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융소비자보호법상의 영업행위 준수사항에 대한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46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금융소비자보호법은 금융상품의 판매행위와 관련된 규제를 전반적으로 규율함으로써 현행 업권별 규제체계 하에서 발생하는 규제차익의 문제를 해소하고 금융상품에 대한 불완전판매를 방지하여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시행으로 금융소비자보호규제를 하나의 통합법으로 규율함으로써 규제의 명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고하고, 금융상품 판매행위 규제의 강화를 통하여 보다 금융소비자를 두텁게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디지털금융의 확산에 따른 금융환경의 변화와 함께 비대면 거래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금융거래에 있어 금융소비자의 보호, 전체 인구의 약 15.5%를 초과하고 있는 800만명 이상의 고령자의 금융거래에 대한 보호, 최근 해외금리연계 DLF 불완전판매 과정에서 나타난 고위험 금융상품 판매에 있어 금융소비자 보호 문제 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와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금융소비자보호법은 동일기능-동일규제라는 원칙하에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등이 준수해야 할 최소한의 행위준칙을 설정하고, 금융상품이나 금융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행위규제를 설정하여 금융상품 판매행위와 관련된 규제를 전반적으로 규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상품 판매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금융소비자보호법은 금융상품의 판매행위와 관련된 규제를 전반적으로 규율함으로써 현행 업권별 규제체계 하에서 발생하는 규제차익의 문제를 해소하고 금융상품에 대한 불완전판매를 ...

      금융소비자보호법은 금융상품의 판매행위와 관련된 규제를 전반적으로 규율함으로써 현행 업권별 규제체계 하에서 발생하는 규제차익의 문제를 해소하고 금융상품에 대한 불완전판매를 방지하여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시행으로 금융소비자보호규제를 하나의 통합법으로 규율함으로써 규제의 명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고하고, 금융상품 판매행위 규제의 강화를 통하여 보다 금융소비자를 두텁게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디지털금융의 확산에 따른 금융환경의 변화와 함께 비대면 거래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금융거래에 있어 금융소비자의 보호, 전체 인구의 약 15.5%를 초과하고 있는 800만명 이상의 고령자의 금융거래에 대한 보호, 최근 해외금리연계 DLF 불완전판매 과정에서 나타난 고위험 금융상품 판매에 있어 금융소비자 보호 문제 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와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금융소비자보호법은 동일기능-동일규제라는 원칙하에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등이 준수해야 할 최소한의 행위준칙을 설정하고, 금융상품이나 금융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행위규제를 설정하여 금융상품 판매행위와 관련된 규제를 전반적으로 규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상품 판매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intends to regulate business conducts related to selling financial products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regulatory absence or regulatory arbitrage occurring under the current regulation system by each business category. Further, it seeks to prevent unfair and illegal sales of financial products in order to promote protection of financial consumers. The Act prescribes general principles on selling financial products including suitability rule and explanation duty. Moreover, it divides financial consumers into general financial consumers and professional financial consumers and differentiates the level of protection, and further differentiate the level and contents of observance by each financial product, considering risk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financial products. The Act intends to unify the regulation of sales activities of financial companies, to establish an integrated supervision system, to set up rules of business conduct with respect to selling financial products, to promote protection of financial consumers, and to create sound financial transaction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market. However, further review and supplementation of the protection of elderly financial consumers, non-face-to-face transactions, and high-risk transactions are needed.
      번역하기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intends to regulate business conducts related to selling financial products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regulatory absence or regulatory arbitrage occurring under the current regulation system by each business ca...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intends to regulate business conducts related to selling financial products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regulatory absence or regulatory arbitrage occurring under the current regulation system by each business category. Further, it seeks to prevent unfair and illegal sales of financial products in order to promote protection of financial consumers. The Act prescribes general principles on selling financial products including suitability rule and explanation duty. Moreover, it divides financial consumers into general financial consumers and professional financial consumers and differentiates the level of protection, and further differentiate the level and contents of observance by each financial product, considering risk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financial products. The Act intends to unify the regulation of sales activities of financial companies, to establish an integrated supervision system, to set up rules of business conduct with respect to selling financial products, to promote protection of financial consumers, and to create sound financial transaction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market. However, further review and supplementation of the protection of elderly financial consumers, non-face-to-face transactions, and high-risk transactions ar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금융소비자보호법의 금융상품판매업자등의 영업행위 준수사항
      • Ⅲ.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입법적 보완사항 검토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금융소비자보호법의 금융상품판매업자등의 영업행위 준수사항
      • Ⅲ.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입법적 보완사항 검토
      • Ⅳ.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영, "핀테크 시대의 금융소비자 보호: 문제점과 검토사항" KIRI 2017

