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 현장의 인권 그리고 인권감수성 =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in S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0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 rights are legitimate rights inherent to all human beings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provided by others. Until now, however, the Korean sports community has been fairly blind in the practice of respect, and its practice of human rights has not done properly. Athletes have lost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self-reliance and have made it their highest goal to produce excellent performances in competitions through intense physical training. This excessive obsession and craving for victory, together with the prevailing climate of victoryism, has neglected the value of the process of sports participation and has resulted in the loss of essential values of sport participation and human alienation. Research on the need for sports human rights,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and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a relatively in-depth discussion process. However,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how we think and act for the most important human rights is lacking. Although we all share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and recognize the need to provide human rights education to protect athletes’ rights as humans, in the end we lack the proper recogni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those situations practically. Thus, the current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mechanism of human rights practice away from the existing research view on sports human rights and confirm that the role of human rights' subjects, human rights sensitization, and the need for education to maintain and achieve those rights inherent to all should precede.
      번역하기

      Human rights are legitimate rights inherent to all human beings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provided by others. Until now, however, the Korean sports community has been fairly blind in the practice of respect, and its practice of human rights has not...

      Human rights are legitimate rights inherent to all human beings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provided by others. Until now, however, the Korean sports community has been fairly blind in the practice of respect, and its practice of human rights has not done properly. Athletes have lost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self-reliance and have made it their highest goal to produce excellent performances in competitions through intense physical training. This excessive obsession and craving for victory, together with the prevailing climate of victoryism, has neglected the value of the process of sports participation and has resulted in the loss of essential values of sport participation and human alienation. Research on the need for sports human rights,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and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a relatively in-depth discussion process. However,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how we think and act for the most important human rights is lacking. Although we all share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and recognize the need to provide human rights education to protect athletes’ rights as humans, in the end we lack the proper recogni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those situations practically. Thus, the current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mechanism of human rights practice away from the existing research view on sports human rights and confirm that the role of human rights' subjects, human rights sensitization, and the need for education to maintain and achieve those rights inherent to all should prece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권은 상대방에게서 배려를 받는다는 의미가 아닌 모든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정당한 권리라는 의미로서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나라의 체육․스포츠계는 이러한 인권의 존중과 실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다. 스포츠의 직접적 실천자인 전문운동선수들은 능동적인 사고와 주체성을 상실하며, 마치 기계와 같이 고도의 신체훈련을 통해 시합에서 우수한 성적을 생산해 내는 것을 최고의 목표이자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승리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갈망은 승리지상주의 만연 풍토와 함께, 스포츠 참여의 과정에 대한 가치는 무시한 결과지향성 스포츠로 변화하여 스포츠 참여에 대한 본질적 가치의 상실과 인간소외현상을 야기 시켰다. 스포츠 인권에 대한 필요성과 실태의 심각성, 인권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심도 있는 논의 과정을 거쳐 왔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인권에 대해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모두가 인권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필요성을 인식하여 인권보호를 위해 인권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결국 실천적 문제에 있어서 인권침해의 올바른 인식과 상황의 해석 능력에 대한 부분이 미흡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스포츠 인권에 대한 기존의 연구 관점에서 벗어나 인권실천의 메커니즘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고, 인권의 주체인 인간의 인권감수성의 역할과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인권은 상대방에게서 배려를 받는다는 의미가 아닌 모든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정당한 권리라는 의미로서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나라의 체육․스포츠계는 이러한 인...

      인권은 상대방에게서 배려를 받는다는 의미가 아닌 모든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정당한 권리라는 의미로서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나라의 체육․스포츠계는 이러한 인권의 존중과 실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다. 스포츠의 직접적 실천자인 전문운동선수들은 능동적인 사고와 주체성을 상실하며, 마치 기계와 같이 고도의 신체훈련을 통해 시합에서 우수한 성적을 생산해 내는 것을 최고의 목표이자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승리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갈망은 승리지상주의 만연 풍토와 함께, 스포츠 참여의 과정에 대한 가치는 무시한 결과지향성 스포츠로 변화하여 스포츠 참여에 대한 본질적 가치의 상실과 인간소외현상을 야기 시켰다. 스포츠 인권에 대한 필요성과 실태의 심각성, 인권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심도 있는 논의 과정을 거쳐 왔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인권에 대해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모두가 인권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필요성을 인식하여 인권보호를 위해 인권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결국 실천적 문제에 있어서 인권침해의 올바른 인식과 상황의 해석 능력에 대한 부분이 미흡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스포츠 인권에 대한 기존의 연구 관점에서 벗어나 인권실천의 메커니즘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고, 인권의 주체인 인간의 인권감수성의 역할과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우, "한국의 스포츠 정책변동 사례 연구 :KBS 시사기획 ‘쌈’의 보도와 학교운동부 인권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8 (8): 17-34, 2010

      2 강구민, "학생선수의 학습권에 대한 헌법적 함의"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 (13): 101-120, 2010

