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의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61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창조경제를 활용한 지역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박근혜 정부 들어 창조경제가 화두가 되고 있지만, 초기에 이스라엘, 영국, 독일의 창조경제 사이에서 표류하였고, 아직 가...

      본 논문은 창조경제를 활용한 지역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박근혜 정부 들어 창조경제가 화두가 되고 있지만, 초기에 이스라엘, 영국, 독일의 창조경제 사이에서 표류하였고, 아직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어떤 분야에서 어떤 나라에서 최종적 결과물인 제도를 토양이 다른 한국에 이식하는 것, 즉 단순한 제도의 이식은 가능하지 않다. 한국에서 창조경제가 제도의 이식을 넘어, 사회적 시스템으로 뿌리를 내리기 위하여는 한국에 적합한 토착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본 논문은 1)창조경제의 개념과 창조산업의 개념을 고찰하고, 2)창조경제의 선진 사례로써, 이스라엘, 영국, 독일, 미국을 고찰하고, 3)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와 역사와 문화가 다른 나라에서 성공한 창조경제를 지역에서 우리에게 적용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각각의 창조경제의 선진국들은 자신들의 토양에 맞게 오랜 시간 동안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창조경제를 발전시켜 왔고, 장점 뿐만 아니라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와 다른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비판적인 외국 제도의 수용은 위험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적 창조경제의 방향을, 1)유사/중복 정책의 조정과 연계, 2)한국적 창조경제 모델 개발, 3)창조생태계의 조성, 4)창조인력의 유입, 5)창조적 아이디어의 발굴과 창조산업화, 6)재창조와 활용을 통한 가치 증대로 들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reative economy, creative industry, and to find opportun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creative economy. This study focuses on case studies in creative economy in Israel, the United Kingdom, German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reative economy, creative industry, and to find opportun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creative economy. This study focuses on case studies in creative economy in Israel, the United Kingdom, Germany, USA and Australia. Israel has the advantage of IT and venture companies. The United Kingdom has an advantage in the field of creative literature and cultural business. Germany has the advantage of small business and craftsmanship. The USA has the advantage of entrepreneurial sprit, economic compensation, and equal opportunities. Local government played good role in Australia. While these nations have their own strengths, they also have their own weaknesses. Thus the cases of these nations are not simply applicable to Korea. We must be alert to the possibility of unquestioning acceptance of foreign institution. Present Park Geun-hye has been emphasizing a ‘creative economy’ as one of the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revitalizing Korea’s sluggish economy. The Korean government has listed strategies with creating an environmental for creative economy, strengthening the growth power for job creation, small-and medium-size firms leading the creative economy, seeking advances in scientific technology through originality and innovation, establishing a market economy with apt principles and economic management that supports growth. The main problem with creative economy is that its definition is not crystal clear in Korea. In fact, people are putting ‘creative economy’ labels everywhere in Korea. Recreation and application is necessary for Kore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articularities of Korea properly and throughly. This paper suggests several directions of Korean creative econo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창조경제와 창조산업
      • 3. 창조경제의 사례 연구
      • 3.1. 이스라엘
      • Abstract
      • 1. 서론
      • 2. 창조경제와 창조산업
      • 3. 창조경제의 사례 연구
      • 3.1. 이스라엘
      • 3.2. 영국
      • 3.3. 독일
      • 3.4. 미국
      • 3.5. 호주
      • 4.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 4.1. ICT와 고용 중심의 창조경제
      • 4.2. 창조성 보다는 대기업의 투자 유치에 의존
      • 5. 창조경제를 활용한 지역발전의 방향
      • 5.1. 한국적 창조경제 모델 개발
      • 5.2. 창조생태계의 조성
      • 5.3. 창조인력의 양성
      • 5.4. 창조적 아이디어의 발굴과 창조산업화
      • 5.5. 확산과 파급효과의 창출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lorida, R, "후즈 유어 시티" 브렌즈 2008

      2 윤현영, "해외사례분석: 호주-디지털콘텐츠 산업 육성과 연계" 60 : 29-36, 2013

      3 김정곤, "해외사례를 통해서 본 창조경제 정책의 목적과 개념, 내용"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4 김영욱, "한국형 창조경제의 길" FKI미디어 2013