      2 박선종, "최근 판례를 통하여 본 금융투자상품의 설명의무 -설명의무의 구체적 인정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14 (14): 61-84, 2013

      3 이성복, "최근 국내의 금융소비자 보호 환경 변화와 대응" 2018

      4 증권법학회, "자본시장법 주석서Ⅰ" 박영사 2009

      5 금융위원회, "소비자 친화적·맞춤형 금융시스템 구축을 위한 금융소비자 보호 종합방안"

      6 이성복, "비대면 금융거래 증가에 따른 리스크와 정책적 시사점" 14 (14): 2017

      7 한국금융투자보호재단, "복잡한 금융상품(complex financial products) 판매 시 적합성원칙의 적용" 2019

      8 보험연구원, "보험 모집 행위의 의미 및 범위에 대한 검토" 2018

      9 한국금융연구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금융상품판매에 대한 소비자보호 방안 연구" 금융위원회 2018

      10 한국금융신문, "기업은행, 만 80세 이상 고객에게 고위험상품 판매금지"

      1 박선영, "핀테크 시대의 금융소비자 보호: 문제점과 검토사항" KIRI 2017

      2 박선종, "최근 판례를 통하여 본 금융투자상품의 설명의무 -설명의무의 구체적 인정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14 (14): 61-84, 2013

      3 이성복, "최근 국내의 금융소비자 보호 환경 변화와 대응" 2018

      4 증권법학회, "자본시장법 주석서Ⅰ" 박영사 2009

      5 금융위원회, "소비자 친화적·맞춤형 금융시스템 구축을 위한 금융소비자 보호 종합방안"

      6 이성복, "비대면 금융거래 증가에 따른 리스크와 정책적 시사점" 14 (14): 2017

      7 한국금융투자보호재단, "복잡한 금융상품(complex financial products) 판매 시 적합성원칙의 적용" 2019

      8 보험연구원, "보험 모집 행위의 의미 및 범위에 대한 검토" 2018

      9 한국금융연구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금융상품판매에 대한 소비자보호 방안 연구" 금융위원회 2018

      10 한국금융신문, "기업은행, 만 80세 이상 고객에게 고위험상품 판매금지"

      11 이영철,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에 있어서의 설명의무" 법학연구원 20 (20): 775-815, 2008

      12 원승연, "금융투자상품 시장에서의 금융소비자 보호 -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22 (22): 35-67, 2011

      13 안수현, "금융소비자의 사전적 보호제도의 평가 및 제언" 2016

      14 한국개발연구원, "금융소비자보호제도 현황과 개선방안" 금융위원회 2010

      15 한창희, "금융소비자보호법안상의 영업행위준수사항" 국민대학교 (5) : 2013

      16 김병연,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적합성 원칙의 도입과 과제" 한국금융연구원 19 (19): 2010

      17 김정연, "금융상품자문법리 정립을 위한 시론" 법학연구소 58 (58): 365-410, 2017

      18 황진자, "금융상품 판매에 있어 고령소비자보호 방안" 한국소비자원 (41) : 171-183, 2012

      19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상품 자문업 활성화 방안 연구" 금융위원회 2015

      20 한국금융연구원, "금융광고 규제 개선에 관한 연구" 금융위원회 2014

      21 국회정무위원회, "금융계약시 소비자 차별금지 의무 부과등" 2017

      22 금융위원회, "고위험 금융상품 투자자보호 강화를 위한 종합 개선방안"

      23 금융감독원, "고령층에 대한 대출거래 차별관행 폐지"

      24 이승진, "고령소비자의 금융거래에 관한 권익 향상 방안" 법학연구소 27 (27): 591-624, 2016

      25 예금보험공사, "고령 금융소비자 보호 국제기준 및 일본 사례" KDIC 2020

      26 어수용, "계약체결과정에서의 설명의무와 선택권의 보호 - 대법원 2010.2.25. 선고 2009다86000 판결에 대한 평석 -" 한국재산법학회 27 (27): 87-127, 2011

      27 노태석,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상의 판매행위 규제에 관한 검토" 한국소비자원 44 (44): 105-131, 2013

      28 금융보안원, "2020 디지털금융 이슈 전망" 2019

      29 한국은행, "2018년도 금융정보화 추진 현황" 2019

      30 금융위원회, "(가칭)금융소비자 보호법 제정 기본방향 토론회개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8-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aw Resarch Institute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9 0.81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