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위상학 = A Research on the Narrative Topology of Cultural Geographical Heterotop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81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문화적 경관(cultural landscape)’에 대한 학제적 연구에서 핵심 논제로 상정되는 ‘공간’의 문제에 주목하여, 서사론과 인문지리학을 위시한 현대 공간 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한...

      이 논문은 ‘문화적 경관(cultural landscape)’에 대한 학제적 연구에서 핵심 논제로 상정되는 ‘공간’의 문제에 주목하여, 서사론과 인문지리학을 위시한 현대 공간 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한국 현대 소설에서 문화지리에 관한 방법적 개념을 구상하고 그 소설적 계열체들을 탐색한 결과다.
      2세대 인문지리학은 장소에 대한 인간의 경험 양상을 질문하는 데서 출발하여 인문환경의 중층 속에서 구성되는 다기한 공간의 생산과 수행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한다. 현상학적 공간 개념에 기초한 ‘체험 공간’의 논점을 통한 관계적·구성적 개념으로서의 공간이 문제의 관건으로 부상하는 것이다. 문학지리학 또한 이러한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문화적 경관의 중층을 탐색하는 학제적 연구 수행의 한 방편으로 제시된다. 문학지리학의 질문은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서사체에 사상되어 구성된 문학적 담론 형태로 빚어질 때, 서사화된 문화지리의 양상과 의미를 묻는 데 그 요체가 있다.
      이처럼 ‘문화적 경관의 서사화’가 문제시될 때, 본고는 문화적 경관이 서사화되는 방식에서 서사체에 사상된 문화적 경관의 양상들은 실체로 전제될 수 없으며 장소와 인간이라는 두 항에 고착된 반영론적 시각에 한정될 수 없음에 주목한다. 본고 전체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장소가 아닌 체험 공간의 논점에서 소설의 공간을 사유할 방법론적 지평을 마련하기 위해, 무엇이 장소인가 그리고 누구의 경험인가의 두 질문을 경유하여 체험 공간의 구성소인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한국 현대 소설의 이종공간적 자질을 계열화한 것이 골자다.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소설의 서사 담론에 산입될 때, 소설의 공간은 어떤 물리적 연장도 전제하지 않으면서도 실제하는 장소의 문화지리적 현상들과 이를 구성하는 구성소들: 장소, 시간, 주체의 배치를 복사하고 되비추는 장소 없는 공간의 자질과 기능을 보인다. 본고는 이러한 문화적 경관이 서사화되는 방식에 있어서 소설의 공간이 갖는 자질을 이종공간으로 개념화한다. 이종공간은 소설의 공간으로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위상 전이되는 과정에서 빚어지는 서사공간의 기획과 구성 상의 역동을 포착하기 위한 방법적 개념이다. 체험된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장소의 이종성과 시간의 이종성이 ‘무엇이 장소인가’의 질문에서 장소의 경계와 척도에 대한 항을 통해 위상적 차이로 분화된다면, 주체의 이종성은 ‘누구의 경험인가’의 질문에서 장소를 의미화하는 시선과 거리 및 매개 구도에 대한 항을 통해 위상적 차이로 분화된다. 본고는 장소의 이종성, 시간의 이종성, 주체의 이종성이라는 세 국면에서 포착되는 소설적 사례들을 한국 현대 소설의 계보에서 가능한 한 폭넓게 집적하고 거기에서 발견되는 위상적 차이와 흐름을 분절적으로 계열화했다.
