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지도의 기복 재현을 위한 색채 배열 원리와 대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05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principles and alternative of hypsometric tints for representing relief in small scale maps such as world maps and world atlases. For this, the paper examines the definition, cartographical history, types and limitations of hypsometric tints and analyzes the hypsometric tints of two world maps and three world atlases using the concept of color differenc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distinguish adjacent colors in a color scheme of some cases and the continuity of the terrain is lost by using violet or white to represent the highest elevation. Based on these observations, four principles are suggested; 1) using spectrum color schemes in order to improve the judgment of absolute as well as relative height, 2) considering the tradition of a society, 3) simultaneously maintaining the distinction of adjacent colors and the contiguity of the terrain, and 4) constructing light color schemes in light of adding an application of shaded relief. Then, an alternative hypsometric tint for world maps abiding by the suggested principles is provi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principles and alternative of hypsometric tints for representing relief in small scale maps such as world maps and world atlases. For this, the paper examines the definition, cartographical history, typ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principles and alternative of hypsometric tints for representing relief in small scale maps such as world maps and world atlases. For this, the paper examines the definition, cartographical history, types and limitations of hypsometric tints and analyzes the hypsometric tints of two world maps and three world atlases using the concept of color differenc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distinguish adjacent colors in a color scheme of some cases and the continuity of the terrain is lost by using violet or white to represent the highest elevation. Based on these observations, four principles are suggested; 1) using spectrum color schemes in order to improve the judgment of absolute as well as relative height, 2) considering the tradition of a society, 3) simultaneously maintaining the distinction of adjacent colors and the contiguity of the terrain, and 4) constructing light color schemes in light of adding an application of shaded relief. Then, an alternative hypsometric tint for world maps abiding by the suggested principles is provi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지도와 아틀라스와 같은 소축척 일반도 제작에 있어 색채 배열의 원리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축척 지도에서 기복 재현을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채단식(hypsometric tinting)의 개념, 역사, 유형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주요 세계지도 및 지도집의 색채 구성을 색차 개념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인접 급간 사이의 색차가 너무 작아 색을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었고, 높은 고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보라 계통이나 하양을 사용한 경우 기복 인식에서의 연속성이 떨어졌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첫째, 절대 및 상대 고도 파악을 위한 단계적 스펙트럼 색채 배열, 지도 사용자에게 친숙한 색채 구성, 색의 구분과 연속성을 확보하는 색채 배열, 음영을 고려한 밝은 색채 구성 등 네 가지 색채 배열 원리를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안적인 색채 배열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지도와 아틀라스와 같은 소축척 일반도 제작에 있어 색채 배열의 원리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축척 지도에서 기복 재현을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지도와 아틀라스와 같은 소축척 일반도 제작에 있어 색채 배열의 원리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축척 지도에서 기복 재현을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채단식(hypsometric tinting)의 개념, 역사, 유형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주요 세계지도 및 지도집의 색채 구성을 색차 개념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인접 급간 사이의 색차가 너무 작아 색을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었고, 높은 고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보라 계통이나 하양을 사용한 경우 기복 인식에서의 연속성이 떨어졌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첫째, 절대 및 상대 고도 파악을 위한 단계적 스펙트럼 색채 배열, 지도 사용자에게 친숙한 색채 구성, 색의 구분과 연속성을 확보하는 색채 배열, 음영을 고려한 밝은 색채 구성 등 네 가지 색채 배열 원리를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안적인 색채 배열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채단식 기복 재현의 개념, 역사, 유형 및 문제점
      • III. 주요 세계 지도 및 지도집의 색채 구성 분석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채단식 기복 재현의 개념, 역사, 유형 및 문제점
      • III. 주요 세계 지도 및 지도집의 색채 구성 분석
      • IV. 세계지도 기복 재현을 위한 색채 구성 원리 및 대안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주현, "효과적인 지도 제작을 위한 색채활용에 관한 연구" 7 (7): 283-306, 1999

      2 "표준색이름디지털팔레트"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사회과부도" 두산동아 2010

      4 윤경철, "지도학개론" 진샘미디어 2008

      5 이희연, "지도학: 주제도 제작의 원리와 기법" 법문사 2007

      6 한균형, "지도학 원론" 민음사 2000

      7 정인철, "지도제작에서의 색채대비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도학회 11 (11): 1-11, 2011

