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식산업의 팬데믹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연구 = A study on cooperative governance to respond to a pandemic crisi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 엔데믹으로의 전환 시점에서,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 위기 대응을 위한 외식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 인식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외식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외식 자영업자, 외식기업, 정책기관, 협회 및 단체의 4개 집단의 23명을 대상으로 거버넌스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조사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주요 고려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기초 인식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공통적으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거버넌스 구축이 팬데믹 위기상황을 극복하는데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거버넌스 위원회가 잘 운영될 지에 대한 우려 또한 크게 나타났다. 심층인터뷰 결과,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는 첫째, 목표 및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공유 및 공감대 형성’을 중요하게 여겼다. 둘째, 협력적 거버넌스의 ‘지속가능한 운영 기준 및 토대’마련을 강조하였다. 셋째, 외식산업의 정확한 피해조사 및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질적 정보 확보 및 조사 체계분류’ 확립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4개 그룹간의 인식 및 의견 차이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팬데믹 위기상황에 대비한 외식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의미를 가지며,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 방향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 엔데믹으로의 전환 시점에서,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 위기 대응을 위한 외식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 인식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들...

      본 연구는 코로나 엔데믹으로의 전환 시점에서,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 위기 대응을 위한 외식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 인식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외식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외식 자영업자, 외식기업, 정책기관, 협회 및 단체의 4개 집단의 23명을 대상으로 거버넌스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조사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주요 고려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기초 인식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공통적으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거버넌스 구축이 팬데믹 위기상황을 극복하는데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거버넌스 위원회가 잘 운영될 지에 대한 우려 또한 크게 나타났다. 심층인터뷰 결과,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는 첫째, 목표 및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공유 및 공감대 형성’을 중요하게 여겼다. 둘째, 협력적 거버넌스의 ‘지속가능한 운영 기준 및 토대’마련을 강조하였다. 셋째, 외식산업의 정확한 피해조사 및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질적 정보 확보 및 조사 체계분류’ 확립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4개 그룹간의 인식 및 의견 차이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팬데믹 위기상황에 대비한 외식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의미를 가지며,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 방향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은재호,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대영문화사 2009

      2 전수지 ; 김형일, "푸드테크의 발달에 따른 언택트 서비스의 경험가치가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141-155, 2020

      3 박선경 ; 신진욱, "코로나19와 국가역할 확대에 대한 국민 인식: 이념성향, 재난피해, 정부대응, 재난지원금의 영향" 극동문제연구소 37 (37): 153-189, 2021

      4 신서영 ; 이범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식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71-90, 2021

      5 성백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외식프랜차이즈 발전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24 (24): 7-21, 2021

      6 최동주 ; 문성식, "코로나19 시대 외식경영인들의 행복지수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25 (25): 209-233, 2022

      7 농림축산식품부, "코로나19 대응 관광·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관계부처 합동 2020

      8 제갈태환 ; 이승우 ; 황지윤, "코로나-19에서의 위생 대응과 외식고객의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 및 재방문 의도: 시나리오 기반 사례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9 (49): 1036-1043, 2020

      9 홍인기, "코로나 19 위험지각이 외식인식,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27 (27): 174-182, 2021

      10 이연택 ; 주현정, "컨벤션산업정책 관련집단의 정책단계별 참여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235-253, 2008

      1 은재호,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대영문화사 2009

      2 전수지 ; 김형일, "푸드테크의 발달에 따른 언택트 서비스의 경험가치가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141-155, 2020

      3 박선경 ; 신진욱, "코로나19와 국가역할 확대에 대한 국민 인식: 이념성향, 재난피해, 정부대응, 재난지원금의 영향" 극동문제연구소 37 (37): 153-189, 2021

      4 신서영 ; 이범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식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71-90, 2021

      5 성백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외식프랜차이즈 발전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24 (24): 7-21, 2021

      6 최동주 ; 문성식, "코로나19 시대 외식경영인들의 행복지수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25 (25): 209-233, 2022

      7 농림축산식품부, "코로나19 대응 관광·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관계부처 합동 2020

      8 제갈태환 ; 이승우 ; 황지윤, "코로나-19에서의 위생 대응과 외식고객의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 및 재방문 의도: 시나리오 기반 사례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9 (49): 1036-1043, 2020

      9 홍인기, "코로나 19 위험지각이 외식인식,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27 (27): 174-182, 2021

      10 이연택 ; 주현정, "컨벤션산업정책 관련집단의 정책단계별 참여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235-253, 2008

      11 강헌 ; 이승곤, "컨벤션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에 관한 이해관계자들의 평가: 서울마이스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0 (30): 119-136, 2016

      12 신현식 ; 채용식, "지역축제 거버넌스 구축이 축제 성과 및 발전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횡성한우축제를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11 (11): 113-126, 2009

      13 유수동 ; 전성훈, "재난관리정책에 대한 집행요인과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87-115, 2016

      14 조현아 ; 전혜진, "음식 배달앱 사용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23 (23): 133-151, 2021

      15 박인아 ; 조미희, "외식관련 코로나 위험 메시지로 인한 부정적 감정이 외식 소비자의 정보 탐색 성향 및 외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24 (24): 141-160, 2021

      16 한정훈 ; 김미경, "외식 배달앱 이용속성이 소비자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의 위험인식을 조절효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24 : 227-249, 2021

      17 중앙일보, "소상공인에 600만~1000만원 지급…‘59.4조’ 역대 최대 추경"

      18 중소벤처기업부, "버팀목자금 관련 주요 FAQ"

      19 임형택, "민・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의료관광 정책형성과정 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14 (14): 32-48, 2012

      20 김봉석, "무역전시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1 (1): 27-48, 2006

      21 김영근, "동아시아 재해 거버넌스 :인간의 안전보장과 생명정치의 기원" 글로벌일본연구원 (37) : 347-372, 2022

      22 이설죽 ; 강지원 ; 남궁영,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식 배달앱 이용동기와 행동의도 연구: 비대면 접촉성향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157-177, 2021

      23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시행공고(2차, 확인지급)"

      24 SBS biz, "[이슈분석] ‘포스트 코로나 준비해야’…대선 후보들의 경제활성화 공약은?"

      25 The Washington Post, "What does endemic mean? Experts answer your questions about the future of COVID"

      26 Newman, M. E., "The structure of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98 (98): 404-409, 2001

      27 Bovaird, T., "Public governance : balancing stakeholder power in a network society" 71 (71): 223-235, 2005

      28 Kooiman, J., "Participatory Governance: Political and Societal Implications" VS Verlag fur Sozialwissenschaften 71-96, 2002

      29 Hoddy, E. T., "Critical realism in empirical research : employing techniques from grounded theory methodology" 22 (22): 111-124, 2019

      30 Ansell, C.,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18 (18): 543-571, 2008

      31 황경희 ; 김현채, "COVID-19로 변화된 식생활 트렌드가 소비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5 (45): 705-727, 2020

      32 Emerson, K.,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ollaborative governance" 22 (22): 1-29, 2012

      33 국회예산정책처, "2022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2022

      34 중소벤처기업부, "2021년 4분기 소상공인 손실보상 시행 공고"

      35 중소벤처기업부, "2021년 3분기 소상공인 손실보상 시행 공고"

      36 농림축산식품부, "2021년 1분기 외식산업경기전망지수 보고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2-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관광학회 -> 한국호텔관광학회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 Hospitality & Tourism -> The Academy of Korea Hospitality & Tourism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텔관광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pitality & Touris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27 1.22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