      소설의 공간이 갖는 이종공간적 자질과 그 이종공간의 서사성에 있어서 핵심적 요소인 장소, 시간, 주체는 장소의 이종성, 시간의 이종성, 주체의 이종성과 서사공간으로의 위상 전이 과정에서 빚어지는 양상에서의 변별성을 구체화하여 문화적 경관의 서사적 구현에서의 제재와 구성, 담론화에 있어서의 차이성을 확보한다. 이는 문화지리적 현상들의 배치에 관여된 구성소들이 서사공간으로 위상 전이되는 과정에서 각각 실제적 지리, 실재적 지리, 심상지리로 계열화되는 위상적 구조의 세 층위와 위상적 차이를 말한다. 체험된 지리 감각으로부터 출발하여, 이 지리 감각의 연원과 결부되어 있는 공간적 배치성을 도해하는 서사공간은 실제적 지리에서 실재적 지리로의 이행으로 이해되는 위상적 차이의 한 국면이다. 또한 이러한 공간적 배치성을 재정위하여 각각 장소, 시간, 주체의 배치성을 국지화하는 서사공간은 실재적 지리에서 심상지리로의 이행으로 이해되는 위상적 차이의 또 다른 국면이다. 이와 같은 서사공간의 위상적 차이성은 체험 공간의 모의를 통하여, 미리 부여된 정태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던 세 요소에 대한 체험이 동반하는 배치와 질서 그리고 구성의 차원들을 증강하는 방식으로 담론화되는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구현 양상의 중핵을 이룬다. 이는 허구적 서사담론의 공간적 수행과 영역 횡단의 모의를 가시화함으로써 문화지리에 대한 서사지리학의 지평을 재구획한다.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드러나는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위상은 문화지리의 심상에 사상된 원본성 없는 배치의 공간성을 전경화하고 가로지르는 문학적 담론 형태의 공간에 대한 관심으로 서사지리학의 방법적 시각을 이동하게끔 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서사공간이 구현할 수 있는 문화지리적 담론의 양상에 대한 방법과 지평을 재고하고, 구성적·관계적 개념으로서 공간을 이해하는 시각을 문화지리에 관한 주제에서 제안하여 소설이 문학지리학의 자료가 아니라 문화지리의 담론 장에서 다기한 문학적 담론 형태로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필요성을 제시했다. 문화적 경관에 대한 관심은 근대 이후 탈장소화의 패러다임 속에서 인간이 장소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했다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인간과 직접적인 매개로 단단하게 결합하는 장소적 사유의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에서 촉발된다. 공간이 배치의 문제이고, 이것은 지리의 문제라고 할 때, 공간 분할과 구획 그리고 그 경계를 점이지대로서 넓히는 서사공간의 계열체들은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기획과 생산을 통하여 지리적 세계를 증강하고 변화시키는 담론의 방식으로서의 문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탈장소화의 문화적 패러다임에서 장소로 통합되지 않는 공간의 생산을 돕는 서사체의 이종공간적 자질은 공간의 메타지리학으로서 작동하는 서사공간의 담론적 위상을 증명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ace is a key concept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cultural landscape. This thesis considers the methodical concept of cultural geography in modern Korean novels through dialogue with post/modern spatial theory such as narratology and human geogr...