      3 홍덕기, "학생선수의 인권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상겸, "학생선수의 인권과 일반학생의 학습권보장에 관한 연구 - 스포츠교육의 정상화 관점에서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2 (12): 11-36, 2009

      5 김두현, "학생선수의 안전권 보호정책 실태 및 발전방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4 (14): 123-153, 2011

      6 박화옥, "특집 : 다문화사회와 체육정책의 대응 ; 이주노동자인권문제의 또 다른 사각지대 : 체육활동 참여권의 보장" 103 : 15-20, 2008

      7 박순오, "태권도 선수의 인권보호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0

      8 서동업, "초등학교 학생선수의 스포츠 기본권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전해림, "중학교 운동부의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실천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윤석민, "장애인운동선수의 인권확립과 복지향상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12, 2015

      1 박재우, "한국의 스포츠 정책변동 사례 연구 :KBS 시사기획 ‘쌈’의 보도와 학교운동부 인권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8 (8): 17-34, 2010

      2 강구민, "학생선수의 학습권에 대한 헌법적 함의"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 (13): 101-120, 2010

      3 홍덕기, "학생선수의 인권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상겸, "학생선수의 인권과 일반학생의 학습권보장에 관한 연구 - 스포츠교육의 정상화 관점에서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2 (12): 11-36, 2009

      5 김두현, "학생선수의 안전권 보호정책 실태 및 발전방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4 (14): 123-153, 2011

      6 박화옥, "특집 : 다문화사회와 체육정책의 대응 ; 이주노동자인권문제의 또 다른 사각지대 : 체육활동 참여권의 보장" 103 : 15-20, 2008

      7 박순오, "태권도 선수의 인권보호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0

      8 서동업, "초등학교 학생선수의 스포츠 기본권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전해림, "중학교 운동부의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실천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윤석민, "장애인운동선수의 인권확립과 복지향상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12, 2015

      11 김동규, "인권지향적 스포츠맨십의 정초: 세계인권선언의 적용" 한국체육철학회 26 (26): 59-72, 2018

      12 고기복, "인권으로서 스포츠권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 (20): 27-48, 2017

      13 홍덕기, "인권으로 바라본 학생선수: 교육적 담론"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131-154, 2007

      14 민솔희, "인권 패러다임 관점의 장애인 체육활동 모형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5 (25): 17-41, 2017

      15 허현미, "인구사회학적 변인별 엘리트선수의 스포츠 문화와 인권에 관한 인식" 한국체육학회 50 (50): 35-44, 2011

      16 남기연, "유럽인권협약에 따른 스포츠 중재 합의의 효력 - Claudia Pechstein의 판결을 중심으로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2 (22): 25-46, 2019

      17 강영만, "여성 축구선수의 성차별에 관한 인식과 성평등 실천의 방해요인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이장일, "엘리트 장애운동선수의 인권 인식에 관한 연구" 34 (34): 17-25, 2017

      19 구송광, "엘리트 스포츠 성폭력 문제에 대한 법적 해석- 쇼트트랙 실업팀 내 성추행 사건을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7 : 31-41, 2014

      20 김광옥, "스포츠인권의 사회구조적 메커니즘 : 사회학적 제도주의 접근"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21 김보정, "스포츠인권의 사각지대: 태권도선수 인권문제와 사회적 책임" 한국체육철학회 27 (27): 35-44, 2019

      22 김현수, "스포츠는 인권인가?" 한국체육철학회 26 (26): 19-34, 2018

      23 정승재, "스포츠권의 헌법상 지위 - 스포츠선수의 학교폭력실태 및 해결방안과 법․인권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5 (5): 69-86, 2012

      24 정구철, "스포츠 학습을 통한 Fair Play 인권교육에 대한 소고"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51-165, 2013

      25 정용철, "스포츠 인권을 만나다" 나녹 2016

      26 이세형, "스포츠 인권, 그 포기할수 없는 권리를 위하여! 선수(성)폭력의 예방과 대처방법" 19 : 43-64, 2013

      27 정승재, "스포츠 선수의 학교폭력 실태 및 해결방안과 법․인권교육의 방향" 2012 (2012): 45-62, 2012

      28 박순오, "스포츠 선수들의 인권침해와 효과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2 (12): 33-44, 2014

      29 Spradley, J., "문화연구를 위한 참여관찰 연구방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3

      30 김현수, "대한민국의 스포츠와 인권: 승리를 향한 폭력의 시대" 한국체육학회 55 (55): 1-9, 2016

      31 김석용, "대학교 학생선수의 수업문화 : 유도전공 학생선수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대학원 2015

      3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강사양성과정 기본 자료집 : 인권 첫걸음" 국가인권위원회 2015

      33 허현미, "국가대표 운동선수의 인권 측정"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145-161, 2010

      34 이형석, "교육인권과 스포츠권에 관한 연구" 38 : 245-267, 2007

      35 임수원,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의 논리적 근거" 한국체육학회 50 (50): 45-57, 2011

      36 Spradley, J. p., "The ethnographic interview" Harcourt College Publishers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