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관료적 조직 경쟁과 기획의 과잉: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Bureaucratic Competition between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Problem of Excessive Planning of National R&D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9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lanning is recognized as the product of rationality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feasibility. This, however, is not all the cases, it may be used as a means to legitimize some sort of behavior. Public organizations are tend to pursuit their own goal in stead of public one which can be termed as goal displacement for securing abundant resource and extended domain in highly competitive situation. They often attempt to legitimize their illegitimate pursuit of private goal by showing well-decorated plan. In this case, planning is the process to realize private interests an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policy space. This is why planning prevails in the policy area of national R&D in Korea. Excessive planning caused by increasing demand to well-organized plans and goal displacement in public agencies leads to inefficiency and ineffectiveness of public programs and projects.
      번역하기

      Planning is recognized as the product of rationality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feasibility. This, however, is not all the cases, it may be used as a means to legitimize some sort of behavior. Public organizations are tend to pursuit their own goal ...

      Planning is recognized as the product of rationality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feasibility. This, however, is not all the cases, it may be used as a means to legitimize some sort of behavior. Public organizations are tend to pursuit their own goal in stead of public one which can be termed as goal displacement for securing abundant resource and extended domain in highly competitive situation. They often attempt to legitimize their illegitimate pursuit of private goal by showing well-decorated plan. In this case, planning is the process to realize private interests an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policy space. This is why planning prevails in the policy area of national R&D in Korea. Excessive planning caused by increasing demand to well-organized plans and goal displacement in public agencies leads to inefficiency and ineffectiveness of public programs and pro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획은 실현가능성을 전제로 합리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의 인식이나 기대와는 달리 실현가능성과 상관없이 특정한 행위를 합리화하는 정당화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치열한 외부 경쟁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공익보다 사익 추구를 우선시하는 목표 대치가 발생하게 되면, 영역 확장과 자원 확보를 위한 정부 부처들간의 관료적 조직 경쟁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정부 부처들은 그럴 듯한 기획을 통해 자신들의 주장을 합리화하고 제한된 자원인 예산을 확보하려고 시도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획은 공익의 실현이나 계획의 실현 가능성보다는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실현하는 내용을 반영하는 과정이며, 조직간의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를 점하려는 과정에서 경쟁적인 기획이 이루어짐으로써 불필요한 계획이 양산되는 ‘과잉 기획’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기획의 과잉은 기획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외부적 상황과 사익이 공익보다 우선시 되는 목표 대치에 의해 촉발되며, 공공부문의 비효율을 만들어 내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번역하기

      기획은 실현가능성을 전제로 합리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의 인식이나 기대와는 달리 실현가능성과 상관없이 특정한 행위를 합리화하는 정...

      기획은 실현가능성을 전제로 합리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의 인식이나 기대와는 달리 실현가능성과 상관없이 특정한 행위를 합리화하는 정당화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치열한 외부 경쟁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공익보다 사익 추구를 우선시하는 목표 대치가 발생하게 되면, 영역 확장과 자원 확보를 위한 정부 부처들간의 관료적 조직 경쟁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정부 부처들은 그럴 듯한 기획을 통해 자신들의 주장을 합리화하고 제한된 자원인 예산을 확보하려고 시도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획은 공익의 실현이나 계획의 실현 가능성보다는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실현하는 내용을 반영하는 과정이며, 조직간의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를 점하려는 과정에서 경쟁적인 기획이 이루어짐으로써 불필요한 계획이 양산되는 ‘과잉 기획’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기획의 과잉은 기획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외부적 상황과 사익이 공익보다 우선시 되는 목표 대치에 의해 촉발되며, 공공부문의 비효율을 만들어 내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과학기술과 사회」" 한울 아카데미; Science Macmillan Press 19981991

      2 "한국 과학기술 정책과정의 조정과 통합: 체제이론에 의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분석" 9 (9): 211-236, 2000

      3 "퇴직공직자 산하기관 재취업 여전 - 본보, 盧정부 출범이후 현황 조사" 동아일보 2004a

      4 "정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 시스템 강화 동향" 16 (16): 2006

      5 "정부연구개발사업의 구조개편 동향 및 향후 추진방향" 16 (16): 20-34, 2006

      6 "정부 부처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사분야 중복투자 심각" 경향신문 2003

      7 "우리나라 중앙관서의 예산 편성에 대한 예산담당관의 인식조사" 38 (38): 93-110, 2004

      8 "우리나라 기술공급정책의 상황적 고찰" 7 (7): 253-288, 1998

      9 "새재무행정학. 2판" 대영문화사 2004

      10 "새로운 국가혁신체제 구축 전략: 모방에서 창조로" 15 (15): 2-17, 2005

      1 "「과학기술과 사회」" 한울 아카데미; Science Macmillan Press 19981991

      2 "한국 과학기술 정책과정의 조정과 통합: 체제이론에 의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분석" 9 (9): 211-236, 2000

      3 "퇴직공직자 산하기관 재취업 여전 - 본보, 盧정부 출범이후 현황 조사" 동아일보 2004a

      4 "정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 시스템 강화 동향" 16 (16): 2006

      5 "정부연구개발사업의 구조개편 동향 및 향후 추진방향" 16 (16): 20-34, 2006

      6 "정부 부처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사분야 중복투자 심각" 경향신문 2003

      7 "우리나라 중앙관서의 예산 편성에 대한 예산담당관의 인식조사" 38 (38): 93-110, 2004

      8 "우리나라 기술공급정책의 상황적 고찰" 7 (7): 253-288, 1998

      9 "새재무행정학. 2판" 대영문화사 2004

      10 "새로운 국가혁신체제 구축 전략: 모방에서 창조로" 15 (15): 2-17, 2005

      11 "산자부 R&D예산 2조원 ‘눈먼 돈’/자격 미달 ·중복혜택 업체 지원강요 영향력 행사 /재심·평가위원 교체 퇴직자 근무업체 특혜 의혹도" ^한겨레 2003

      12 "대형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의 체계적 도입방안" 12 (12): 51-76, 2003

      13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 부실" 2004

      14 "국가과학기술 정책 개편의 필요성과 방향" (가을호) : 2003

      15 "과학기술정책 관리의 변화와 대응: 지역협력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10 (10): 155-176, 2001

      16 "과학기술발전에 잇어서 행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개발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8228) : 1991

      17 "과학기술 관련 중장기 계획의 분석과 시사점" 58 : 2006

      18 "과학계 ‘큰손’이 혈세 삼킨다" 한겨레21 494-, 2004

      19 "감사결과처분요구서 -IT 등 첨단기술산업 관련시책 추진실태" 서울: 감사원 2004

      20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ing" 1979

      21 "The New Politics of the Budgetary Process" Harper Collins Puslishers Inc 1992

      22 "Science as Power" Macmillan Press 1989

      23 "Rescuing Policy Analysis from PPBS Classics of Public Administration" Aaron Brooks/Cole 319-334, 1969

      24 "Lond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udies" 1975

      25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 1963

      26 "Can State Government Actions Affect Innovation and Its Diffusion?: An Extended Communication Model and Empirical Test" 54 : 57-77, 1997

      27 "Beyond Open System Models of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JAI Press 3-39, 1979

      28 "An Assessment of Government Innovation Policies" Martin's Press government in (government in): 1988

      29 "<장외영향력과 조직> 정음사;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19881978

      30 "200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 결과"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1 1.11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