaged at the medical office. The key point is the pass of the Examination of Uikwa.
We can see the same one of Uipalsebo of JangSeoGak at the KyuJangGak. Their contents are very similar. According to the accuracy and revision, the Uipalsebo of JangSeoGak seems to be near at the original one, and published at the earlier stage, comparing to the other ones of other libraries. It can be seen that it had been published at the year of between 1880 and 1882.
The Uipalsebo, especially the lineage record indicates an important point that the case of technocrats of middle class, especially the medical officers were concentrated on several families, and showed the tendency of handing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is contrary to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hange and dismantlement of the social status system at the later parts of Choson dynasty. The key point is the pass of the Examination of Uikwa, but it was not everything. Though he did not passed the Examination of Uikwa, but if he belongs to the professional families, he could be a member of similar status or peer group. They were called Deungje, and the Deungje and Deungje Palsebo had shown such consciousness. And in many cases, those two group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through family lineage and marriage.
This is only a case study and the first step to the analysis of Uipalsebo, so it will be important to compare other Uipalsebos of other libraries and analyse them more deep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홍열, "한국중세의료제도연구" 수서원 1988
2 송준호, "한국에 있어서의 가계기록의 역사와 그 해석" 87 : 1980
3 연세대국학연구원, "한국 근대이행기 중인연구" 신서원 1999
4 한영우, "조선후기 「中人」에 대하여: 哲宗朝 中人通淸運動 자료를 中心으로" 42 : 1986
5 김양수, "조선후기 醫官집안의 活動-李顯養·李漢慶 등 安山李氏家系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0 (0): 37-90, 2006
6 김양수, "조선후기 中人집안의 발전: 김지남, 김경문 등 우봉김씨 사례" 백산자료원 2008
7 이화여대사학과연구실편, "조선신분사연구: 신분과 그 이동" 법문사 1987
8 최진옥, "조선시대 잡과설행과 입격자 분석 In: 조선시대잡과합격자총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9 이규근, "조선시대 의료기과와 의과:중앙의료기구를 중심으로" 104 : 1999
10 이남희, "조선시대 雜科榜目의 자료적 성격" 12 : 1997
1 손홍열, "한국중세의료제도연구" 수서원 1988
2 송준호, "한국에 있어서의 가계기록의 역사와 그 해석" 87 : 1980
3 연세대국학연구원, "한국 근대이행기 중인연구" 신서원 1999
4 한영우, "조선후기 「中人」에 대하여: 哲宗朝 中人通淸運動 자료를 中心으로" 42 : 1986
5 김양수, "조선후기 醫官집안의 活動-李顯養·李漢慶 등 安山李氏家系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0 (0): 37-90, 2006
6 김양수, "조선후기 中人집안의 발전: 김지남, 김경문 등 우봉김씨 사례" 백산자료원 2008
7 이화여대사학과연구실편, "조선신분사연구: 신분과 그 이동" 법문사 1987
8 최진옥, "조선시대 잡과설행과 입격자 분석 In: 조선시대잡과합격자총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9 이규근, "조선시대 의료기과와 의과:중앙의료기구를 중심으로" 104 : 1999
10 이남희, "조선시대 雜科榜目의 자료적 성격" 12 : 1997
11 송준호, "조선사회사연구" 일조각 1987
12 이남희, "조선 후기 잡과중인 연구" 이회 1999
13 한미경, "역과보(譯科譜)에 대한 서지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0 (40): 125-150, 2006
14 Eugene Y. Park, "새로운 가족사의 추구 —근대 한국의 족보편찬과 중인층의 반응—" 역사문제연구소 12 (12): 139-167, 2008
15 역사학회공동연구, "근대사회의 中産層(中間層: Middle class)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의 中人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1982
16 연세대국학연구원, "고려.조선 전기 중인연구" 신서원 2001
17 韓美鏡, "譯科類輯에 관한 연구" 서지학회 (34) : 185-214, 2006
18 稻葉岩吉, "朝鮮疇人考: 中人階級の存在に就いて" 17 (17): 1933
19 장필기, "朝鮮後期 『武譜』의 資料的 檢討" 7 : 1988
20 三木榮, "大醫許浚(1546-1615)の畵像,略傳と學業" 83 : 1977
21 임민혁, "三班禮式의 편찬과 자료의 성격" 13 : 2001
22 정해은, "『武譜』를 통해서 본 19세기 무과급제자의 관직 진출 양상" 조선시대의 사회와 사상 1988
23 이기백, "19세기 한국사학의 새 양상(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1981
24 허재혜, "18세기 의관의 경제적 활동양상" 71 : 1990
장서각 소장 한글 필사본『동의보감 내경편』의 국어학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7-05-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7 | 1.505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