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화콘텐츠로서 한국무용 관람추구편익과 관람만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77744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체육교육 전공 , 2009. 2
2008
한국어
서울
ⅵ, 60 p. ; 26 cm
지도교수: 신현군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화콘텐츠로서 한국무용 관람추구편익과 관람만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화콘텐츠로서 한국무용 관람추구편익과 관람만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 관람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일반인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였으며, 조사 대상의 표집은 비확률 표본 추출법 중 편의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서울 소재 5개 지역(압구정, 신촌, 홍대, 이대, 대학로)을 선정하여 총 86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이중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와 응답내용이 불성실하여 신뢰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21명의 자료를 제외하였으며, 또한 한국무용 공연을 관람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317명의 자료를 제외한 526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응답결과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나머지 설문자료를 Window용 SPSS 15. 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추구편익 차이를 분석한 결과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사교추구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추구편익차이는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사교추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추구편익 차이는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따른 추구편익차이는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사교추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관람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연만족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관람만족차이는 공연만족, 관람촉진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관람만족 차이는 공연만족 관람촉진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따른 관람만족차이는 공연만족, 관람촉진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무용 관람 추구편익이 관람만족의 하위요인인 공연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요인에서 공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구편익이 관람만족의 하위요인인 공연촉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사교추구 모든 요인에서 관람촉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t sought and the viewing satisfac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audiences. For doing this, 864 peoples who have any experiences any of Korean traditional d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t sought and the viewing satisfac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audiences. For doing this, 864 peoples who have any experiences an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eve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s including Apgujeong-dong, Shinchon, Hongik University area, Ewha Women's University area, and College Road area, an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ver. 15)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the result of the study:
1)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female than the male subject according to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escape for the ordinary living, and social 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in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escape for the ordinary life, and social 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escape for the ordinary liv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ocation in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escape for the ordinary life, and social relation.
2)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female than the male subject on the performance viewing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promotional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promotional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promotional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ocation.
3)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between the benefit sought and performance viewing satisfaction on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and escape form the ordinary life.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between the benefit sought and viewing promotional satisfaction of performance on the sought of interest, escaping form the ordinary life and social rel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