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바지 중심선의 이동에 따른 바지의 실루엣 변형 실험을 통해 바지 착의 시 문제가 되는 군주름을 최소화하며, 패턴 제작에 있어 예측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바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바지 중심선의 이동에 따른 바지의 실루엣 변형 실험을 통해 바지 착의 시 문제가 되는 군주름을 최소화하며, 패턴 제작에 있어 예측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바지 ...
본 연구는 바지 중심선의 이동에 따른 바지의 실루엣 변형 실험을 통해 바지 착의 시 문제가 되는 군주름을 최소화하며, 패턴 제작에 있어 예측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바지 중심선 이동을 위한 기본 바지를 착의실험을 거쳐 선정한 후 4가지 방법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안솔기쪽으로 대각선이동, 옆솔기쪽으로 대각선이동으로 바지 중심선을 이동시켜 형태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바지 중심선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 한 결과 안솔기선의 경사도가 사선 형태에서 90°에 가까운 직선 형태로 변형되고 옆솔기선의 경사가 완만해짐으로써 바지 앞판의 ‘안솔기 허벅지 부위에 당기는 주름’과 뒷판의 ‘허벅지에서 무릎까지의 당기는 주름’이 나타났으며, 안솔기와 옆솔기가 인체 다리 각도와 달리 안쪽으로 집중됨으로써 크러치점(crotch)을 기준으로 솔기선 당김이 힙과 밑위부분에 영향을 주어 힙과 밑위부위에 가로 방향 군주름이 생기는 현상이 나타났다. 바지 보정 시 중심선을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시켜 이와 같은 현상을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2. ‘바지 중심선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한 결과 앞판에서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뒷판에서 ‘허벅지 부위의 늘어짐 및 엉덩이선에서 무릎선 사이의 불규칙한 늘어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 경우 중심선을 안솔기쪽으로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3.‘바지 중심선 안솔기 쪽으로 대각선 이동’한 결과 크러치점을 기준으로 전체적인 앞·뒤 바지의 중심선 기울기가 사선에서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변경되면서 ‘앞중심 허리에서 힙부위에 옆선을 향해 가로 방향 군주름’이 나타났으며 ‘바지 중심선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한 실험과 유사하게 ‘허리에서 무릎까지 크러치점을 향한 사선방향의 군주름’이 나타났다. 이 경우 바지 중심선을 옆솔기 쪽으로 대각선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4.‘바지 중심선 옆솔기쪽으로 대각선 이동’한 결과 앞중심 기울기가 실제 인체의 허리에서 엉덩이까지의 경사각도보다 완만해짐으로 인해 앞판에서는 ‘힙에서 허벅지 사이에 사선 방향의 군주름’, ‘안솔기 밑위에서 허벅지 늘어짐’이 나타났으며 뒷판에서는 ‘허리에서 힙’사이에 여유 없이 fit하게, ‘안솔기 밑위에서 무릎사이에 늘어짐’이 나타났다. 이 경우 중심선을 안솔기쪽으로 대각선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바지 제작 시 시행착오가 생기는 군주름이나 당기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보정, 패턴 제작 시 예측이 가능하여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