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중국 한국 자동차 투자기업의 공간 전략과 네트워크: 동펑웨다기아 사례를 중심으로 = Spatial Strategies and Production Networks of Korean Auto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in China: The Case of Dongfeng Yueda K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China was mainly focused on labor intensive industries such as clothing and textile industries until the late 1990s, but since the mid-2000s it has changed its main sectors into capital and technology intensive industries such as high-tech electronics, chemical, and auto industries. In particular, along with the emergence of China as the world largest consumer of car after the mid- 2000s, i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n. The production space of Korean auto FDI firms in China could be divided into two areas formed by Hyundai auto group and Kia auto group respectively. The production area formed by the former could be divided into two; 1) Beijing area in which Beijing Hyundai Motor Company(BHMC) as final assembling factories and Korean auto parts suppliers are agglomerated, and 2) Shandong area in which module firms as Hyundai subsidiaries and related Korean auto parts suppliers are concentrated. The area formed by the latter could be divided into three; 1) Jiangsu area in which Dongfeng Yueda Kia(DYK) as final assembling factories and Korean auto parts suppliers are agglomerated, 2) Shandong area in which module and platform are shared with BHMC, and 3) Shanghai area in which Korean auto suppliers which has weak linkages with DYK are concentrated. It is likely to be that differentiated spatial strategies of Korean auto FDI firms could be possible due to the introduction of modulization production,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 and just-in-sequence(JIS) auto parts supply system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strategies for the differentiated production space of DYK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networks through investigating their locational patterns of final assembling auto factories, module firms and auto parts suppliers in China.
      번역하기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China was mainly focused on labor intensive industries such as clothing and textile industries until the late 1990s, but since the mid-2000s it has changed its main sectors into capital and technology intensive...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China was mainly focused on labor intensive industries such as clothing and textile industries until the late 1990s, but since the mid-2000s it has changed its main sectors into capital and technology intensive industries such as high-tech electronics, chemical, and auto industries. In particular, along with the emergence of China as the world largest consumer of car after the mid- 2000s, i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n. The production space of Korean auto FDI firms in China could be divided into two areas formed by Hyundai auto group and Kia auto group respectively. The production area formed by the former could be divided into two; 1) Beijing area in which Beijing Hyundai Motor Company(BHMC) as final assembling factories and Korean auto parts suppliers are agglomerated, and 2) Shandong area in which module firms as Hyundai subsidiaries and related Korean auto parts suppliers are concentrated. The area formed by the latter could be divided into three; 1) Jiangsu area in which Dongfeng Yueda Kia(DYK) as final assembling factories and Korean auto parts suppliers are agglomerated, 2) Shandong area in which module and platform are shared with BHMC, and 3) Shanghai area in which Korean auto suppliers which has weak linkages with DYK are concentrated. It is likely to be that differentiated spatial strategies of Korean auto FDI firms could be possible due to the introduction of modulization production,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 and just-in-sequence(JIS) auto parts supply system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strategies for the differentiated production space of DYK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networks through investigating their locational patterns of final assembling auto factories, module firms and auto parts suppliers in Chi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까지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전자부품, 의복, 섬유제품 등과 같은 노동 집약형 저부가 제품이 중심이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자동차, 화학제품 등과 같은 기술 집약형 고부가 제품 위주로 투자 업종이 변화했다. 특히, 2000 년대 중반 이후 중국이 세계 최대의 자동차 소비국으로 부상하면서 한국 자동차 산업의 대중국 투자는 급격히 증가했다. 한국의 대중국 자동차 투자는 현대자동차 그룹의 생산권과 기아자동차 그룹의 생산권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대자동차 그룹의 중국 생산권은 북경현대자동차(Beijing Hyundai Motor Company: BHMC)의 최종 조립 생산 공장과 관련 한국 부품업체가 집적한 베이징권과 현대자동차 계열의 모듈업체와 관련 한국 부품업체가 집적한 산동권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기아자동차 그룹의 중국 생산권은 동펑웨다기아(Dongfeng Yueda Kia: DYK)의 옌청 최종 조립 생산 공장과 관련 한국 부품업체가 집적한 장쑤권, BHMC와 플랫폼 및 모듈업체를 공유하는 산동권, 옌청의 최종 자동차 조립 생산 공장과 약한 연계를 가지는 한편 외국 및 현지 완성차업체와 강한 연계를 가진 한국 부품업체들이 집적한 상하이권으로 구분되어나타났다. 이와 같이 한국 자동차 대중국 투자 기업의 차별적 공간 전략은 모듈화 생산 방식의 도입과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과 직서열 공급 방식(Just In Sequence: JIS) 기반의 부품 조달 방식에의해 가능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아자동차 그룹을 사례로 완성차 공장, 모듈업체, 부품 공급업체의 대중국 입지 분석을 통해 DYK의 생산 공간의 분화 원인을 분석하고, 분화된 생산권별 네트워크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1990년대까지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전자부품, 의복, 섬유제품 등과 같은 노동 집약형 저부가 제품이 중심이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자동차, 화학제품 등과 같은 기술 집약형 고부가 제품 ...

