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자의 ‘무위지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18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체로 정치사상은 당시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의 제시와 그 해결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은 소위 춘추전국시대라고 불리는 동주시대의 제자백가 사상들에서도 마찬가지다. 『노자』에는 정치에 관한 언설이 매우 많다. 그래서 비록 극단적 표현이긴 하지만 혹자는 노자사상을 정치사상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물론 그의 정치사상은 타 제자백가와 현저하게 달리 비움과 유약을 강조하긴 했지만, 그 역시 위정자에게 혼란한 사회를 질서 있고 평화로운 사회로 회복시켜 달라는 강한 주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자는 가장 이상적 통치를 무위지치(無爲之治)로 표현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사람을 성인(聖人)으로 표현하였다. 그는 무위지치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통치자의 청정염담(淸靜恬淡) 무위자연 불감위천하선(不敢爲天下先) 등을 제시하고 있다. 청정염담은 마음이 맑고 고요하며 물욕을 갖지 말라는 뜻이고 무위자연은 인위적 제도를 줄이자는 것이며 불감위천하선은 공을 이루더라도 공치사에 빠지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달한 위정자에게 노자는 성인이라는 호칭을 부여한다. 그러므로 그의 정치사상은 번잡한 제도와 법령을 만들어 그것에 의해 통치하는 타 제자백가와는 분명히 차이가 난다.
      성인은 무위지치를 실현하는 사람이다. 성인은 ‘도(道)’를 가슴에 품고 도에 따라 순리대로 세상을 돌아가게 하여 국가의 평화로운 상태와 백성들의 평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무위지치에 이르는 방법이 ‘허정(虛靜)’과 ‘지족(知足)’이다. 지족(知足)은 만족함을 알아서 멈추는 것이다. 세상의 이기(利器)를 쫓지 않고 순박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위지치는 허정과 지족을 통해서 마음을 비우고 백성들과 함께 순박하게 살아가는 정치철학의 요체(要諦)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대체로 정치사상은 당시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의 제시와 그 해결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은 소위 춘추전국시대라고 불리는 동주시대의 제자백가 사상들에서도 마찬가지다. 『노...

      대체로 정치사상은 당시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의 제시와 그 해결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은 소위 춘추전국시대라고 불리는 동주시대의 제자백가 사상들에서도 마찬가지다. 『노자』에는 정치에 관한 언설이 매우 많다. 그래서 비록 극단적 표현이긴 하지만 혹자는 노자사상을 정치사상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물론 그의 정치사상은 타 제자백가와 현저하게 달리 비움과 유약을 강조하긴 했지만, 그 역시 위정자에게 혼란한 사회를 질서 있고 평화로운 사회로 회복시켜 달라는 강한 주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자는 가장 이상적 통치를 무위지치(無爲之治)로 표현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사람을 성인(聖人)으로 표현하였다. 그는 무위지치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통치자의 청정염담(淸靜恬淡) 무위자연 불감위천하선(不敢爲天下先) 등을 제시하고 있다. 청정염담은 마음이 맑고 고요하며 물욕을 갖지 말라는 뜻이고 무위자연은 인위적 제도를 줄이자는 것이며 불감위천하선은 공을 이루더라도 공치사에 빠지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달한 위정자에게 노자는 성인이라는 호칭을 부여한다. 그러므로 그의 정치사상은 번잡한 제도와 법령을 만들어 그것에 의해 통치하는 타 제자백가와는 분명히 차이가 난다.
      성인은 무위지치를 실현하는 사람이다. 성인은 ‘도(道)’를 가슴에 품고 도에 따라 순리대로 세상을 돌아가게 하여 국가의 평화로운 상태와 백성들의 평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무위지치에 이르는 방법이 ‘허정(虛靜)’과 ‘지족(知足)’이다. 지족(知足)은 만족함을 알아서 멈추는 것이다. 세상의 이기(利器)를 쫓지 않고 순박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위지치는 허정과 지족을 통해서 마음을 비우고 백성들과 함께 순박하게 살아가는 정치철학의 요체(要諦)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general, political ideas are supposed to contain problems of the era and solutions for them as well. This also applies to the ideas of ‘philosophers of all classes’ who belong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s of this era, Laotzu developed Taoism that is considered as a political philosophy by reasons of containing a lot of political remarks in it. Laotzu’s political philosophy is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that he puts an emphasis on emptying one’s mind and being flexible, but similarities coexist across all philosophies by asking politicians to rectify unstable society and establish public order.
      According to Laotzu, an ideal governance is the rule by Wu-wei in which he defines a saint as a person who fulfills an ideal virtue, while suggesting reinfrastructure of Wu-wei by keeping a state of being calm and peaceful without desire, being satisfied in mother nature by eliminating artificial restrictions, and doing many deeds far away from fake compliments. Laotzu defines a man of these qualities as a holy man, thereby distinguishing his political philosophy from those of ‘all other classes of philosophers’ which insist that people should be ruled by complicated regulations and laws.
      In Laotzu‘s opinion, a saint is a man who realizes Wu-wei and thereby can run a nation in order, while helping people maintain peace of mind according to his philosophy. To realize the rules of Wu-wei, one needs to empty one’s mind and to know self-satisfaction. To sum up, Wu-wei, the essence of Laotzu’s philosophy, is to empty one’s mind and peacefully live along with his/her people.
      번역하기

