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와 가족의 이별을 돕는 미술치료사 체험연구 = A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Study on an Art Therapist Who has experienced the Separation of a Hospice Patients and His Family through Dea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158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who helped a Hospice Patient and his family through death.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from August to November 2018, and the main research participant was a hospice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who helped a Hospice Patient and his family through death.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from August to November 2018, and the main research participant was a hospice palliative care art therapist with four master’s degrees in art therapy.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were tried to derive a total of 5 essential topics and 16 sub-topics. Based on the study of hospice art therapy, the following three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Patient and his family members had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feelings through art therapy in a hospice palliative care setting and experienc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Second, the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the patient’s remaining life, and shared meaningful memories for themselves. Third, the art therapist's work with the patient was a valuable gift to the patient's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the preparation process to say farewell meaningful for the hospice patient and his family by using art therapy as a preventative healing process for suffering after los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rt therapist becomes a bridge connecting the patient and the minds of the family, and that the patient becomes a tool to dignify the end of life. In addition, 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field, the art therapist has significance as the patient's final companion in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와 가족의 이별을 도운 미술치료사가 어떠한 체험을 하였는지 그 의미와 본질을 알아보고자 한다. 2018년 8월부터 11월까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와 가족의 이별을 도운 미술치료사가 어떠한 체험을 하였는지 그 의미와 본질을 알아보고자 한다. 2018년 8월부터 11월까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총 4명으로 미술치료 석사학위를 취득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미술치료사이다.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를 통해 5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와 가족의 이별을 도운 미술치료사의 체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와 그의 가족은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용서와 화해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둘째,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와 가족은 환자의 임종이 가까워짐을 느낄수록 마지막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내고자 하였다. 셋째, 미술치료사가 환자와 함께 제작한 작품은 환자 가족에게 귀한 유품이 되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통해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와 가족이 경험할 이별을 의미 있게 준비하고, 상실 후 겪을 슬픔의 예방적 치유과정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사는 환자와 가족의 마음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고, 환자가 존엄하게 생을 마감하기 위한 도구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사는 환자의 삶의 마지막 동행자로서 중요한 역할이 됨을 밝힌 것에 의의를 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법령정보센터,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약칭: 연명의료결정법). (법률제 15542호)"

      2 김현숙, "호스피스 환자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3 노유자, "호스피스 완화의료-의미있는 삶의 완성" 현문사 2018

      4 최예슬,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암환자와 가족이 함께하는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5 강진아, "호스피스 완화의료 개론" 보건복지부 2009

      6 Kramer, E., "치료로서의 미술" 시그마프레스 2011

      7 van Manen, M.,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 현문사 2000

      8 손승아, "첫 어머니됨의 체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한유리, "질적연구 입문" 박영스토리 2015

      10 신경림, "질적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 국가법령정보센터,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약칭: 연명의료결정법). (법률제 15542호)"

      2 김현숙, "호스피스 환자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3 노유자, "호스피스 완화의료-의미있는 삶의 완성" 현문사 2018

      4 최예슬,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암환자와 가족이 함께하는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5 강진아, "호스피스 완화의료 개론" 보건복지부 2009

      6 Kramer, E., "치료로서의 미술" 시그마프레스 2011

      7 van Manen, M.,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 현문사 2000

      8 손승아, "첫 어머니됨의 체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한유리, "질적연구 입문" 박영스토리 2015

      10 신경림, "질적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1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5

      12 임하연,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초둥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13 안정희, "완화요법과 미술치료" 33 : 4-9, 2005

      14 정여주, "소아 호스피스의 암 환아 미술치료" 한국미술치료학회 14 (14): 227-246, 2007

      15 박시내, "미술치료를 통한 호스피스 환자의 가족 내 갈등에 관한 용서 체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16 단정수, "미술치료를 통한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의 상실예감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17 조득현, "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호스피스환자의 미술표현과 심리적 특성"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18 홍혜정, "미술치료 석사 과정생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호스피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질적연구학회 13 (13): 36-49, 2012

      19 박성은, "말기암 환자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7 (7): 1-20, 2007

      20 윤석희,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유형"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08

      21 구미례,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443-472, 2010

      22 정혁규, "Well-dying 두려움 버리기" 상상나무 2012

      23 Boyd, D., "Nurse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end-of-life communication and care" 38 (38): 2011

      24 Fenton, J. F., "Finding one's way home:Reflections on Art Therapy in Palliative Care"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9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