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시대의 한반도 지역어와 한국어 다양체의 교육적 시사점 =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Language’s Multiplicity for a Unified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7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nification time is defined as an era of inter-Korea exchanges and inflow through civilian exchanges and cooperation. It is defined as a phenomenon of the times. In other words, the unification era is defined as a phenomenon of the times going thr...

      The unification time is defined as an era of inter-Korea exchanges and inflow through civilian exchanges and cooperation. It is defined as a phenomenon of the times. In other words, the unification era is defined as a phenomenon of the times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maintaining, and establish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The Korean peninsula will have to go through these until it has a “body of unification.” Local languages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grouped into nine: Jeju, Jeolla, Gyeongsang, Chungcheong, Gyeonggi, Gangwon, Hwanghae, Pyeongan, and Hamgyeong language groups. These Korean dialects are what make a ‘Korean Language multiplicity’ and a 'Korean Language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when Koreas are unified, the integration of the Rhyzom-type "Korean community" can be achieved where these nine kinds of "Korean Language Multiplicity" interact and connect with each other.
      So the aim of language education in a unified Korean society should be developing language abilities of the ‘Korean Language multiplicity’. In addition, developing curricula and textbook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ommunity’ is an important tas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반도 통일시대의 뜻을 규정하면서 남북한의 언어 차이를 언어지리학적 관점에서 살펴 그로부터 한반도 언어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을 갖는다. 통일시대는 한반도가 ‘통...

      이 논문은 한반도 통일시대의 뜻을 규정하면서 남북한의 언어 차이를 언어지리학적 관점에서 살펴 그로부터 한반도 언어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을 갖는다. 통일시대는 한반도가 ‘통일의 몸’을 갖게 될 때까지 남북 간의 상호 연결 접속으로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지향하며 나아가는 통합 및 종합의 길이요, ‘조성’, ‘유지’, ‘구축’의 과정으로 전개될 한반도의 현재이자 장차 미래로 나아갈 특이점(singularity)의 위상으로 보았다.
      남북이 상호 연결 접속하는 통일시대에 남북의 언어는 이질성도 갖고 있지만, 그보다 더 강한 동질성을 갖고 있는 한반도 지역어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제주를 비롯하여, 전라, 경상, 충청, 경기, 강원, 황해, 평안, 함경이라는 아홉 방언지방으로 구획 가능한 각 지역어는 들뢰즈(Deleuze, G.) & 가타리(Guattari)가 제시한 ‘다양체(multiplicity)’로 존재하는 양상이다. 이런 관점에서 한반도 아홉 지역어는 상호 차이를 지닌 ‘언어 다양체’이며 땅속뿌리인 리좀(rhyzom)으로 존재하면서 ‘종합’의 가능성을 지닌 ‘한국어 다양체’이기도 하다. 한국어 다양체는 상호 간의 교류로 연결 접속할 때 ‘한국어 공동체’로의 통합과 종합을 이룰 수 있으며, 들뢰즈(Deleuze, G.) 철학이 지향하는 ‘생성’의 가능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반도 통일시대의 언어교육은 ‘한국어 다양체’의 언어능력 계발을 지향하며, 서로의 언어 차이를 이해하고 극복 및 종합하는 능력을 길러야 할 과제를 갖는다. 한반도가 ‘통일의 몸’을 갖는 미래를 전망하면서 언어적, 문화적 통일성을 확보하는 언어교육과 ‘한국어 공동체’의 언어능력을 육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재의 개발도 과제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옥,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2002

      2 김형규, "한국방언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2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이숭녕, "한국문화사 대계 Ⅴ"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67

      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6 통일부,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8

      7 김영배, "평안 방언 연구" 태학사 1997

      8 한명숙, "통일시대 초등국어 교과서의 명칭과 분책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111) : 33-59, 2017

      9 홍영환, "통일 이후의 시민성 교육을 위한 시론"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2-44, 2002

      10 신헌재, "통일 시대 초등국어 교과서 개발의 특성과 지향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1 최명옥,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2002

      2 김형규, "한국방언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2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이숭녕, "한국문화사 대계 Ⅴ"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67

      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6 통일부,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8

      7 김영배, "평안 방언 연구" 태학사 1997

      8 한명숙, "통일시대 초등국어 교과서의 명칭과 분책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111) : 33-59, 2017

      9 홍영환, "통일 이후의 시민성 교육을 위한 시론"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2-44, 2002

      10 신헌재, "통일 시대 초등국어 교과서 개발의 특성과 지향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11 미래엔, "초등국어 저학년 우리말 교사용 학습 안내서" 미래엔 2018

      12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13 Deleuze, G,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03

      14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11

      15 김양희, "인민학교 1학년 교과서 제재 분석: 『국어 1-1』(1986), 『국어 1-2』(1985)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 : 243-271, 2002

      16 이창근, "우리말틀 교과서의 개발 과정과 과제에 대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17 김재인, "안티 오이디푸스 : 자본주의와 분열증" 민음사 2014

      18 Edwards, M., "시민사회" 동아시아 2004

      19 강보선, "북한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의 언어문화 연구" 한국화법학회 (22) : 259-284, 2013

      20 이익섭, "방언학" 민음사 2010

      21 김공칠, "방언학" 신아사 1988

      22 이상규, "방언의 미학" 살림 2009

      23 국립국어원, "방언 이야기" 태학사. 2007

      24 Hughues, G.,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입문" 서광사 2014

      25 Bogue, R., "들뢰즈와 가타리" 새길 1995

      26 Colebrook, C., "들뢰즈 이해하기" 그린비 2002

      27 한명숙, "다문화시대의 한국어 통일과 국어교육의 과제 - ‘한국어사회’와 ‘한국어 공동체’의 개념 수립을 기반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60) : 215-237, 2016

      28 정유남, "남북한 이념적 어휘와 이질화 정도 - ≪표준국어대사전≫(웹)과 ≪조선말대사전≫(증보판)(2006)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4 : 37-76, 2019

      29 남기심,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는 심각한가?" 숙명여자대학교통일문제연구소 16 : 165-168, 1989

      30 이운식,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실태와 극복 방안-데이터베이스 구축을통한 남북한 언어 비교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23 : 163-204, 2001

      31 김혜정, "남북한 언어 이질화와 그 극복을 위한 교육 방안-북한의 광고와 뉴스 담화의 화용적 분석을 토대로-" 한말연구학회 (33) : 137-163, 2013

      32 유창근, "남북 언어의 이질화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45 : 189-103, 1989

      33 윤지혜, "남북 언어생활의 공통점과 차이점-언어 교류 통해 차이 극복해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552 : 24-24, 2019

      34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8

      35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7

      36 구현옥, "국어 방언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0

      37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38 이대성, "국립국어원 남북 언어 통합 사업의 현황과 과제" 국립국어원·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187-198, 2015

      39 이희승, "광복 40년 분단 40년을 생각한다 : 국어 오염에서 벗어나 남북한 언어이질화 극복을" 북한연구소 159 : 31-, 1985

      40 오구라 신페이, "朝鮮語方言の 硏究(上·資料篇, 下·硏究篇)" 岩波書店 1943

      41 한용운, "『겨레말큰사전』 편찬 현황과 과제" 한글학회 151-167, 2019

      42 한용운, "《겨레말큰사전》 편찬 사업의 현황과 과제" 국립국어원·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199-210, 2015

      43 이남호, "21세기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0 : 1-2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