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이후로 규제개혁을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이 활발해졌으며,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규제완화나 규제개혁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되었다. 그러나 규제완화는 새로이 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이후로 규제개혁을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이 활발해졌으며,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규제완화나 규제개혁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되었다. 그러나 규제완화는 새로이 등...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이후로 규제개혁을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이 활발해졌으며,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규제완화나 규제개혁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되었다. 그러나 규제완화는 새로이 등장한 개념이나 용어가 아니라 우리를 포함하여 주요 국가들이 오래전부터 추구해왔던 입법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법학에서의 규제란 행정규제기본법과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의 규제개념과 유형구분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치주의원리에 부응하는 규제법정주의와 규제명확성의 원칙은 규제개혁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 보충성의 원리와 관련한 논의를 통하여 국가개입의 범위와 한계 및 사회적 자율성의 범위와 한계에 관한 기본적 토대를 점검해보고, 보충성의 원리와 규제개혁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입법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규제의 절차적 통제가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의원입법과 정부입법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규제통제의 비대칭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또한 최근에 많이 논의되는 입법평가제도가 규제개혁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규제개혁의 목표와 지향점은 모든 규제를 철폐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한 규제는 철폐하거나 완화하고 필요한 규제는 유지하는 것이다. 규제철폐는 무규제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법적 규제의 형식을 변경시키거나 공법적 규제를 사법적 규제로 전환시키는 것이라는 분석이나, 규제개혁이란 규제의 완화나 폐지만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규제의 강화를 내포하는 다양한 성격을 가진 것이라는 평가도 이와 동일한 시각이라고 할 수 있다. 규제개혁의 목표는 목표없는 규제완화나 탈규제가 아니라 규제의 합리화라는 것이다. 경제적 규제와 사회적 규제를 구분하는 등 규제영역과 개별규제별로 필요한 규제와 불필요한 규제를 구분하고, 집행가능한 규제와 집행불가능한 규제를 구분하며, 규제순응도를 높이는 규제의 합리화 작업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7
2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4
3 강신일, "작은 정부를 위한 정부기능의 효율화 방안 -민영화와 정부규제완화-" 한국경제연구원 1993
4 최윤철, "입법평가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법제처 2005
5 홍완식, "입법평가의 현황과 과제" (2) : 2007
6 정호영, "입법평가를 위한 법경제학적 접근방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4
7 홍완식, "입법자의 법률개선의무에 관한 연구―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한국 헌법재판소의 결정례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1 (31): 12-12, 2002
8 홍완식, "입법의 원칙에 관한 연구" 법제처 2006
9 홍완식, "입법원칙으로서의 명확성의 원칙에 관한 연구" (2) : 2007
10 박영도, "입법심사의 체계와 방법론 In: 입법이론연구 IV" 한국법제연구원 1996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7
2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4
3 강신일, "작은 정부를 위한 정부기능의 효율화 방안 -민영화와 정부규제완화-" 한국경제연구원 1993
4 최윤철, "입법평가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법제처 2005
5 홍완식, "입법평가의 현황과 과제" (2) : 2007
6 정호영, "입법평가를 위한 법경제학적 접근방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4
7 홍완식, "입법자의 법률개선의무에 관한 연구―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한국 헌법재판소의 결정례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1 (31): 12-12, 2002
8 홍완식, "입법의 원칙에 관한 연구" 법제처 2006
9 홍완식, "입법원칙으로서의 명확성의 원칙에 관한 연구" (2) : 2007
10 박영도, "입법심사의 체계와 방법론 In: 입법이론연구 IV" 한국법제연구원 1996
11 임명현, "입법관리의 실태 및 효율화방안" 한국법제연구원 (27) : 2002
12 박영도, "입법관리로서의 입법평가의 제도화" 2006
13 임중호, "입법과정의 개선 및 발전방향, 입법과정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공법학회 2005
14 홍완식, "입법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 : 2007
15 채수근, "의원입법과 법률안비용추계, 입법에 관한 국회의 책임과 역할" 한국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5
16 전학선, "의원발의 법률안에 대한 입법부와 행정부의 협의방식에 관한 연구" 법제처 2007
17 신보성, "우리나라 자본시장규제의 선진화 방향" 한국증권연구원 2004
18 정병도, "소방규제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5) : 2005
19 홍완식, "사회현실의 변화와 입법자의 과제" 2008
20 박세일, "법경제학" 박영사 2006
21 배용수, "규제정책론" 대영문화사 2006
22 김영평, "규제의 역설" 삼성경제연구소 2006
23 사공영호, "규제완화 제약요인의 해소방안 모색" 한국행정연구원 1998
24 김일중, "규제와 재산권" 한국경제연구원 1995
25 한국경제연구원, "규제개혁종합연구"
26 함인, "규제개혁의 법과 경제" 31 (31): 2003
27 김종석, "규제개혁의 과제와 방향" (특집) : 1999
28 선정원, "규제개혁과 정부책임 -건설산업의 규제개혁실패와 공법학의 임무-" 30 (30): 2001
29 Isensee, Josef, "Subsidiaritätsprinzip und Verfassungsrecht, -Eine Studie über das Regulativ des Verhältnisses von Staat und Gesellschaft-"
30 OECD, "Regulatory Impact Analysis : Best Practices in OECD Countries"
31 Teske Paul, "Regulation in the States"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4
32 양준석, "OECD규제개혁연구:규제순응과 효율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33 Friedman, David, "Law's Or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34 Schneider, "Gesetzgebung, 3. Aufl."
35 Ruge Reinhard, "Die Gewährleistungsverantwortung des Staates und der Regulatory State" Duncker & Humblot 2003
36 Herzog, Roman, "Der überforderte Staat, FS zum Peter Lerche zum 65" Geburtstag 1993
37 조택, "Democracy and Regulation In: 민주주의와 규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8 Isensee, Jesef, "Das Grundrecht als Abwehrrecht und staatliche Schutzpflicht, §111, Handbuch des Staatsrecht, Bd.V, 2. Aufl."
39 강원택, "17대 국회전반기 2년의 평가 : 성과와 과제, 국회 운영 무엇을 어떻게 바꿔야 하나?,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2006. 7. 13"
북한의 시장경제제도로의 이행에 따른 경제관련 법제의 변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6 | 1.025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