      Space is a key concept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cultural landscape. This thesis considers the methodical concept of cultural geography in modern Korean novels through dialogue with post/modern spatial theory such as narratology and human geography, and explores novel series.
      Second-generation human geography begins by asking about the human experience of a place, but it does not stop there. It is shifting to the interest in production and spatial performance of various spaces constituted in multiple layers of the human environment. Emerging as the key to the problem is the space as a relational and constructive concept through the point of ‘erlebter Raum’ based on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space. Literary geography is also presented as a wa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explore the multiple layers of cultural landscape based on these spatial concepts. The question of literary geography is that when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are made into literary discourse composed of narratives, they ask about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narrated cultural geography.
      When this ‘narrative of cultural landscape’ is questioned, this thesis focuses on two premises. First, aspects of cultural landscape mapped to a narrative can not be assumed as a substance. Secondly, the narrated cultural landscape can not be confined to a reflective view fixed to both the place and the human being. The whole of this thesis goes through two ques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to think about the space of novel in ‘erlebter Raum’, not place, based on this premise. What is the place and whose experience. Through these two questions, this thesis is the sequencing of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Korean modern novel in three phases of ‘erlebter Raum’ : place, time, and subject.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are incorporated into narrative discourse, the space of the novel does not presuppose any physical extension.
      The space of the novel shows the qualities and functions of ‘space without place’ which copy and reflect the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of the actual place and the agencemen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it. The qualities of these narrative spaces are conceptualized as heterotopia in this thesis. Heterotopia is a methodological concept to capture the planning and compositional dynamics of the narrative space formed by the process of phase transition of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into the space of novel. In the three aspects of the experienced place, time, and subject,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and the time are differentiated into a topological difference through the terms of the boundary and scale of the place in the question ‘what is the place.’ In addition,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is differentiated into a topological difference through the question of ‘who' s experience,’ which is a term for the meaning, the distance, and the mediating composition. This thesis integrates the fictional cases captured in three aspects of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the heterogeneity of the time, and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as broadly as possible in the genealogy of modern Korean novels and segregates the topological differences and flows found there.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the narrative space and the key elements of narrativity of the heterotopia are the place, time, and subject,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the heterogeneity of the time,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and the phase transition process in the narrative space and the differences in sanctions, composition, and discourse in the narrative implementation of cultural landscapes. This refers to the three-tiered and topological difference of the topological structure sequenced by actual geography, real geography, and imaginary geography, respectively, which are revealed in the phase transition of constituents involved in the arrangement of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to narrative space. The narrative space, starting from the experienced geographical sense and illustrating the spatial arrangement associated with this geographical sense, is an aspect of the topological difference understood as the transition from actual geography to real geography. Also, the narrative space that localizes the agencement of each place, time, and subject to redefine this spatial agence is another phase of the topological difference understood as the transition from real geography to imaginary geography. In this way, the topological difference of the narrative space, through the simulation of ‘erlebter Raum,’ is a cultural geographical discourse as a way of enhancing the dimensions of agence, order, and composition accompanied by the experience of the three elements, It forms the core of the narrative embodiment of heterotopia. Differentiality is a key issue. This redefines the narrative geography of cultural geography by emphasizing the spatial performance of fictional narrative discourse and the simulation of cross-domain. The narrative phase of the cultural geographical heterotopia revealed in three aspects of the place, time, and subject reveals the spatiality of the originalityless agencement that is thought in the image of cultural geography and shifts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narrative geography by the interest in the space of literary discourse.
      In conclusion, this thesis reconsideres the method and the horizon for the aspect of the cultural geographical discourse that narrative space can simulate and suggests th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space as the constitutive and relational concept in the topic of cultural geography, And that the novel should be understood as participating in the form of various literary discourses. The interest in cultural landscapes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at human beings are in the paradigm of displacement since the modern times. This is triggered by the perception of the impossibility of a place that is tightly coupled with a direct mediation and the impossibility of place-based reasoning. Space is a matter of placement, and this is a matter of geography. At this time, the series of spatial divisions and compartments and the narrative spaces that extend the boundaries as dots can be understood as literature as a way of discourse that enhances and changes the geographic world through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cultural geographical heterotopia. Thus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the narrative that help to produce spaces that are not integrated into the place from the cultural paradigm of displacement demonstrate the discursive status of the narrative space as a meta-geography of sp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사 검토 6
      • 3. 연구 방법론 26
      • Ⅱ. 장소의 이종성과 서사공간적 위상 전이 36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사 검토 6
      • 3. 연구 방법론 26
      • Ⅱ. 장소의 이종성과 서사공간적 위상 전이 36
      • 1. 체험된 장소의 지리 감각 36
      • 2. 장소의 공간적 분할과 공간성의 도해 47
      • 3. 국지화된 장소의 배치성을 모의하기 81
      • 4. 소결: 영역화된 장소의 심상지리적 장력 94
      • Ⅲ. 시간의 이종성과 서사공간적 위상 전이 98
      • 1. 체험된 시간의 지리 감각 98
      • 2. 시간의 공간적 분할과 공간성의 도해 109
      • 3. 국지화된 시간의 배치성을 모의하기 122
      • 4. 소결: 영역화된 시간의 심상지리적 장력 131
      • Ⅳ. 주체의 이종성과 서사공간적 위상 전이 134
      • 1. 체험된 주체의 지리 감각 134
      • 2. 주체의 공간적 분할과 공간성의 도해 148
      • 3. 국지화된 주체의 배치성을 모의하기 165
      • 4. 소결: 영역화된 주체의 심상지리적 장력 177
      • Ⅴ. 결론 181
      • <참고문헌> 186
      • 19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배수아, "북쪽 거실", 문학과지성사, 2009

