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식도천공의 외과적 치료 = Surgical Treat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8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식도천공은 비교적 흔하지 않지만,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낸다. 치료와 결과는 증상의 시간에 따라 크게 결정된다. 저자들은 식도천공 환자들을 최근의 치료방법으로 치료하여 ...

      배경: 식도천공은 비교적 흔하지 않지만,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낸다. 치료와 결과는 증상의 시간에 따라 크게 결정된다. 저자들은 식도천공 환자들을 최근의 치료방법으로 치료하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식도 파열로 치료한 환자들을 후향적 분석하였다. 28명 환자들에서(남자 22명, 여자 6명: 평균나이 51세, 최소 17세에서 최고 82세) 천공의 원인을 보면 이물질 9명, 외상 7명, 자연적 파열 7명, 의인성 5명이었다. 환자중 18명은 24시간 내 진단되었으며, 10명은 24시간 이후에 진단되었다. 21명(75%)에서 일차 봉합술을 시행하였으며, 4명에서는 식도 절제술, 3명의 환자에서는 위루술과 배농술를 시행하였다. 결과: 병원 사망률은 18%이며, 그리고 의인성에서 사망률이 증가하였다(p<0.05). 천공위치, 천공 후 시간, 치료방법은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수술 후 누출은 4명의 환자에서 생겼으며, 보존적인 치료로 회복이 되었다. 결론: 식도 파열은 진단과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아직도 위험한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의 발현시간에 관계없이 일차 재건술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식도파열 환자들의 성공적인 치료에 필수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Surgical treat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598-602, koreanjthoraccardiovascsurg1994;27

      2 "Spontaneous rupture of esophagus" 689-92,

      3 "Spontaneous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report of three new cases" thorax1946;1

      4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correlation of site and cause with plain film findings" 537-40, amjroentgenol1985;145

      5 "One-stage esophagectomy in the presence of mediastinitis" 124-7,

      6 "Noniatrogenic esophageal trauma" 59 : 845-850, 1995

      7 "Multimodality treatment of esophageal disruptions" 112 : 1304-1309, 1997

      8 "Management of instrumental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211-8, jthoraccardiovascsurg1982;84

      9 "Management of esophagectomy or primary repair" 1088-91, jthoraccardiovascsurg1993;106

      10 "Manage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31 : 36-39, 2001

      1 "Surgical treat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598-602, koreanjthoraccardiovascsurg1994;27

      2 "Spontaneous rupture of esophagus" 689-92,

      3 "Spontaneous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report of three new cases" thorax1946;1

      4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correlation of site and cause with plain film findings" 537-40, amjroentgenol1985;145

      5 "One-stage esophagectomy in the presence of mediastinitis" 124-7,

      6 "Noniatrogenic esophageal trauma" 59 : 845-850, 1995

      7 "Multimodality treatment of esophageal disruptions" 112 : 1304-1309, 1997

      8 "Management of instrumental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211-8, jthoraccardiovascsurg1982;84

      9 "Management of esophagectomy or primary repair" 1088-91, jthoraccardiovascsurg1993;106

      10 "Manage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31 : 36-39, 2001

      11 "Intrathoracic esophageal perforation. The merit of primary repair" 109 : 140-146, 1995

      12 "Evolving options in the manage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s" 77 : 1475-1483, 2004

      13 "Esophageal perforation after sequencial double-lung transplantation" 117 : 285-287, 2000

      14 "Endoscopic perforation of the upper digestive tract a review of their pathogenesis" 787-802, gastroenterology1994;106

      15 "Discussion on unusual aspects of esophageal disease"

      16 "Delayed primary repair of intrathoracic esophageal perforation: is it safe?" 111 : 114-122, 1996

      17 "Conservative manage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232-40,

      18 "Complications of endoscopy" 181 : 319-330,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