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들어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창작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사극이 창작물이어서 낱개의 사실을 모두 고증할 수 없다고 할지라도 사료와 명백히 다른 묘사가 반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들어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창작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사극이 창작물이어서 낱개의 사실을 모두 고증할 수 없다고 할지라도 사료와 명백히 다른 묘사가 반복...
2000년대 들어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창작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사극이 창작물이어서 낱개의 사실을 모두 고증할 수 없다고 할지라도 사료와 명백히 다른 묘사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면 이 역시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첫째, 학계와 사극의 간극이다. 불행히도 외세에 의해 국망을 겪으면서 식민주의역사학이 도입되었다. 우리가 냉철히 과거역사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무방한 일이다. 하지만 비판이라는 이름하에 실제로는 일본제국주의 시각을 답습하고 있지 않은지 최소한의 점검은 필요하다. 둘째, 사료와 전혀 다른 사건묘사이다. 이는 한번 연구자료나 사료를 오독하여 제작하자 이후 아무런 검증없이 지속적으로 전작을 모방해서 생겨난 일이다. 셋째, 시대상과 다른 사사구조의 반복활용이다. 독살설은 사료가 거의 없고 영웅사관에 기반한 서사구조는 개연성이 너무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사극제작에서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식이 생각보다 아직 전문적이지 못한 듯하다. 그러나 작가나 연출자가 독창적 주제의식을 가진 작품을 만들고 여기에 학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시대배경의 개연성까지 더해진다면 사극의 창작성은 얼마든지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2000s, various creative activities have been se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historical films & dramas are works of fiction and cannot verify every single detail, if depictions that clearly differ from historical rec...
Since the 2000s, various creative activities have been se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historical films & dramas are works of fiction and cannot verify every single detail, if depictions that clearly differ from historical records repeatedly appear, it become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way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is utilized.
First, there is the gap between academia and historical films & dramas. Unfortunately, as the nation declined and came under foreign influence, colonial historiography was introduced, leaving a lasting impact. While it is essential to critically evaluate our past with objectivity, we must at least verify whether such criticisms unintentionally perpetuate perspectives rooted in Japanese imperialist historiography. Second, there are depictions of events entirely different from historical records. This occurred when research materials or historical records were misinterpreted during production, and subsequent works continuously imitated previous ones without any verification. Third, there is the repeated use of narrative structures that conflict with the historical context. For example, poisoning theories are often portrayed despite the lack of historical evidence, and hero-centric narratives are employed, which severely undermine plausibility.
As a result, the methods of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in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films & dramas still seem to lack professionalism. However, if writers and directors create works with original themes while maintaining historical plausibility based on academic research, they can ensure the creative integrity of historical films and dramas.
한국 여성 독립영화 팬덤문화 연구 : ‘벌새단’과 ‘메기떼’를 중심으로
홍상수의 봉합 불가능한 세계: <밤의 해변에서 혼자>(2017)를 중심으로
세계와 나와의 관계 맺기와 서사주체적 자기해석: <토이스토리> 시리즈 속 ‘우디’의 변화를 중심으로
영화 <아들>의 가르침 행위에 담긴 타자 이해와 문학교육적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