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법재판으로서 국민투표소송 = Post-referendum Litigation as Constitutional Adjudi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은 선거와 국민투표를 통해서만 국가권력을 직접 행사한다. 여기서 국민투표는넓은 뜻의 국민투표를 가리키는데, 국가의 의사형성이나 정책결정, 국가적 중요사항에관한 국민의 직접...

      국민은 선거와 국민투표를 통해서만 국가권력을 직접 행사한다. 여기서 국민투표는넓은 뜻의 국민투표를 가리키는데, 국가의 의사형성이나 정책결정, 국가적 중요사항에관한 국민의 직접적 참여수단을 모두 아우른다. 국민투표소송은 이러한 국민투표의 효력을 다투는 재판절차를 말한다. 국민투표는 직접민주주의의 일반적 실현형태로서 그헌법적 중요성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국민투표소송은 헌법학계는 물론 행정법학계에서도 거의 다루지 않는다. 다만, 행정법학계에서 민중소송의 하나로 언급하는 정도이다. 이것은 국민투표 자체가 아주 드물게 시행되는 데다가 국민투표소송은 그 판례를 찾기도 어렵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민의 직접적 주권 행사나국가의사 결정에 관한 직접 참여와 관련 있는 국민투표소송이 이렇게 무시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국민투표소송은 선거소송과 비슷한 점이 많기는 하지만, 대의제와 관련이 있는 선거소송과는 다른 점도 적지 않다. 국민투표소송은 헌법개정 국민투표소송과중요정책 국민투표소송으로 나뉜다. 법률상 국민투표소송은 행정소송의 하나인 민중소송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국민투표소송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행정소송과 다르다. 국민투표소송은 독립한 기관이 헌법과 실질적 헌법인 법률을 기준으로 사법절차나 그에 버금가는 절차로써 일반사법기관이 판단하기 어렵고 헌법구조상 중요한 헌법분쟁인 국민투표에 관한 분쟁을 종국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민투표소송은 헌법재판의모든 개념요소를 충족한다. 이러한 점에서 국민투표소송은 이론상 헌법재판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헌법재판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헌법재판소가 설립된 이상 국민투표소송도 헌법재판소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헌법 제101조 제1항이 사법권을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서 사법권은 전통적인 사법권으로헌법재판권을 아우르지 않는다. 그리고 헌법 제111조 제1항은 헌법재판소의 권한을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점에서 법률을 통해서 헌법재판소에 국민투표재판권을 부여하는 것은 헌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eople directly exercises their power only through vote and referendum. Referendum here means, in a broad sense, direct participation tools to engage in establishing the nation's will, policy decisions and important national matters. Post-referend...

      The People directly exercises their power only through vote and referendum. Referendum here means, in a broad sense, direct participation tools to engage in establishing the nation's will, policy decisions and important national matters.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a judicial proceeding where the effects of the referendum are disputed.
      There is no question about the constitutional importance of referendum as a general form of direct democracy. Nonetheless,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rarely discussed among administrative law scholars as well as constitutional law scholars. It is merely mentioned as one type of public litigation in administrative law. This attributes to the fact that referendum is very rarely conducted and there is little case regarding postreferendum litigation. However, post-referendum litigation, which relates to direct exercise of popular sovereignty and direct engagement in national decision-making procedure, should not be ignored this way. Post-referendum litigation and electoral litigation share many things in common, but differences still remain as electoral litigation relates to representative system. Post-referendum litigation falls into two categories-referendum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referendum for important national policies.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legally considered as public litigation which is one typ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However,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different from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many respects. Post-referendum litigation leads to a final and ultimate determination by an independent institution in the judicial proceeding or similar proceeding based on the constitution or statutes that function as the constitution in substance on the disputes over referendum, which are difficult for general courts to decide and also are important constitutional disputes in the constitutional system. Accordingly, post-referendum litigation meets all required elements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n this regard, post-referendum litigation is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n theory. In light of the above and to the extent that the court specializing in constitutional adjudica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take charge of post-referendum litigation. Article 101 section 1 stipulates that judicial power belongs to the judiciary consisting of judges. However, the judicial power here means the power of the judiciary in traditional sense that does not include the power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And Article 111 section 1 does not limit the power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is sense, it is not constitutionally problematic to vest the adjudication power over post-referendum litigation in the constitutional cour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헌환, "현행헌법상 「사법」의 개념과 「사법권」의 체계" 10 : 1997

      2 홍성방, "헌법학(상)" 박영사 2016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6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6

      5 황치연, "헌법정책적 측면에서 헌법재판소와 법원의 관계" 11 : 2010

      6 허완중, "헌법재판으로서 선거소송" 한국공법학회 45 (45): 203-237, 2016

      7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지위와 민주적 정당성" 법학연구원 (55) : 1-37, 2009

      8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민주적 정당성" 한국헌법학회 18 (18): 559-600, 2012

      9 정재황,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헌법재판소절차상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22 (22): 1994

      10 김학세, "행정소송의 체계" 일조각 1998

      1 이헌환, "현행헌법상 「사법」의 개념과 「사법권」의 체계" 10 : 1997

      2 홍성방, "헌법학(상)" 박영사 2016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6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6

      5 황치연, "헌법정책적 측면에서 헌법재판소와 법원의 관계" 11 : 2010

      6 허완중, "헌법재판으로서 선거소송" 한국공법학회 45 (45): 203-237, 2016

      7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지위와 민주적 정당성" 법학연구원 (55) : 1-37, 2009

      8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민주적 정당성" 한국헌법학회 18 (18): 559-600, 2012

      9 정재황,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헌법재판소절차상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22 (22): 1994

      10 김학세, "행정소송의 체계" 일조각 1998

      11 허완중, "한정위헌청구의 허용 여부" 법조협회 62 (62): 214-254, 2013

      12 음선필, "한국헌법과 국민투표" 한국토지공법학회 33 : 441-464, 2006

      13 콘라드 헷세, "통일독일헌법원론" 박영사 2001

      14 김철용, "주석 행정소송법" 박영사 2004

      15 김선택, "정책국민투표의 성격과 효력" 11 : 2000

      16 유진오, "신고 헌법해의" 일조각 1957

      17 민병로, "사법권의 개념과 헌법소송" 32 (32): 2003

      18 이주영, "민중소송, 기관소송" 법원행정처 68 : 1995

      19 전광석, "민주주의의 실현구조와 국민투표" 16 (16): 1989

      20 허완중, "명령⋅규칙에 대한 법원의 위헌⋅위법심사권" 한국법학원 135 : 41-82, 2013

      21 크리스토프 데겐하르트, "독일헌법총론" 피앤씨미디어 2015

      22 김병록, "국민투표제도소고" 8 (8): 2001

      23 김대현, "국민투표의 이론과 그 실시사례" (176) : 1989

      24 강태수, "국민투표에관한 헌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42 (42): 41-61, 2007

      25 신규하, "국민투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6 구병삭, "국민투표" 민음사 1991

      27 김선택, "국가기능체계에 있어서 헌법재판소의 역할과 한계 ―국가조직관련 헌법재판소판례의 분석과 평가―" 한국공법학회 33 (33): 179-209, 2005

      28 Klaus Stern, "Das Staatsrech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 Ⅱ"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3-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5 0.80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