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김대중 대통령의 일정표를 내용분석하여 대통령이 시간을 일종의 자원으로 활용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도론적 대통령에 입각하여, 대통령을 한 개인이 아닌 조직으로 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대중 대통령의 일정표를 내용분석하여 대통령이 시간을 일종의 자원으로 활용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도론적 대통령에 입각하여, 대통령을 한 개인이 아닌 조직으로 간...
본 연구는 김대중 대통령의 일정표를 내용분석하여 대통령이 시간을 일종의 자원으로 활용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도론적 대통령에 입각하여, 대통령을 한 개인이 아닌 조직으로 간주하여 대통령의 시간 자원 활용 역시 조직의 시간 자원의 활용이라 전제한다. 시간 자원 배분은 대통령의 정책 우선순위와 대통령이 선출된 시대적 요구에 대한 대응들이 조합되어 대통령의 영향력을 통한 전략적 선택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간자원의 활용이 담겨 있는 국민의 정부 집권 초기 1년 5개월간의 김대중 대통령의 일정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업무장소, 업무 내용, 업무형태에 따라 대통령의 일정을 분류하고 시간 활용의 양을 산출하여 대통령 업무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김대중 대통령 선출이후, 정권인수위원회에서 작성한 국민의 정부 100대 국정 과제 가운데 가장 앞서는 40개의 국정 과제를 경제 분야의 과제로 설정했을 정도로 외환위기의 상황 속에서 경제적 현안 해결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국민의 정부 초기에 경제・산업분야에 시간적 자원의 배분을 18.5% 정도 할애하여 기대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 이유는 경제・산업의 업무가 수행된 형태는 “보고”의 형태로 경제 분야를 전문가에게 맡겼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행정부를 조각하고 여소야대의 상황에서 정치적인 협력을 위한 노력에 많은 양의 시간자원을 배분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군무원의 역할과 제도 변천사를 통해 본 정책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농민운동의 정치세력화에 따른 도소의 연구를 통한 지방자치의 기능
통일교육위원의 통일인식 분석을 통한 지역통일교육의 효율화 방안: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