      5 임형백, "한국 국토 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 한울 2013

      6 송은실, "청년창업가의 창업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경상북도 청년CEO 육성사업을 사례로 -"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77-193, 2012

      7 김주환, "창조경제의 개념 및 각국 추진 사례"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2013

      8 임형백, "창조경제를 활용한 지역발전의 방향"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161-188, 2014

      9 김기현,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북코리아 2013

      10 백준봉, "창조경제란 무엇이며 경제 메커니즘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kt 경제경영연구소 2013

      1 Florida, R, "후즈 유어 시티" 브렌즈 2008

      2 윤현영, "해외사례분석: 호주-디지털콘텐츠 산업 육성과 연계" 60 : 29-36, 2013

      3 김정곤, "해외사례를 통해서 본 창조경제 정책의 목적과 개념, 내용"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4 김영욱, "한국형 창조경제의 길" FKI미디어 2013

      5 임형백, "한국 국토 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 한울 2013

      6 송은실, "청년창업가의 창업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경상북도 청년CEO 육성사업을 사례로 -"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77-193, 2012

      7 김주환, "창조경제의 개념 및 각국 추진 사례"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2013

      8 임형백, "창조경제를 활용한 지역발전의 방향"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161-188, 2014

      9 김기현,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북코리아 2013

      10 백준봉, "창조경제란 무엇이며 경제 메커니즘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kt 경제경영연구소 2013

      11 허성욱, "창조경제 관련 OECD 논의 동향: 과학기술과 ICT를 활용한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현안의 해결" 69 (69): 2013

      12 차두원, "창조경제 개념과 주요국 정책 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13 이민화, "창조경제" 북콘서트 2013

      14 박호균, "창업국가, 이스라엘 벤처 생태계" 1-32, 2013

      15 최윤기,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창조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2014

      16 이환범, "지방 R&D 기관의 운영 효율화 및 성과 제고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315-336, 2012

      17 김왕동, "주요국의 창조경제 정책현황과 사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18 정성호, "유대인" 살림 2012

      19 홍지연, "아이의 영재성을 찾아주는 책읽기 방법" 큰나 2010

      20 이동휘, "실리콘밸리 견문록" 제이펍 2015

      21 문화체육관광부, "스마트환경하에서의 콘텐츠산업의 차별적 접근 전략"

      22 임형백, "북한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 전망:북한내부요인과 통일 이후 경기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11 (11): 85-112, 2009

      23 배영임, "벤처생태계의 내실화 촉진을 위한 정책연구: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원 2012

      24 유철규, "박근혜 정부의 경제‧사회정책: 경제민주화와 복지의 실종" 한울아카데미 15-36, 2014

      25 조흥구, "녹색성장 정책추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01-129, 2012

      26 Florida, R,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Basic Books 2002

      27 Avnimelech, G., "The Growth of Venture Capital: A Cross-Cultural Comparison" Praeger Publishers 207-240, 2003

      28 Digits, "The Facebook App Economy"

      29 Cunningham, S. D, "The Creative Economy: Patterning the Future, Dialogue" 26 (26): 15-23, 2007

      30 Howkins, J, "The Creative Economy: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s" Harmondsworth: Penguin 2001

      31 Friedmann, J, "Retracking America: A Theory of Transactive Planning, Garden City" Anchor Press 1973

      32 NESTA, "Manifesto for the Creative Economy"

      33 Simon, H, "Hidden Champion of the 21st Century" Springer 2008

      34 UNCTAD,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2010

      35 UN,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36 Creative Nova Scotia Leadership Council, "Creative Economy Literature Review"

      37 NESTA, "Creative Clusters and Innovation"

      38 Cultural Ministers Council, "Building a Creative Innovation Economy: Opportunities for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creative sectors in the digital environment"

      39 Higgs, P., "Australia’s Creative Economy: Definitions of the Segments and Sectors" Brisbane: Australian Research Council Centre of Excellence for Creative Industries and Innovation 2007

      40 USA The White House-National Economic Council, Council of Economic Advisors, Office of S&T Policy, "A Strategy for American Innovation: Securing Our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