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블렌디드 러닝의 방식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연극 교수법 설계 및 실행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atrical teaching method using Educational Drama as a blended learning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7141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 연극영화학과.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2.028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09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atrical teaching method using Educational Drama as a blended learning method
        지도교수:송현옥
        참고문헌: p.99~101

      • UCI식별코드

        I804:11042-200000371171

      • 소장기관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코로나19 사태로 갑작스럽게 변화된 교육 방식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연극 교수법의 형식과 대응에 대해 고찰한다. 먼저 코로나19 시대에 교육연극을 활용한 연극 수업 방식들이 ...

      본 논문은 코로나19 사태로 갑작스럽게 변화된 교육 방식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연극 교수법의 형식과 대응에 대해 고찰한다. 먼저 코로나19 시대에 교육연극을 활용한 연극 수업 방식들이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고 시도하고 있는지 사례를 살펴보고, 그러한 시도들이 보여주고 있는 새로운 교육연극 교수법을 활용한 연극 교수법 효과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으며 현재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속한 학습자에 대한 교육방식을 위해 새로운 미래 교육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고 점검한다. 앞으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오면서 문화예술교육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관심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실기 교육 중심인 연극 교수법에 어떻게 대처하고 나아가야 하는지 알아보고 미래 교육에서 교육연극의 교수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form and responses of theater teaching methods using educational plays in the rapidly changing form of education due to the recent Covid 19 incident.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look at how theater classes using educational ...

      This thesis examines the form and responses of theater teaching methods using educational plays in the rapidly changing form of education due to the recent Covid 19 incident.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look at how theater classes using educational plays in the Corona 19th era are responding and trying, an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the effect of theater teaching using the new teaching methods shown by such attempts. Furthermo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scussions on new future education are examined and checked for a way of education for learners who belong to the current digital native generation. This is because interest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digital technology is inextricably related with the post-corona era. Therefore, we would like to learn how to cope, overcome and move forward with the teaching method of theater which is the center of practical education, in the future which is the post-corona era. Also to consider and improve teaching methods or drama in education in the futur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방법 6
      • 4. 연구의 차별성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방법 6
      • 4. 연구의 차별성 7
      • Ⅱ. 디지털 시대의 교육 8
      • 1.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정의 및 특성 8
      • 2. E-Learning(이러닝)의 개념 및 장단점 11
      • 3.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의 정의와 특성 18
      • Ⅲ. 온라인 교육연극 프로그램 사례연구 21 1. 교육연극의 필요성 21
      •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대응 및 사례 23
      • 3. ‘교복입은 예술가’활동의 교육과정 및 온라인 연극 수업 사례 27 4.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연극 놀이 방법 32
      • Ⅳ.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연극 교수법 설계 및 실행 40 1.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설계 40
      • A. 연구방법 및 절차 40
      • B. 연구대상 42
      • C. 온·오프라인 수업 선호도 설문조사 43 D.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교육연극’프로그램 개요 47
      • 2.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실시 51
      • A. 1단계 : 연극과 만나기(1~3차시) 51
      • B. 2단계 : 이야기 구성하기(4~8차시) 61
      • C. 3단계 : 연극 만들기(9~14차시) 72 D. 4단계 : 함께 나누기(15~17차시) 78
      • 3. 분석 및 결과 79
      • A. 1단계 : 나를 알고 너를 알기 80
      • B. 2단계 : 작가와 배우가 되어보기 85
      • C. 3단계 : 함께 하는 작업의 즐거움 89 D. 4단계 : 경험을 통해 얻는 자신감 92
      • Ⅴ. 결론 및 제언 95
      • 1. 결론 95
      • 2. 제언 97
      • 참고문헌 99
      • 부록 102
      • Abstract 1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