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그너의 지휘에 관하여 에 나타난 지휘론 연구: ‘작품에 충실한’(Werktreue) 연주 담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Richard Wagner’s On Conducting and the Expansion of the Werktreue Ideal in 19th-Century Performance Dis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652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지휘에 관하여 (Über das Dirigieren, 1870)를 중심으로 그의 지휘론이 ‘작품에 충실한’(Werktreue) 연주 담론과 맺는 관계를 고찰한다. ‘작품에 충실함’은 19세기에 부상한 미학적 이상으로, 연주자에게 작곡가의 의도를 왜곡 없이 전달할 것을 요구하는 담론을 형성했다. 이 담론은 연주자의 핵심 덕목으로 반(反)비르투오소적 자기 절제와 함께, 작곡가와 청중 사이의 투명한 매개자 역할을 강조하였다. 바그너 이전 슈만, 멘델스존, 베를리오즈의 지휘론은 모두 이러한 담론의 연장선에 있었다. 반면, 바그너는 당대의 지휘자들이 작품을 올바르게 해석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지휘에 관하여 에서 자신의 독자적 지휘론을 제시하였다. 바그너는 지휘자가 음악 작품의 근본적 선율 내용인 ‘멜로스’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멜로스와 상호규정적 관계에 있는 템포의 설정에도 주체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베토벤 이후 알레그로 음악을 예시로 들며, 악보에 직접적인 지시가 없더라도 작품의 흐름과 각 패시지의 주된 성격에 부합하는 템포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입장은 지휘자가 악보에 ‘기재되지 않은’ 음악적 뉘앙스를 덧붙이는 것을 용인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지휘론들과 결을 달리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바그너의 지휘론이 ‘작품에 충실한’ 연주의 외연을 확장하였으며, 지휘자를 단순한 매개자가 아니라 작품의 본질을 이해하고 드러내는 ‘능동적 해석자’로 이해하는 시각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지휘에 관하여 (Über das Dirigieren, 1870)를 중심으로 그의 지휘론이 ‘작품에 충실한’(Werktreue) 연주 담론과 맺는 관계를 고찰한다. ‘작품에 충실함’은 19세기에 ...

      본 연구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지휘에 관하여 (Über das Dirigieren, 1870)를 중심으로 그의 지휘론이 ‘작품에 충실한’(Werktreue) 연주 담론과 맺는 관계를 고찰한다. ‘작품에 충실함’은 19세기에 부상한 미학적 이상으로, 연주자에게 작곡가의 의도를 왜곡 없이 전달할 것을 요구하는 담론을 형성했다. 이 담론은 연주자의 핵심 덕목으로 반(反)비르투오소적 자기 절제와 함께, 작곡가와 청중 사이의 투명한 매개자 역할을 강조하였다. 바그너 이전 슈만, 멘델스존, 베를리오즈의 지휘론은 모두 이러한 담론의 연장선에 있었다. 반면, 바그너는 당대의 지휘자들이 작품을 올바르게 해석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지휘에 관하여 에서 자신의 독자적 지휘론을 제시하였다. 바그너는 지휘자가 음악 작품의 근본적 선율 내용인 ‘멜로스’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멜로스와 상호규정적 관계에 있는 템포의 설정에도 주체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베토벤 이후 알레그로 음악을 예시로 들며, 악보에 직접적인 지시가 없더라도 작품의 흐름과 각 패시지의 주된 성격에 부합하는 템포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입장은 지휘자가 악보에 ‘기재되지 않은’ 음악적 뉘앙스를 덧붙이는 것을 용인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지휘론들과 결을 달리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바그너의 지휘론이 ‘작품에 충실한’ 연주의 외연을 확장하였으며, 지휘자를 단순한 매개자가 아니라 작품의 본질을 이해하고 드러내는 ‘능동적 해석자’로 이해하는 시각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ichard Wagner’s conducting theory in On Conducting (Über das Dirigieren, 1870) and the 19th Century Werktreue (fidelity to the work) performance discourse. The Werktreue ideal emerged as an aesthetic principle in the 19th century, generating a discourse requiring performers to faithfully transmit composers’ intentions without distortion. This discourse emphasized anti-virtuosic self-restraint and the role of a transparent mediator between composer and audience as performers’ core virtues. The conducting theories of Schumann, Mendelssohn, and Berlioz before Wagner all aligned with this discourse. In contrast, Wagner criticized contemporary conductors for not making sufficient efforts to properly interpret musical works and presented his distinctive conducting theory in On Conducting. Wagner argued that conductors must accurately grasp the fundamental melodic content of a musical work, which he termed ‘melos’, and actively engage in establishing tempo, which he saw as mutually conditioned by melos. He maintained that even without explicit instructions in the score, conductors should modify the tempo with sensitivity to the work’s overall flow and the nuances of individual passages. His claim differs from conducting theories formed within the existing Werktreue discourse in that it allows conductors to add musical nuances not indicated in the score.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study argues that Wagner’s conducting theory expanded the conceptual scope of the Werktreue ideal and marked a significant turning point by positioning conductors not as mere mediators but as ‘active interpreter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ichard Wagner’s conducting theory in On Conducting (Über das Dirigieren, 1870) and the 19th Century Werktreue (fidelity to the work) performance discourse. The Werktreue ideal emerged as an aesthetic pr...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ichard Wagner’s conducting theory in On Conducting (Über das Dirigieren, 1870) and the 19th Century Werktreue (fidelity to the work) performance discourse. The Werktreue ideal emerged as an aesthetic principle in the 19th century, generating a discourse requiring performers to faithfully transmit composers’ intentions without distortion. This discourse emphasized anti-virtuosic self-restraint and the role of a transparent mediator between composer and audience as performers’ core virtues. The conducting theories of Schumann, Mendelssohn, and Berlioz before Wagner all aligned with this discourse. In contrast, Wagner criticized contemporary conductors for not making sufficient efforts to properly interpret musical works and presented his distinctive conducting theory in On Conducting. Wagner argued that conductors must accurately grasp the fundamental melodic content of a musical work, which he termed ‘melos’, and actively engage in establishing tempo, which he saw as mutually conditioned by melos. He maintained that even without explicit instructions in the score, conductors should modify the tempo with sensitivity to the work’s overall flow and the nuances of individual passages. His claim differs from conducting theories formed within the existing Werktreue discourse in that it allows conductors to add musical nuances not indicated in the score.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study argues that Wagner’s conducting theory expanded the conceptual scope of the Werktreue ideal and marked a significant turning point by positioning conductors not as mere mediators but as ‘active interprete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