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8년 범불교도대회를 통해서 본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 ‘총성 없는 전쟁’ = Conflict between Korean Protestantism and Korean Buddhism: Focused on ‘Bum-Bul-Gyo-Do-Dae-Ho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ear 2008, August 27th, A buddhist anti-government demonstration which is called as ‘Bum-Bul-Gyo-Do-Dae-Hoe’ have out-broken at plaza front Seoul city-hall. Most of korean buddhists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many monks attended at the demonstration.
      At a glance, the demonstration is seemed like a conflict between Lee Myeong Bak government and Korean buddhism. But, at a gulf of the demonstration, long standing conflict between Protestantism and Buddhism in Korea which we called as ‘war without gun shot’ have made a steady progress. So, we can not but inquire the causes and conditions of the confli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well known, the roots of this conflictisidealistfundamentalismofKoreanProtestantism.Second,the substantial energy of it is secular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wealth which Korean Protestant have accumulated until now. But these two factors is indirect conditions of the demonstration, The direct factor or cause of the demonstration is not only many unfair events done by public officials who are known as protestant but also many offensive and assault sermons by several famous clergyman of which contents are constituted of blasphemy against Buddha and negation of buddhist doctrine and buddhism itself. Actually, many accidents overrode the wishes and expectations of Korean buddhists have occurred since the advent of Lee Myeong Bak government. Meanwhile, we also have paid attention to the way that this religious conflicts is related to many social conflicts in Korea including Buddhism-state conflict, political conflict of regions, class conflict and religious conflicts at several private sectors such as home, work site, peer group. Because this way is peculiar phenomena in Korea well known as multiple religious society.
      번역하기

      The year 2008, August 27th, A buddhist anti-government demonstration which is called as ‘Bum-Bul-Gyo-Do-Dae-Hoe’ have out-broken at plaza front Seoul city-hall. Most of korean buddhists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many monks attended at the dem...

      The year 2008, August 27th, A buddhist anti-government demonstration which is called as ‘Bum-Bul-Gyo-Do-Dae-Hoe’ have out-broken at plaza front Seoul city-hall. Most of korean buddhists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many monks attended at the demonstration.
      At a glance, the demonstration is seemed like a conflict between Lee Myeong Bak government and Korean buddhism. But, at a gulf of the demonstration, long standing conflict between Protestantism and Buddhism in Korea which we called as ‘war without gun shot’ have made a steady progress. So, we can not but inquire the causes and conditions of the confli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well known, the roots of this conflictisidealistfundamentalismofKoreanProtestantism.Second,the substantial energy of it is secular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wealth which Korean Protestant have accumulated until now. But these two factors is indirect conditions of the demonstration, The direct factor or cause of the demonstration is not only many unfair events done by public officials who are known as protestant but also many offensive and assault sermons by several famous clergyman of which contents are constituted of blasphemy against Buddha and negation of buddhist doctrine and buddhism itself. Actually, many accidents overrode the wishes and expectations of Korean buddhists have occurred since the advent of Lee Myeong Bak government. Meanwhile, we also have paid attention to the way that this religious conflicts is related to many social conflicts in Korea including Buddhism-state conflict, political conflict of regions, class conflict and religious conflicts at several private sectors such as home, work site, peer group. Because this way is peculiar phenomena in Korea well known as multiple religious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8년 8월 27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는 2008년 종교사회의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바로 한국불교가 종단이나 종파를 초월하여 시청 앞에 모여 반정부구호를 외친 ‘범불교도대회’였다. 언뜻 보기에 이 대회는 대정부투쟁 혹은 국가와 불교의 갈등적 관계로 이해되기 십상이다. 그러나 그 심층에는 한국개신교와 한국불교의 갈등이라는 ‘총성 없는 전쟁’이 발발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종교간 갈등이 발생하는가? 이 글에서는 그 원인을 관념적 근본주의와 물질적 이해관계에서 찾았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이론적 관점 속에서 2008년 범불교도대회를 통해 드러난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의 특수성을 해명하고, 나아가 한국사회의 경험을 토대로 종교 간 갈등이 사회갈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논의해 봄으로써 종교 간 갈등의 종교사회학적 함의를 암시적으로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종교편향 사례가 급증하였는데, 이는 ‘관념적 근본주의’와 ‘현세지향적인 세속적 태도’가 양립하는 한국개신교 고유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실제로 한국기독교 근본주의야말로 기독교 배타주의(혹은 최근 종교편향 사례)의 뿌리였고, 한국개신교의 실질적인 힘 즉 경제 권력이라 할 수 있는 자본 축적뿐만 아니라 정치권력이 그 줄기였다. 그것이 2008년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의 근간이었다. 그리고 이명박 정부 등장 이후 지속적으로 반복된 종교편향 사례는 범불교도대회의 직접적인 도화선, 즉 촉발요인이었다.
      문제는 이제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은 휴전선도 없는 ‘총성 없는 전쟁’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렇듯 종교 간 갈등은 그 자체로 사회갈등의 중요한 한 측면이다. 그러나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종교 간 갈등이 의미를 가지는 또 다른 이유는 그것이 여타 사회갈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종교 간 갈등은 국가-종교 관계, 정치적 갈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역 갈등이나 계급 갈등 등 기존의 사회갈등과 상승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게다가 오늘날 한국인들은 가족 사이, 친구 사이, 직장동료 사이와 같은 사적인 삶의 영역에서 일상적으로 종교 간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한국불교와 한국개신교의 갈등은 동양문화와 서양문화 혹은 한국 전통문화와 서구 근대문화 사이의 갈등으로 쉽게 치환된다. 이렇게 볼 때, 다종교사회의 종교사회학적 연구에서 종교 간 갈등은 종교와 사회갈등의 관계를 필요불가결한 변수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2008년 8월 27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는 2008년 종교사회의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바로 한국불교가 종단이나 종파를 초월하여 시청 앞에 모여 반정부구호를 외친 ‘범불교도대...

