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 P 지역의 진로 교사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진로교사 경력 5년 차 이상의 중·고등학교 진로 부장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86299
김용기 (한서대학교)
2022
Korean
Career Teacher ; Career Education ; Career Education Method ; Professionalism ; Role ; 진로교사 ; 진로 교육 ; 진로교육법 ; 전문성 ; 역할
KCI등재
학술저널
245-257(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P 지역의 진로 교사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진로교사 경력 5년 차 이상의 중·고등학교 진로 부장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본 연구는 경기도 P 지역의 진로 교사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진로교사 경력 5년 차 이상의 중·고등학교 진로 부장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다. 제1차 심층 면접 결과, 특화된 지역의 모델 구축, 입직 경로, 연수, 학습공동체, 컨설팅 운영, 모니터링단 운영으로 유목화되었다. 유목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제 2-3차 심층면접을 하였다. 심층 면접 결과, 다양성에 기반을 둔 특화된 진로교사 모델 구축, 현직 교사가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후에, 진로 교원 자격증을 취득하여 진로 교사로 전직하는 입직 경로의 일원화, 연수프로그램의 체계화,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 진로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컨설팅·모니터링단 운영으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진로 교사제가 10년 이상 시행되었고, 그 결과 법이 제정시행되었고, 인식이 변화하였다. 이로인해 진로 교사가 학교에 안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코로나 19 등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변화에 맞추어, 진로 교사 , 혼자가 학교 전체의 진로 교육을 준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육청의 진로 교육에 대한 지원 의지와 행·재정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areer teacher system in P area, Gyeonggi-do,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career managers with more tha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areer teacher system in P area, Gyeonggi-do,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career manag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career teaching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first in-depth interview, it was nomadicized into the establishment of a model in a specialized area, employment path, training, learning community, consulting operation, and monitoring group operation. The 2-3th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nomadic content.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career teacher model based on diversity, the unification of career paths for current teachers to obtain career teacher certificates, systematization of training programs, operation of learning communities to strengthen expertise, and operation of career education qua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reer teacher system was implemented for more than 10 years, and as a result, the law was enacted and implemented, and the perception changed. This allowed career teachers to settle down at school. However,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times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VID-19, there is a limit to preparing career education for the entire school alone. Therefore, the Office of Education's willingness to support career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accompanied.
헤테로 코어 광섬유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응력 측정용 쉬스관 일체형 센서모듈 개발
The Conflict Factors of Caribbean Female Writers’ Writing: Focusing on Jamaica Kincaid’s Annie John
조리전공 학생의 조리실습 교육환경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