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한국 지역색 조사・분석 - 자연공원 토양색 중심으로 - =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Korean Local Colors for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Identity - Focusing on the soil color of natural pa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00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ducted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soil colors unique to each region by collecting soil colors of each region as basic research for collecting Korean local colors. As the scope of research, the paper investigated the colors of s...

      This paper conducted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soil colors unique to each region by collecting soil colors of each region as basic research for collecting Korean local colors. As the scope of research, the paper investigated the colors of soil samples from a total of 57 places in the natural parks of 17 cities and provinces. For collecting soil colors unique to a region, the paper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topsoil distributed most widely in natural parks safe from the inflow of outside soil. The spectrophotometric valu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five regions: the central region, the Chungcheong region, the Gyeongnam region, the Honam region and Jeju.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colors of Korean soils were concentrated in 10YR∼1Y. The Chungnam region was discovered to have the reddest soil while the Gyeongbuk region has yellowish soil. The soil of the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Chungnam, Gyeongnam, and Jeonnam had redder soil than that of any other region. Gyeongsangbuk-do, Jeollabuk-do, and Jeollanam-do had soil with a value of below 4; therefore, the soil became darker as the location moved south. Of note, the soil of the Jeju region was the darkest owing to the influence of volcanic ash. Regarding the average soil color in Korea, for hue the value was 0.5Y and for chroma it was 2.6, which is a mid value and low chroma and which showed dark grey with a yellowish tint.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in hue; however, there appeared obvious change and flow of value and chroma. It is hoped that, while taking these research results as basic data, the natural color and harmony of a region may be analyzed so that a comfortable visual local environment may be created, and furthermore, that this will help in building an identity by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지역색을 조사·분석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각 지역별 토양색채를 채취하여 지역별 고유의 토양색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행정체계별 17개 시・도 자연공원의 토양�...

      본 논문은 한국 지역색을 조사·분석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각 지역별 토양색채를 채취하여 지역별 고유의 토양색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행정체계별 17개 시・도 자연공원의 토양을 대상으로 총 57곳의 토양시료 색채를 조사하였다. 지역고유의 토양색 수집을 위하여 외부토양유입으로부터 안전한 자연공원 내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되어있는 토양의 표토층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별 채취한 토양샘플을 중부지역 ,충청지역, 경남지역, 호남지역으로 총 5개의 지역으로 나눠 지역별 측색 값을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토양의 색상은 10YR∼1Y 에 집중되어 있고 충남지역이 가장 붉은빛을 띤 토양으로 조사됐고 경북지역이 노란빛을 띈 토양으로 나타났다. 충남, 경남, 전남 등 한반도 남쪽의 토양이 다른 지역보다 붉은 색을 띠고 있었다. 경상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가 명도 4이하의 토양이 많아 토양은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어두워짐을 알 수 있었고, 그중 제주지역은 화산재의 영향으로 가장 어두웠다. 국내 토양 평균 색채는 색상은 0.5Y 명도는 4, 채도는 2.6의 중명도 저채도의 노란기의 어두운 회색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분석결과 지역별 확연한 색상차이는 없으나 명도, 채도의 변화와 흐름은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지역의 자연색과 조화를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편안한 지역 환경을 조성하고, 나아가 지역별 아이덴티티 구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요시다 신고, "환경색채계획" 미세움 2007

      2 Jean Philippe Lenclos, "환경, 건축 그리고 색" 미진사 2009

      3 박연선, "한국의 각 지역 토양색 조사분석 Ⅱ" 한국색채학회 24 (24): 91-99, 2010

      4 박연선, "한국의 각 지역 토양색 조사분석 Ⅰ" 한국색채학회 24 (24): 87-94, 2010

      5 (사)색채학회, "컬러디자인" 지구문화사 2012

      6 사사키 마사유키, "창조도시를 디자인하라" 미세움 2010

      7 문선욱, "지역색 분석을 통한 환경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성군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3 (13): 51-58, 2011

      8 계기석,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1

      9 J. Wolf, Michael, "오락의 경제" 리치북스 2000

      10 박돈서, "도시환경의 색채, 이제는 色이다" 도서출판국제 2002

      1 요시다 신고, "환경색채계획" 미세움 2007

      2 Jean Philippe Lenclos, "환경, 건축 그리고 색" 미진사 2009

      3 박연선, "한국의 각 지역 토양색 조사분석 Ⅱ" 한국색채학회 24 (24): 91-99, 2010

      4 박연선, "한국의 각 지역 토양색 조사분석 Ⅰ" 한국색채학회 24 (24): 87-94, 2010

      5 (사)색채학회, "컬러디자인" 지구문화사 2012

      6 사사키 마사유키, "창조도시를 디자인하라" 미세움 2010

      7 문선욱, "지역색 분석을 통한 환경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성군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3 (13): 51-58, 2011

      8 계기석,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1

      9 J. Wolf, Michael, "오락의 경제" 리치북스 2000

      10 박돈서, "도시환경의 색채, 이제는 色이다" 도서출판국제 2002

      11 요시다 신고, "도시의 색을 만들자" 미세움 2008

      12 김현선, "도시 환경과 색채" 안그라픽스 2005

      13 Keith Dinnie, "글로벌시대 도시브랜드의 전략적 관리" 한경사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