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수준별로 학습 집단을 재구성하여 능력에 맞는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영어 수준별 이동수업이 방과후 학교에서의 운영 실태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323478
인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영어교육학과 , 2007. 8
2007
한국어
740
420
인천
ⅶ, 84 p. ; 26cm
지도교수:문안나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수준별로 학습 집단을 재구성하여 능력에 맞는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영어 수준별 이동수업이 방과후 학교에서의 운영 실태를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수준별로 학습 집단을 재구성하여 능력에 맞는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영어 수준별 이동수업이 방과후 학교에서의 운영 실태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강사, 그리고 수업을 받는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네 가지 문제를 제기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첫째,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을 방과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조건 탐색, 둘째, 방과후 학교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의 실태조사, 셋째, 방과후 학교 수준별 영어수업에 대한 수준별 학생들의 인식과 영어과 교사들과 강사들의 인식 비교 분석, 넷째, 현재 중학교에서 방과후 학교 영어과 수업에 적용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방과후 학교 수준별 영어수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안을 연구문제로 수행하였다.
제 2장에서는 방과후 학교의 의의와 수준별 교육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제 3장에서는 방과후 학교 단계형 수준별 수업을 시행하고 있는 중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하여 교사·강사, 학생의 의견을 분석하였고, 제 4장에서는 그에 따른 결론과 제언을 실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의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첫째,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가중된 업무 부담 해소를 정책적으로 해결해야하며, 교사 자신들도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방과후 학교 수업에 임해야겠다.
둘째, 활기찬 수업을 위해, 학생들의 자발적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 제도적 보안이 필요 하겠다.
셋째,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반 편성을 더 세분화하고 한 반의 인원을 더 줄여 실질적인 소규모 학급으로 재구성 하여 모든 학생에게 세심한 관심과 노력이 경주되어져야겠다.
넷째,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이 더 효과적이고 활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자료가 개발되어 활용되어져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gathered and analyzed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and lectures who are actually in charge of after-school, level-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s well as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who take the classes. The results o...
This research gathered and analyzed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and lectures who are actually in charge of after-school, level-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s well as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who take the classes.
The results of the survey by questionnaire presented to the teachers and lecturers are as follows:
First, neither teachers nor lecturers were well trained for after-school, level-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Second, the teachers and lecturers should firmly recognize the prerequisite for applying English curriculum on after-school classes.
Third,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excessive work load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after-school, level-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by policy.
The results of the survey by questionnaire presented to students in are as follows:
First, almost half the students in lower classes aren't satisfied with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Second, the emotional superiority of the students in upper classes and the emotional uneasiness of the students in lower classes observed in the regular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were hardly seen in the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hird,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all students by subdividing the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nd to reorganize small class with fewe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following matters to efficiently manage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First, The teachers and lecturers themselves should perform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with spontaneous and active posture.
Second, some system that encourages the students to spontaneously participate in the classes needs to be supplemented for active classes.
Third,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utilize diverse learning materials proper to each level so as to more effectively and actively perform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