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욱재, "한말·일제하 유림 연구 : 일제협력유림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2 금장태, "한국의 선비와 선비정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문제연구총서 인명편 3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2009
4 이기훈, "일제하 청년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5 권희영, "일제시기 조선의 유학담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3) : 121-154, 2010
6 변은진, "일제강점기 유교 단체 기관지의 현황과 성격" 호서사학회 (93) : 181-223, 2020
7 정욱재, "일제강점기 經學院 講士의 위상과 활동" 호남사학회 (86) : 145-174, 2022
8 박양신, "일본의 한국병합을 즈음한 '일본관광단'과 그 성격" 동양학연구원 (37) : 69-89, 2005
9 정욱재, "유도창명회의 창명(彰明) 연구" 역사실학회 (77) : 239-263, 2022
10 박학래, "연재학파(淵齋學派)의 형성과 전개- 『계산연원록(溪山淵源錄)』을 중심으로-" 유학연구소 50 : 111-152, 2020
1 정욱재, "한말·일제하 유림 연구 : 일제협력유림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2 금장태, "한국의 선비와 선비정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문제연구총서 인명편 3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2009
4 이기훈, "일제하 청년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5 권희영, "일제시기 조선의 유학담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3) : 121-154, 2010
6 변은진, "일제강점기 유교 단체 기관지의 현황과 성격" 호서사학회 (93) : 181-223, 2020
7 정욱재, "일제강점기 經學院 講士의 위상과 활동" 호남사학회 (86) : 145-174, 2022
8 박양신, "일본의 한국병합을 즈음한 '일본관광단'과 그 성격" 동양학연구원 (37) : 69-89, 2005
9 정욱재, "유도창명회의 창명(彰明) 연구" 역사실학회 (77) : 239-263, 2022
10 박학래, "연재학파(淵齋學派)의 형성과 전개- 『계산연원록(溪山淵源錄)』을 중심으로-" 유학연구소 50 : 111-152, 2020
11 다니엘스, "역사의 연구" 을유문화사 1983
12 주경철, "역사의 기억, 역사의 상상" 문학과 지성사 1999
13 김도형, "국권과 문명" 지식산업사 2022
14 서명일, "계몽운동기(1905-1910) 사회진화론 수용의 논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5 "高宗實錄"
16 정봉현, "雲籃先生文集"
17 "經學院雜誌"
18 "純宗實錄"
19 강윤정, "白下 金大洛의 현실인식과 민족운동" 7 : 2009
20 유준기, "民族運動과 宗敎活動" 국학자료원 2001
21 류미나, "植民地時期朝鮮における經學院: 儒敎敎化機關と儒敎イデオロギーの再編"
22 이명화, "朝鮮總督府의 儒敎政策(1910~1920년대)" 7 : 1993
23 "朝鮮總督府官報"
24 "承政院日記"
25 이범세, "恥齋集"
26 김상정, "寒月氷屑"
27 "大韓民報"
28 "大韓每日申報"
29 "大東學會月報"
30 "大朝鮮獨立協會會報"
31 "儒道"
32 홍동현, "1920년대 하의도 농민운동의 전개와 抗日 연대" 도서문화연구원 (56) : 309-336,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