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서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지방산 조성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22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질은 생체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부적절한 식이 섭취로 인한 지방산의 불균형은 성인병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산에 대한 관심이 ...

      지질은 생체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부적절한 식이 섭취로 인한 지방산의 불균형은 성인병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어류나 해조류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과 질병과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이 n-3 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6종의 염생식물에 대하여 지방산의 조성과 함량을 조사하였다. 용매 추출된 염생식물 시료는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퉁퉁마디, 수송 나물, 염주괴불주머니, 사철쑥, 갯질경 등이 높은 총지방산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16:0)는 실험 대상 전체에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그 %함량도 대부분의 염생식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단일불포화지방산에서는 oleic acid (18:1)가 그리고 n-6계 다중불포화지방산에서는 linoleic acid (18:2)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n-3계 다중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천일사초가 26.40%로 LNA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모래지치, 수송나물, 갯메꽃 순으로 나타났다. EPA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나 칠면초가 1.8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DHA는 여러 대상 식물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흰명주아뀌가 14.54%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염생식물이 해조류나 어류의 n-3계 다중불포화지 방산의 함량에 있어서 뒤지지 않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천연물 화학적이나 식품학적 추가 연구를 통해 여러 질병의 예방과 치료분야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tty acid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many biological processes. However, an imbalance in diet-especially, a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deficiency-causes several diseases such as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this stud...

      Fatty acid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many biological processes. However, an imbalance in diet-especially, a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deficiency-causes several diseases such as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tty acid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26 species of Korean salt marsh plants and found high fatty acid contents from S. herbacea (148.75 μg/mg-dry wt.), S. komarvii (119.05 μg/mg-dry wt.), C. heterocarpa (79.23 μg/mg-dry wt.), A. capillaris (71.65 μg/mg-dry wt.), and L. tetragonum (67.02 μg/mg-dry wt.). In the case of saturated fatty acids (SFAs) composition, palmitic acid is richest in most salt marsh plants. On the other han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are major components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and n-6 PUFA, respectively. In addition, n-3 PUFAs such as LNA (linolenic acid),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known as the main fatty acid components of fish oils and seaweeds, were also found in S. herbacea, S. komarvii, T. tetragonoides, A. capillaris and G. littoral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완, "염생식물로부터 Peroxynitrite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한국생물공학회 19 (19): 57-61, 2004

      2 이윤경, "강화도 동검도 주변 조간대 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광특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3 (23): 575-581, 2007

      3 Connor, W. E., "n-3 Fatty acids from fish and fish oil: panacea or nostrum?" 74 : 415-416, 2001

      4 Dewailly, E., "n-3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mong the Inuit of Nunavik" 74 : 464-473, 2001

      5 Min, B. M.,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20 : 167-178, 1998

      6 Bronsgeest-Schoute, H. C., "The effect of various intakes of omega3 fatty acids on the blood lipid composition in healthy human subjects" 34 : 1752-1757, 1981

      7 Paridaa, A. K, "Salt tolerance and salinity effects on plants: a review" 60 : 324-349, 2005

      8 Lees, R. S.,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Marcel Dekker, Inc. 1990

      9 El-Badry, A. M., "Omega 3-Omega 6: What is right for the liver?" 47 : 718-725, 2007

      10 Salem, N., "Losses of arachidonic acid in rat liver after alcohol inhalation" 31 : 153-156, 1996

      1 서영완, "염생식물로부터 Peroxynitrite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한국생물공학회 19 (19): 57-61, 2004

      2 이윤경, "강화도 동검도 주변 조간대 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광특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3 (23): 575-581, 2007

      3 Connor, W. E., "n-3 Fatty acids from fish and fish oil: panacea or nostrum?" 74 : 415-416, 2001

      4 Dewailly, E., "n-3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mong the Inuit of Nunavik" 74 : 464-473, 2001

      5 Min, B. M.,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20 : 167-178, 1998

      6 Bronsgeest-Schoute, H. C., "The effect of various intakes of omega3 fatty acids on the blood lipid composition in healthy human subjects" 34 : 1752-1757, 1981

      7 Paridaa, A. K, "Salt tolerance and salinity effects on plants: a review" 60 : 324-349, 2005

      8 Lees, R. S.,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Marcel Dekker, Inc. 1990

      9 El-Badry, A. M., "Omega 3-Omega 6: What is right for the liver?" 47 : 718-725, 2007

      10 Salem, N., "Losses of arachidonic acid in rat liver after alcohol inhalation" 31 : 153-156, 1996

      11 Weete, J. D., "Hydrocarbon and fatty acid distribution in the halophyte. Salicornia bigelovii" 9 : 2041-2045, 1970

      12 Ahn, B. H.,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tent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of major fishes caught in Korean seas" 19 : 181-187, 1987

      13 Pryde, E. H, "Fatty Acids"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47-, 1979

      14 Connor, W. E., "Essential fatty acids: The importance of n-3 fatty acids in the retina and brain" 50 : 21-29, 1996

      15 Holman, R. T, "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275-348, 1968

      16 Lee, H. Y,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adults on lipid metabolism with age.Korean J.Nutr" 27 : 23-45, 1994

      17 Meyer, K. A., "Dietary fat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older Iowa women" 24 : 1528-1535, 2001

      18 Chung, E. J., "Dieraty fatty acid intakes of employees in employee feeding operations" 29 : 9-21, 1996

      19 Liebezeit, G., "Biotechnological potential of North Sea salt marsh plants-a review of traditional knowledge" 70 : 77-8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공학회지 -> KSBB Journal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662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