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인구, "회복적 생활교육 개입이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43-61, 2015
2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3 장현숙,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 및 범죄문제와 예방을 위한 지원제도 개선연구" 7 (7): 221-234, 2015
4 이혜영, "학생의 학교 부적응 진단과 대책(Ⅱ)"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박승희, "학교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7 (7): 17-36, 2007
6 류방란, "학교부적응 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7
7 김미숙,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김종범,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부 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6 (6): 25-48, 2009
9 장호일, "청소년을 위한 팀 구축 등산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7 (27): 543-560, 2016
10 조수영,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활동의 특성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1 강인구, "회복적 생활교육 개입이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43-61, 2015
2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3 장현숙,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 및 범죄문제와 예방을 위한 지원제도 개선연구" 7 (7): 221-234, 2015
4 이혜영, "학생의 학교 부적응 진단과 대책(Ⅱ)"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박승희, "학교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7 (7): 17-36, 2007
6 류방란, "학교부적응 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7
7 김미숙,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김종범,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부 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6 (6): 25-48, 2009
9 장호일, "청소년을 위한 팀 구축 등산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7 (27): 543-560, 2016
10 조수영,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활동의 특성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11 김진화, "청소년 문제행동론" 학지사 141-179, 2002
12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1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아카데미프레스 2013
14 정제영, "지역규모에 따른 고등학생 학업중단의 학교요인 탐색" 교육연구소 18 (18): 76-94, 2017
15 정제영, "정규학교 학업중단학생 지원사업 연구" 전라남도교육청 2013
16 이정탁, "이동식 야영활동을 통한 비행청소년의 사고유형과 행동변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17 현주, "위기학생 지도와 인성교육의 중요성" 한국교육개발원 2013
18 양수택, "위기청소년의 신체활동 의미 탐색"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9 (29): 51-68, 2016
19 송영지, "위기청소년을 위한 비행 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청소년비행예방센터의 대안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40) : 49-74, 2016
20 김선희, "위기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스포츠교육 실천 모형"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27-43, 2012
21 임지훈, "스포츠 클럽참여 부적응 학생의 정서회복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6-, 2010
22 박문환, "스포츠 클라이밍을 활용한 비행 청소년의 선도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27) : 303-313, 2006
23 이병환, "대안학교 학습자 만족도 분석" 교육연구원 30 (30): 155-175, 2014
24 강연정, "대안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체육학회 54 (54): 233-244, 2015
25 강지영,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197-224, 2011
26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한국교육개발원 2016
27 이경숙,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성찰적 실천에대한 실행연구" 대한가정학회 54 (54): 365-384, 2016
28 정민주, "교사들의 회복적 생활교육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37-73, 2016
29 최병욱, "‘위기청소년’을 위한 인성교육과 인문치료" 인문과학연구소 (49) : 511-537, 2016
30 Denzin, N. K.,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McGraw-Hill 1973
31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32 Thornberry, T. P., "Handbook of youth and justice" 289-305, 2001
33 Lee, V. E., "Dropping out of high school: The role of school organization and structure" 40 (40): 353-393, 2003
34 Strauss, A, 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