      In general, political ideas are supposed to contain problems of the era and solutions for them as well. This also applies to the ideas of ‘philosophers of all classes’ who belong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i...

      In general, political ideas are supposed to contain problems of the era and solutions for them as well. This also applies to the ideas of ‘philosophers of all classes’ who belong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s of this era, Laotzu developed Taoism that is considered as a political philosophy by reasons of containing a lot of political remarks in it. Laotzu’s political philosophy is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that he puts an emphasis on emptying one’s mind and being flexible, but similarities coexist across all philosophies by asking politicians to rectify unstable society and establish public order.
      According to Laotzu, an ideal governance is the rule by Wu-wei in which he defines a saint as a person who fulfills an ideal virtue, while suggesting reinfrastructure of Wu-wei by keeping a state of being calm and peaceful without desire, being satisfied in mother nature by eliminating artificial restrictions, and doing many deeds far away from fake compliments. Laotzu defines a man of these qualities as a holy man, thereby distinguishing his political philosophy from those of ‘all other classes of philosophers’ which insist that people should be ruled by complicated regulations and laws.
      In Laotzu‘s opinion, a saint is a man who realizes Wu-wei and thereby can run a nation in order, while helping people maintain peace of mind according to his philosophy. To realize the rules of Wu-wei, one needs to empty one’s mind and to know self-satisfaction. To sum up, Wu-wei, the essence of Laotzu’s philosophy, is to empty one’s mind and peacefully live along with his/her peo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緖論
      • 2. 춘추말기의 시대상황과 노자의 비판
      • 3. 무위지치의 개념과 실현방법
      • 4. 무위지치의 실현
      • 국문초록
      • 1. 緖論
      • 2. 춘추말기의 시대상황과 노자의 비판
      • 3. 무위지치의 개념과 실현방법
      • 4. 무위지치의 실현
      • 5.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설운, "老子의 無爲政治 思想에 관한 硏究" 대구한의대학교 2013

      2 고재욱, "한비자의 정치사상연구" 12 : 407-444, 2003

      3 최명, "춘추전국의 정치사상" 박영사 2004

      4 풍우란, "중국철학사" 까치 1998

      5 평유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2007

      6 이택후, "중국고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7 송영배, "제자백가의 사상" 현음사 1994

      8 송영배, "제자백가의 다양한 철학흐름" ㈜사회평론 2009

      9 노자, "왕필의 노자" 예문서원 1997

      10 모종삼, "모종삼 교수의 노자 철학 강의" 서광사 2011

      1 한설운, "老子의 無爲政治 思想에 관한 硏究" 대구한의대학교 2013

      2 고재욱, "한비자의 정치사상연구" 12 : 407-444, 2003

      3 최명, "춘추전국의 정치사상" 박영사 2004

      4 풍우란, "중국철학사" 까치 1998

      5 평유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2007

      6 이택후, "중국고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7 송영배, "제자백가의 사상" 현음사 1994

      8 송영배, "제자백가의 다양한 철학흐름" ㈜사회평론 2009

      9 노자, "왕필의 노자" 예문서원 1997

      10 모종삼, "모종삼 교수의 노자 철학 강의" 서광사 2011

      11 이진경, "동양철학과 현대사회" 이화 147-179, 2003

      12 김백현, "도가철학연구" 동녘출판기획 2002

      13 고재욱, "노자의 정치사상 소고" 16 : 297-317, 1999

      14 임동춘, "노자의 자연관으로 본 政治觀" 24 : 125-141, 2001

      15 최진석, "노자의 목소리도 듣는 노자" 소나무 2001

      16 노자, "노자" 길 2009

      17 권광호, "道家 ‘허정(虛靜)’사상의 수련전통과 그 발전적 전개" 한국동서철학회 (45) : 5-21, 2007

      18 후외려, "中國思想通史 1" 인민출판사 1957

      19 신성열, "‘無爲之治’ 分析과 現代的 意味" 인문과학연구소 (33) : 373-40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