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Group Cohesion of High School Soccer Play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15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illustrate how group therapy affects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group cohesion of high school socc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High School Soccer Association in K-Gu S City in Korea...

      This paper aimed to illustrate how group therapy affects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group cohesion of high school socc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High School Soccer Association in K-Gu S City in Korea and were involved in the therapy. We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two randomly arranged group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having six memb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via 12 sessions total of art therapy, 6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without pre-test and post-test from May to August 2018. We selected the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scale and group cohesion scale as the research tools,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measured by Wilcoxon-signed rank test on SPSS 22.0.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via two steps as the group art therapy is focused on the changes in every treatment step.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is examination h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could not only disclose their inner conflicts but also maintai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team members to communicate and interact effectively by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youth soccer players. It is also evaluated as a clinical study on the athletes who playing football in high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K구의 고등학생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K구의 고등학생 축구협회에 소속되어 있는 12명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자들로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2명을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을 무선으로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이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1회 6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의사소통만족 척도와 집단응집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의 양적 분석은 SPSS 22.0의 월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으로 하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에 효과가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미술치료 활동으로 내적갈등을 표현하게 하고 집단원간의 상호작용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집단응집력을 향상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축구생활을 원만하게 도왔다는 점에 임상적으로 가치가 있으며 앞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더욱 활발히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운석, "핸드볼 선수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팀 응집력, 집단 효능감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 김상훈, "축구선수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집단응집력의 관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이근철, "청소년 축구선수가 지각하는 코치-선수 관계와 선수만족, 집단 응집력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 (16): 37-45, 2014

      4 김민정, "창의활동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5 이한규, "집단종목 팀의 집단응집력 검사개발 체육학과 논총" 한국체육과학연구원 6 (6): 15-26, 1995

      6 김지영,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7

      7 신지성,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3

      8 문미심, "집단미술치료가 초등부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학급응집력 계선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2015

      9 백정은, "집단미술치료가 초등부 여자축구선수들의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10 강여울, "집단미술치료가 체육계열 대학생의 운동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1 여운석, "핸드볼 선수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팀 응집력, 집단 효능감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 김상훈, "축구선수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집단응집력의 관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이근철, "청소년 축구선수가 지각하는 코치-선수 관계와 선수만족, 집단 응집력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 (16): 37-45, 2014

      4 김민정, "창의활동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5 이한규, "집단종목 팀의 집단응집력 검사개발 체육학과 논총" 한국체육과학연구원 6 (6): 15-26, 1995

      6 김지영,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7

      7 신지성,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3

      8 문미심, "집단미술치료가 초등부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학급응집력 계선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2015

      9 백정은, "집단미술치료가 초등부 여자축구선수들의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10 강여울, "집단미술치료가 체육계열 대학생의 운동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11 김선영, "집단미술치료가 야구부 청소년의 학업동기와 스포츠 수행전략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12 김희은, "집단미술치료가 소년원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 불안, 우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3 김선명,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 스트레스, 우울감,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4 김영아, "집단미술치료가 과잉-분리가정 아동의 소외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15 강은미, "집단미술치료 기법을 응용한 자각 증진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김원기, "중학교 태권도 지도자의 의사소통유형이 학생선수의 훈련몰입과 훈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7 황해경, "양궁선수의 스포츠심리기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대구대학교 2015

      18 문태영, "스포츠 집단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집단 응집력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469-484, 2004

      19 박성계, "스포츠 센터내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39 (39): 718-728, 2000

      20 안지혁, "사회인 야구팀 성원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 응집력 및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2 (52): 397-410, 2013

      21 안지혁, "사회인 야구팀 성원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팀 응집력 및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2 서재명, "사회인 야구선수들의 스포츠몰입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443-1457, 2012

      23 이황은, "또래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24 최 진, "고교축구팀의 대회 성적과 응집력 및 집단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5 Ellis, D. S.,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West Publishing 1976

      26 Loy, J. W., "Where the action is: A consideration of centrality in sport situations" 1972

      27 Loughead, T. M., "The mediating role of cohesion in the leader behavior-satisfaction relationship" 5 : 355-371, 2004

      28 Coakley, J., "Spor&t in Society: Issues Controversies" Time Mirror/Mosby 1990

      29 이동주,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379-407, 2013

      30 Bienvenu, M. J.,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62 : 344-345, 1971

      31 Carron, A. V., "Group dunamics in sport" Spodym 1988

      32 Philippe, R. A., "Closeness, co-orientation and complementarity in coach-athlete relationships" 7 : 159-171, 2006

      33 Downs, C. W.,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ication Satisfaction" 14 : 63-73,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9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