      2008년 8월 27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는 2008년 종교사회의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바로 한국불교가 종단이나 종파를 초월하여 시청 앞에 모여 반정부구호를 외친 ‘범불교도대회’였다. 언뜻 보기에 이 대회는 대정부투쟁 혹은 국가와 불교의 갈등적 관계로 이해되기 십상이다. 그러나 그 심층에는 한국개신교와 한국불교의 갈등이라는 ‘총성 없는 전쟁’이 발발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종교간 갈등이 발생하는가? 이 글에서는 그 원인을 관념적 근본주의와 물질적 이해관계에서 찾았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이론적 관점 속에서 2008년 범불교도대회를 통해 드러난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의 특수성을 해명하고, 나아가 한국사회의 경험을 토대로 종교 간 갈등이 사회갈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논의해 봄으로써 종교 간 갈등의 종교사회학적 함의를 암시적으로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종교편향 사례가 급증하였는데, 이는 ‘관념적 근본주의’와 ‘현세지향적인 세속적 태도’가 양립하는 한국개신교 고유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실제로 한국기독교 근본주의야말로 기독교 배타주의(혹은 최근 종교편향 사례)의 뿌리였고, 한국개신교의 실질적인 힘 즉 경제 권력이라 할 수 있는 자본 축적뿐만 아니라 정치권력이 그 줄기였다. 그것이 2008년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의 근간이었다. 그리고 이명박 정부 등장 이후 지속적으로 반복된 종교편향 사례는 범불교도대회의 직접적인 도화선, 즉 촉발요인이었다.
      문제는 이제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은 휴전선도 없는 ‘총성 없는 전쟁’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렇듯 종교 간 갈등은 그 자체로 사회갈등의 중요한 한 측면이다. 그러나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종교 간 갈등이 의미를 가지는 또 다른 이유는 그것이 여타 사회갈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종교 간 갈등은 국가-종교 관계, 정치적 갈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역 갈등이나 계급 갈등 등 기존의 사회갈등과 상승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게다가 오늘날 한국인들은 가족 사이, 친구 사이, 직장동료 사이와 같은 사적인 삶의 영역에서 일상적으로 종교 간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한국불교와 한국개신교의 갈등은 동양문화와 서양문화 혹은 한국 전통문화와 서구 근대문화 사이의 갈등으로 쉽게 치환된다. 이렇게 볼 때, 다종교사회의 종교사회학적 연구에서 종교 간 갈등은 종교와 사회갈등의 관계를 필요불가결한 변수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구, "현대 개신교와 종교권력 in: 현대사회에서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 동연 2008