      2 황정은, "아무도 아닌", 문학동네, 2016

      3 한 강, "노랑무늬영원", 문학과지성사, 2012

      4 한강, "『채식주의자』", 창비, 2007

      5 황정은, "야만적인 앨리스씨", 문학동네, 2013

      6 이재선, "한국문학의 원근법", 민음사, 1996

      7 정아은, "󰡔잠실동 사람들󰡕", 한겨레출판, 2015

      8 한 강, "󰡔내 여자의 열매󰡕", 창비, 2000

      9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2013

      10 이재선, "󰡔한국문학 주제론󰡕", 서강대학교출판부, 1989

      1 배수아, "북쪽 거실", 문학과지성사, 2009

      2 황정은, "아무도 아닌", 문학동네, 2016

      3 한 강, "노랑무늬영원", 문학과지성사, 2012

      4 한강, "『채식주의자』", 창비, 2007

      5 황정은, "야만적인 앨리스씨", 문학동네, 2013

      6 이재선, "한국문학의 원근법", 민음사, 1996

      7 정아은, "󰡔잠실동 사람들󰡕", 한겨레출판, 2015

      8 한 강, "󰡔내 여자의 열매󰡕", 창비, 2000

      9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2013

      10 이재선, "󰡔한국문학 주제론󰡕", 서강대학교출판부, 1989

      11 배수아, "󰡔서울의 낮은 언덕들󰡕", 자음과모음, 2011

      12 이재선, "󰡔현대 한국 소설사 ~1990󰡕", 민음사, 1991, 1945

      13 최영숙, "「1970년대 한국 도시소설 연구」",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4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한국문학과 토포필리아’ 특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 20, 2003

      15 김태준,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 1~3", 논형, 2005

      16 서울학연구소, "󰡔보이는 용산, 보이지 않는 용산󰡕", 마티, 2009

      17 현대문학이론학회, "한국 근대문학과 장소의 사회학’ 특집", 󰡔현대문학이론연구󰡕 36~39‘ 현대문학이론학회, 2009

      18 Tuan, Yi-Fu, "「문학과 지리학―지리학적 연구의 함의」", 󰡔지역문학연구󰡕 5(3) 경남부산지역문학회, 1999

      19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1930~40년대 경성의 도시체험과 도시문제󰡕", 2014

      20 박찬효, "「1960~1970년대 소설의 ‘고향’ 이미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1 김옥선, "「1960~7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지역 식민화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960

      22 오창은, "「한국 도시소설 연구―196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005

      23 권 은, "「경성 모더니즘 소설 연구―박태원 소설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4 이재선, "「집(家)의 시간성과 공간성―가족사 소설과 집의 공간시학」", 󰡔인문연구논집󰡕 20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8

      25 황정은, "「웃는 남자」, 황정은 외, 󰡔제11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은행나무, 2017

      26 문근종, "「1970년대 이후 한국영화에 드러난 아파트의 부정적 이미지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0(3) 대한건축학회, 2014, 1970

      27 김주리, "「1940년대 ‘집’의 서사화에 대한 일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31", 한국현대문학회, 2010, 1940

      28 김 현, "「현대소설의 시간성 및 공간성 연구―김동인과 염상섭의 단편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29 문근종, "「1930~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아파트 이미지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9(4)", 대한건축학회,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