      1990년대까지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전자부품, 의복, 섬유제품 등과 같은 노동 집약형 저부가 제품이 중심이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자동차, 화학제품 등과 같은 기술 집약형 고부가 제품 위주로 투자 업종이 변화했다. 특히, 2000 년대 중반 이후 중국이 세계 최대의 자동차 소비국으로 부상하면서 한국 자동차 산업의 대중국 투자는 급격히 증가했다. 한국의 대중국 자동차 투자는 현대자동차 그룹의 생산권과 기아자동차 그룹의 생산권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대자동차 그룹의 중국 생산권은 북경현대자동차(Beijing Hyundai Motor Company: BHMC)의 최종 조립 생산 공장과 관련 한국 부품업체가 집적한 베이징권과 현대자동차 계열의 모듈업체와 관련 한국 부품업체가 집적한 산동권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기아자동차 그룹의 중국 생산권은 동펑웨다기아(Dongfeng Yueda Kia: DYK)의 옌청 최종 조립 생산 공장과 관련 한국 부품업체가 집적한 장쑤권, BHMC와 플랫폼 및 모듈업체를 공유하는 산동권, 옌청의 최종 자동차 조립 생산 공장과 약한 연계를 가지는 한편 외국 및 현지 완성차업체와 강한 연계를 가진 한국 부품업체들이 집적한 상하이권으로 구분되어나타났다. 이와 같이 한국 자동차 대중국 투자 기업의 차별적 공간 전략은 모듈화 생산 방식의 도입과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과 직서열 공급 방식(Just In Sequence: JIS) 기반의 부품 조달 방식에의해 가능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아자동차 그룹을 사례로 완성차 공장, 모듈업체, 부품 공급업체의 대중국 입지 분석을 통해 DYK의 생산 공간의 분화 원인을 분석하고, 분화된 생산권별 네트워크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기, "현대자동차의 대중국 시장 현지화 전략" 9 (9): 199-232, 2005

      2 김영국, "현대자동차 플랫폼 전략 분석 : 제품기반 및 생태계기반 플랫폼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3

      3 홍장표, "지억기업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과 기술혁신: 혁신클러스터론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회경제학회 (26) : 323-357, 2006

      4 황재한, "중국의 외국인투자 정책 변화와 대응전략" 한국동북아경제학회 18 (18): 23-59, 2006

      5 박인성, "중국의 신균형발전전략에 관한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 18 (18): 109-126, 2006

      6 은종학, "중국의 기술추격전략 변화: 배경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

      7 정환우, "중국 자동차산업 발전의 정치경제: ‘상하이폭스바겐’을 통해 본 정부주도하의 외자도입과 산업발전" 국제학연구소 13 (13): 69-94, 2004

      8 최병헌, "중국 자동차산업 기술개발 현황 분석" 2006

      9 모세준, "중국 자동차 산업 및 중국 진출 국내업체의 성장성 분석"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09

      10 김미성, "제도적 변화와 해외직접투자: 대 중국 한국 섬유·의류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사례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663-673, 2009

      1 이동기, "현대자동차의 대중국 시장 현지화 전략" 9 (9): 199-232, 2005

      2 김영국, "현대자동차 플랫폼 전략 분석 : 제품기반 및 생태계기반 플랫폼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3

      3 홍장표, "지억기업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과 기술혁신: 혁신클러스터론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회경제학회 (26) : 323-357, 2006

      4 황재한, "중국의 외국인투자 정책 변화와 대응전략" 한국동북아경제학회 18 (18): 23-59, 2006

      5 박인성, "중국의 신균형발전전략에 관한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 18 (18): 109-126, 2006

      6 은종학, "중국의 기술추격전략 변화: 배경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

      7 정환우, "중국 자동차산업 발전의 정치경제: ‘상하이폭스바겐’을 통해 본 정부주도하의 외자도입과 산업발전" 국제학연구소 13 (13): 69-94, 2004

      8 최병헌, "중국 자동차산업 기술개발 현황 분석" 2006

      9 모세준, "중국 자동차 산업 및 중국 진출 국내업체의 성장성 분석"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09

      10 김미성, "제도적 변화와 해외직접투자: 대 중국 한국 섬유·의류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사례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663-673, 2009

      11 한능호, "자동차 부품기업의 중국 내 기업네트워크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33 (33): 405-423, 2008

      12 박재우, "자동차 부품 - 중국 로컬 부품기업의 성장과 전망" 2013

      13 곽주영, "부품시장의 전망과 국내자동차부품기업의 중국진출전략" 한국국제통상학회 15 (15): 103-127, 2010

      14 최자영, "대중국 한국 자동차 부품기업의 공간 전략과 입지 특성: 동풍열달기아 완성차 기업의 부품 협력기업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1 (51): 235-253, 2016

      15 김경태, "구매업체로부터 유래되는 공급사슬위험 관리: 북경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 부품업체들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13 (13): 47-74, 2009

      16 아시아투데이, "[릴레이 기업탐방 中염성]현대·기아차 글로벌 핵심기지 ‘동풍열달기아’"

      17 Liu Y., "Strategic coupling of local firms in global production networks-the rise of the home appliance industry in Shunde, China" 54 (54): 444-463, 2013

      18 Liu, W., "China’s Dynamic Industrial Sector : The Automobile Industry" 49 (49): 523-548,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