      2 김녕, "한국정치와 교회: 국가갈등" 소나무 1996

      3 최우영, "한국사회의 잠재된 종교전쟁 in: 한국사회의 통합과 배제" 2008

      4 강인철, "한국기독교회와 국가·시민사회"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5 길희성, "한국기독교의 배타주의: 근원과 현상" 감신대 통합학문연구소․성공회대 신학연구소․한신대 학술원 신학연구소 2008

      6 이원규, "한국교회 무엇이 문제인가?"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8

      7 노치준, "한국 개신교 사회학" 한울 1998

      8 오경환, "종교사회학" 서광사 1979

      9 윤이흠, "종교갈등의 현실과 화해의 모색" 현대사회연구소 25 : 1987

      10 서명원, "종교간 화해의 실마리를 찾아서" 만해사상실천선양회 37 : 2008

      1 이진구, "현대 개신교와 종교권력 in: 현대사회에서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 동연 2008

      2 김녕, "한국정치와 교회: 국가갈등" 소나무 1996

      3 최우영, "한국사회의 잠재된 종교전쟁 in: 한국사회의 통합과 배제" 2008

      4 강인철, "한국기독교회와 국가·시민사회"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5 길희성, "한국기독교의 배타주의: 근원과 현상" 감신대 통합학문연구소․성공회대 신학연구소․한신대 학술원 신학연구소 2008

      6 이원규, "한국교회 무엇이 문제인가?"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8

      7 노치준, "한국 개신교 사회학" 한울 1998

      8 오경환, "종교사회학" 서광사 1979

      9 윤이흠, "종교갈등의 현실과 화해의 모색" 현대사회연구소 25 : 1987

      10 서명원, "종교간 화해의 실마리를 찾아서" 만해사상실천선양회 37 : 2008

      11 빌프리트 뢰리히(Rohrich, Wilfried), "종교 근본주의와 종교분쟁" 바이북스 2007

      12 김기석, "제국의 장벽을 넘어 생명으로 in: 제국의 신" 동연 2008

      13 김지방, "정치교회" 교양인 2007

      14 이거룡, "이웃종교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 만해사상실천선양회 37 : 2008

      15 최우영, "유교와 기독교에서의 죽음 이해" 한국사회학회 2006

      16 유승무, "역사상의 불교권력 in: 현대사회에서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 동연 2008

      17 정성원, "성리학적 근본주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18 오토 마두로(Maduro, Otto), "사회적 갈등과 종교" 한국신학연구소 1993

      19 죠지 마르스텐(Marsden, George M), "미국의 근본주의와 복음주의 이해" 성광문화사 1998

      20 앤드류 밀너(Milner, Andrew), "문화유물론의 이론적 전개" 현대미학사 2005

      21 정갑영, "다종교사회에서의 종교 간 화합 방안"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22 손규태, "기독교 역사에서 본 종교의 권력화 in: 현대사회에서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 동연 2008

      23 제임스 바(Barr, James), "근본주의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78

      24 김일권, "근대 다종교 경험과 종교갈등의 회통 문제 in: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5 "http://www.ohmynews.com"

      26 통계청, "2005년 인구 및 주택 총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9-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사회사상 -> 사회사상과 문화
      외국어명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3-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nrnal of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3 1.56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