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위한 구비문학 교육 연구 -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Oral Literature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Focusing on Learners of Korean at Shand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7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구비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구비문학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구비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구비문학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효용성 검증을 위해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비문학 수업을 진행하고 그 기대효과를 정리하였다. 오늘날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요구는 과거에 비하여 매우 다양하다. 과거에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나 문학 작품까지 학습하도록 기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기존에 의사소통만을 목표로 하던 학습에서 나아가, 한국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반영하도록 학습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의 다양한 목표를 수용한 폭넓은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구비문학 작품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실제 교실에서 진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구비문학 교육과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Korean and Chinese oral literature, and presents directions for i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argues the necessity for classic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

      This research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Korean and Chinese oral literature, and presents directions for i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argues the necessity for classic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its usefulness, this research conducted classes on oral literature to the students of Korean language major at Shand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rganized the expected effects.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nowadays have more diverse demands compared to those in the past. In the past, it was difficult to expect learners to learn Korean culture, as well as literature. However, learners now should be able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reflect this in their language lives, making progress from the conventional objective aimed at communication skills only.
      When these realities are consid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seek to provide a wide range of learning materials, addressing various goals that learners have. For these reasons, this research proposes putting classics education to practical use, and presents teaching-learning scenarios that can be tried in clas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discussions about Oral Literature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呂春燕, "한국의 신앙과 민속" 北京大學出版社. 2016

      2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3 배현숙, "한국어교육에서 민요를 활용한 문화교육 연구 현황과 제언" 한국민요학회 51 (51): 35-66, 2017

      4 류종열,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학 텍스트 수록 현황과 방향" 한중인문학회 345-360, 2011

      5 안미영,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07-130, 2008

      6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7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친절한 한국어3"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8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4" 교보문고 2019

      9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3" 교보문고. 2019

      10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2" 교보문고 2019

      1 呂春燕, "한국의 신앙과 민속" 北京大學出版社. 2016

      2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3 배현숙, "한국어교육에서 민요를 활용한 문화교육 연구 현황과 제언" 한국민요학회 51 (51): 35-66, 2017

      4 류종열,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학 텍스트 수록 현황과 방향" 한중인문학회 345-360, 2011

      5 안미영,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07-130, 2008

      6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7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친절한 한국어3"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8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4" 교보문고 2019

      9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3" 교보문고. 2019

      10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2" 교보문고 2019

      11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5A" 투판즈 2013

      1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4B" 투판즈 2013

      1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4A" 투판즈 2013

      14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3B" 투판즈 2013

      15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3A』" 투판즈. 2015

      16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2B" 투판즈 2013

      17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한국어5B" 서강대학교출판부 2008

      18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한국어4B" 서강대학교출판부 2008

      19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한국어4A" 서강대학교출판부 2008

      20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한국어3B" 서강대학교출판부 2008

      21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한국어2B" 서강대학교출판부 2008

      22 김혜진,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 연구 – 국내 대학 교양 학부의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5 (15): 155-187, 2018

      23 정연숙, "문학 텍스트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의 양상" 국어교과교육학회 21 : 362-385, 2012

      24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5"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25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4"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2

      26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3"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1

      27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2"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1

      28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1"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1

      29 김서형,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작품 비교 연구 -전래 동화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7) : 113-139, 2013

      30 金英今, "朝鮮-韓國文學史(上)" 外語敎學與硏究出版社. 2010

      31 金大幸, "國語敎育과 韓國語敎育의 거리" 한국어교육학회 (112) : 1-20, 2003

      32 Hirsch, Jr., E. D, "What Your 6th Grader Needs to Know" Core Knowledge foundation. 1993

      33 Krashen, S. D., "The natural approach: Language acquisition in the classroo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