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문화예술공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4727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공간디자인전공 , 2017.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25.8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cultural art space by applying service design

      • 형태사항

        ix, 5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이정교
        참고문헌: 장 52-54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소비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의 다양화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서비스 경제사회로 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

      현대사회는 소비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의 다양화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서비스 경제사회로 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만족스러운 문화예술 소비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예술공간에서의 적절한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주요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된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범위 및 방법에 관해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및 경향에 대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해 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요소별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제 3장에서는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연구 범위에 맞는 서울 시내 문화예술공간 사례를 한 곳 선정하여 기준에 따라 공간별 구획을 한 후 현장 답사와 웹 정보 및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화예술공간의 유형 기준에 따라 공간 구성을 세분화한다. 둘째, 이러한 문화예술공간의 세부적인 공간을 터치포인트 방법론 중심으로 코드화하여 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의 구성 요소와 각 세부 공간의 터치포인트에 적용된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문화예술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 구성 요소에 따른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 고찰 및 사례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공간의 리노베이션 디자인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예술 경험 및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있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공간에서의 가장 높은 분포 결과를 보인 곳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성 중 편리성, 상호성, 정보성에 부합한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를 반영하여 계획한 공간이었다.
      셋째,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 특성 중 다소 낮은 분포 결과를 보인 특성은 자발성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서비스 사용자의 적극적 공간 경험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디자인의 전략의 필요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은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만족을 충족시키며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공간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서비스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반영하여 특성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디자인의 특성들이 서비스 경제사회에서 문화예술공간을 포함한 공간디자인의 고품격 전략과 최적화된 공간디자인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한 사전 계획으로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다양한 기능의 공간에서의 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a service economic society triggered by the increase of interest in service and diversification of the consumers’experience needs. Demands on cultural art experiences are also increasing. In order to satisfy the c...

      Moder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a service economic society triggered by the increase of interest in service and diversification of the consumers’experience needs. Demands on cultural art experiences are also increasing. In order to satisfy the consumer demand, appropriate service design is essential in cultural art spaces.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elements of service design are applied in cultural art spaces in order to identify its main role.
      In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principle and trend of service design will be conducted and the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elements in spaces will be extracted through element analysis. Based on such criteria, the scope is narrowed to the Kumho Art Hall Yonsei among the various cultural art spaces and the spacing is specified as well.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elements of service design in the space by coding the Touchpoint method in the Kumho Art Hall Yonsei and examined each cases of the property.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design that is applied to a touch point of each detailed space; then, it studied how tho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ultural art space depending on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 design. It considered these theories and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afterwards, it ultimately derived the results on the roles and values of the service design applied to cultural art spaces.
      First, the space had a fluent cultural art experience and service of the users was harmonious between the space and the property of service design. Second, the space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result among other cultural art spaces was the one reflective of the users’ experience needs - convenienc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Third, the service design property with least distribution result needed self-complimentary strategies to satisfy the needs of service users on active space experience.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ers found out that service desig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improving corporate image since it satisfies the users’ needs for cultural art experience. In addition, it could be predicted, in the cultural art spac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space in order to have characteristics evenly distributed by reflecting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 design that forms a space. And it was confirmed that property of service design is necessary as a pre-requisite for adapting optimized space design program and high-quality space design policy under service economic society. Lastly, research on service design for the user experience in various spaces must be sustai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연구 흐름도 4
      • 제 2 장 서비스디자인과 문화예술공간 5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연구 흐름도 4
      • 제 2 장 서비스디자인과 문화예술공간 5
      • 2.1. 서비스디자인 5
      • 2.1.1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5
      • 2.1.2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 5
      • 2.1.3 공간 서비스디자인의 특성 6
      • 2.2 문화예술공간 13
      • 2.2.1 문화예술공간의 개념 및 유형 5
      • 2.2.2 문화예술공간의 경향
      • 2.3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문화예술공간 분석 매트릭스 23
      • 제 3 장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문화예술공간 사례분석 5
      • 3.1 사례연구 범위 및 방법 25
      • 3.2 사례분석
      • 3.2.1 금호아트홀 연세 26
      • (1) 금호아트홀 연세의 공간구성 및 디자인 특성
      • (2) 금호아트홀 연세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 특성
      • 3.3 종합분석 및 소결 35
      • 제 4 장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문화예술공간 디자인 제안 40
      • 4.1 프로그램 40
      • 4.1.1 디자인 배경 40
      • 4.1.2 선정 대상 41
      • 4.2 플래닝 42
      • 4.2.1 디자인 프로세스 42
      • 4.2.2 디자인 컨셉 44
      • 4.3 디자인 프로덕션 48
      • 4.3.1 Circulation 40
      • 4.3.2 Perspective 40
      • 4.4 판넬 계획 48
      • 제 5 장 결론 35
      • 참고문헌 55
      • Abstract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