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禮山 石谷里 古墳群과 백제 지방세력의 존재 양태 = A study on Existence Aspect of Baekje Local Influence Seen Through Seokgok-ri Tomb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39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예산 석곡리 2호분은 묘실의 평면이 장방형이고, 단면 6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판석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이른바 사비형 석실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연도의 폭이 묘실의 폭과 ...

      예산 석곡리 2호분은 묘실의 평면이 장방형이고, 단면 6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판석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이른바 사비형 석실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연도의 폭이 묘실의 폭과 같고, 길이가 매우 짧다는 점에서 7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나지막한 구릉의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고, 주변에 옹관묘가 있다는 점에서 능산리 고분군(부여 왕릉원)과 같은 ‘전형적인’ 백제 석실과는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그러한 차이는 단순한 지역차가 아니라 새로운 고분 문화가 백제에 유입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새로운 고분 문화는 익산 쌍릉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쌍릉이 백제 武王의 무덤으로 볼 수 있고, 무왕은 그 아버지가 ‘용’ 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무왕의 등장은 곧 新王室의 등장이라고 볼 수 있다. 무왕이 계보적으로 그 직전의 法王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新王室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고분 문화가 유입된 것이다.
      신왕실의 등장과 함께 새롭게 나타난 고분 문화가 예산지역에 나타날 수 있었던 것은, 신왕실과 연결되던 福信과 같은 인물이 西方城지역에서 활동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복신은 무왕의 조카였는데, 그랬기 때문에 복신이 활약하던 서방성지역에도 새로운 고분 문화가 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7세기 백제 지방에는 法王 이전의 왕실에서 갈라져 나온 흑치상지와 같은 인물도 있고, 복신과 같이 무왕 이후 새롭게 등장한 신왕실 계열의 인물도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석곡리 석실은 7세기대에 백제 지방 사회에 구왕실계 인물과 신왕실계 인물이 공존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mb No.2 at Seokgok-ri in Yesan is Sabi style stone chamber, because burial chamber shape is rectangle and burial chamber cross section is hexgon. And width of entrance road is the same width of burial chamber, and it is very short. So we guess it w...

      Tomb No.2 at Seokgok-ri in Yesan is Sabi style stone chamber, because burial chamber shape is rectangle and burial chamber cross section is hexgon. And width of entrance road is the same width of burial chamber, and it is very short. So we guess it was constructed mid of the seventh century.
      However it is different in typical Baekje stone chamber, bacause located at the top of hill and jar burial is located on srrounding. And such difference mean it is not regional diffences but new ancient tomb culture come into Baekje.
      It is seem to me that such difference is beginning to the SSangneung in Igsan. We recognize the SSangneung is King Moo’s tomb in Baekje. By the way, it is widely known that King Moo’s father is dragon. So that new ancient tomb culture come into Baekje with appearance of the King Moo. King Moo is not connected King Bub. Therefore King Moo’s appearance mean appearance of new royal family. In other words, a new ancient tomb culture in Baekje come into Baekje with appearance new royal family.
      Eventually, it is Heukjisangji, budded off from old royal family and Bogsin, budded off from new royal family in local of Baekje seventh centuries. Stone chamber of Seokgok-ri is archeological evidence that it is coexist in old royal family and new royal family in Baekj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