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극치료를 통한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 연구 = The research of drama therapy on social skill improve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9116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同德女子大學校,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5157 판사항(6)

      • DDC

        615.85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50장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洪侑辰
        권말부록: 연극치료프로그램 초기 개인별분석
        참고문헌: 장 31-3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연극치료가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A장애인 복지센터의 직업적응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발달장애 성인 10명을 선정하여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총 12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발달장애 성인집단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Robert Landy의 역할이론과 통합예술매체를 적용하여 설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크게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질적 분석하였으며 적용결과에 대한 분석은 회기 관찰일지와 녹화영상, 대상자가 활동 중 만든 결과물을 참고하였다. 나아가 보조수단으로 사회기술평정척도와 대인관계변화척도 그리고 자기효능감척도 및 삶의 질 변화 척도 설문지를 사전 사후에 사용하였으며 이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test 검증하였다.
      연극치료 프로그램 적용 후 질적 분석한 결과 연극치료가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조수단으로 사용되었던 척도의 결과 역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연극치료는 성인 발달장애인 집단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그들의 사회성 발달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직장생활을 하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회사생활의 변화에 연극치료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연극치료가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A장애인 복지센터의 직업적응 훈련 프로그...

      본 연구는 연극치료가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A장애인 복지센터의 직업적응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발달장애 성인 10명을 선정하여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총 12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발달장애 성인집단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Robert Landy의 역할이론과 통합예술매체를 적용하여 설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크게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질적 분석하였으며 적용결과에 대한 분석은 회기 관찰일지와 녹화영상, 대상자가 활동 중 만든 결과물을 참고하였다. 나아가 보조수단으로 사회기술평정척도와 대인관계변화척도 그리고 자기효능감척도 및 삶의 질 변화 척도 설문지를 사전 사후에 사용하였으며 이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test 검증하였다.
      연극치료 프로그램 적용 후 질적 분석한 결과 연극치료가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조수단으로 사용되었던 척도의 결과 역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연극치료는 성인 발달장애인 집단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그들의 사회성 발달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직장생활을 하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회사생활의 변화에 연극치료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eeing what effect the drama therapy has on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participants, te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were engaging in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at welfare center for disabled, so called ‘A’ in this study. The therapy sessions were held once a week from June to September 2015, during which included 12 sessions in total.
      The researcher structured the drama therapy program based on Dr. Robert Landy’s role theory and the use of integrative arts as media, and then qualitatively evaluated the program by breaking it down to the beginning, the middle, and the end. Also, the researcher used observation journals, videos, and creative works as additional sources of analysis. As a means of assistance, Social Skill Rating System, 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questionnaires measuring self-esteem and life quality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statistics, SPSS 21.0 was used to run matched-pair t-test.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drama therapy has an effect in improving social skill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well. In conclusion, the drama therapy can be used to the group of developmentally disabled adults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ir social skills and promote their life quality. The researcher proposes further research to be done on the effect of drama therapy and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s life at work.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eeing what effect the drama therapy has on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participants, te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w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eeing what effect the drama therapy has on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participants, te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were engaging in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at welfare center for disabled, so called ‘A’ in this study. The therapy sessions were held once a week from June to September 2015, during which included 12 sessions in total.
      The researcher structured the drama therapy program based on Dr. Robert Landy’s role theory and the use of integrative arts as media, and then qualitatively evaluated the program by breaking it down to the beginning, the middle, and the end. Also, the researcher used observation journals, videos, and creative works as additional sources of analysis. As a means of assistance, Social Skill Rating System, 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questionnaires measuring self-esteem and life quality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statistics, SPSS 21.0 was used to run matched-pair t-test.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drama therapy has an effect in improving social skill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well. In conclusion, the drama therapy can be used to the group of developmentally disabled adults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ir social skills and promote their life quality. The researcher proposes further research to be done on the effect of drama therapy and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s life at 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문제 2
      • 3. 연구의 제한점 2
      • 4. 용어정리 2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문제 2
      • 3. 연구의 제한점 2
      • 4. 용어정리 2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 1. 연극치료 이론연구 5
      • 2.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기술과 삶의 질 6
      • 3. 선행연구 고찰 9
      • Ⅲ. 연구 방법 10
      • 1. 연구 방법 및 도구 10
      • 2. 연구 대상 12
      • 3. 연구 절차 13
      • Ⅳ. 연구 결과 14
      • 1. 연극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분석 14
      • 2. 연극치료 세션분석 25
      • Ⅴ. 결론 및 제언 28
      • 참 고 문 헌 31
      • ABSTRACT 35
      • 부 록 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