      8 신휴석, "지도의 웹접근성에 대한 논의" 55-66, 2011

      9 김영성, "중학교사회과부도" 삼화출판사 2010

      10 김주환, "중학교 사회과부도" 중앙books 2010

      1 류주현, "효과적인 지도 제작을 위한 색채활용에 관한 연구" 7 (7): 283-306, 1999

      2 "표준색이름디지털팔레트"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사회과부도" 두산동아 2010

      4 윤경철, "지도학개론" 진샘미디어 2008

      5 이희연, "지도학: 주제도 제작의 원리와 기법" 법문사 2007

      6 한균형, "지도학 원론" 민음사 2000

      7 정인철, "지도제작에서의 색채대비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도학회 11 (11): 1-11, 2011

      8 신휴석, "지도의 웹접근성에 대한 논의" 55-66, 2011

      9 김영성, "중학교사회과부도" 삼화출판사 2010

      10 김주환, "중학교 사회과부도" 중앙books 2010

      11 심승희, "중학교 사회과부도" (주)천재교육 2010

      12 심승희, "중학교 사회과부도" (주)천재교육 2010

      13 강대균, "중학교 사회과부도" 동아지도 2010

      14 최성길, "중학교 사회과부도" 지우사 2010

      15 이정록, "중학교 사회과 부도" 도서출판 성지문화사 2010

      16 이상일, "세계지도 및 대한민국 주변도 구축연구 및 제작사업"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1

      17 국토지리정보원, "세계지도" 국토지리정보원 2010

      18 문은배, "색채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1

      19 조현정, "단계구분도의 색채배열에 관한 연구" 36 : 125-151, 2000

      20 황철수, "단계구분도의 색채배열에 관한 연구" 2 : 63-70, 2002

      21 김재한, "고등학교지리부도" 법문사 2002

      22 조창연, "고등학교지리부도" 지우사 2002

      23 박영한, "고등학교 지리부도" 성지문화사 2002

      24 형기주, "고등학교 지리부도" 보진재 2002

      25 "USGS Earth Resources Observation and Science (EROS) Center"

      26 Slocum, T.A., "Thematic Cartography and Geovisualization, 3rd edition" Pearson Prentice Hall 2009

      27 Collier, P., "The representation of topographic information on maps: The depiction of relief" 40 (40): 17-26, 2003

      28 Patton, J.C., "The perception of hypsometric colours" 14 (14): 115-127, 1977

      29 Patterson, T., "The development and rationale of cross-blended hypsometric tints" 69 : 31-46, 2011

      30 United Sates Government, "The World Series 1145" USGS 1998

      31 "The Royal Collection"

      32 Phillips, R.J., "Some objective tests of the legibility of relief maps" 12 (12): 39-46, 1975

      33 Kempf, R.P., "Some effects of layer tinting on maps" 29 : 279-281, 1969

      34 Castner, H., "Re-assessing the role played by shaded relief in topographic scale maps" 16 (16): 77-85, 1979

      35 Phillip’s, "Oxford Atlas of the World, 7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6 Wiegand, P., "Learning and Teaching with Maps" Routledge 2006

      37 "Intergovernmental Committee on Surveying & Mapping"

      38 Vergin, H., "Goode’s World Atlas, 21st edition" Rand McNally & Company 2005

      39 Foncin, M., "Dupin Triel and the first use of contours" 127 (127): 553-554, 1961

      40 Eley, M.G., "Colour-laying and the performance of the topographic map user" 30 (30): 655-663, 1987

      41 Harper Collins Publishers, "Collins World Atlas- Complete edition" Harper Collins Publishers 2008

      42 Dent, B.D., "Cartography: Thematic Map Design, 6th edition" McGraw-Hill 2008

      43 Imhof, E., "Cartographic Relief Presentation" de Gruyter 1982

      44 Leonowicz, A.M., "Automatic generation of hypsometric layers for small-scale maps" 35 (35): 2074-2083, 2009

      45 Phillips, R.J.,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layer tints for relief maps in school atlases" 25 (25): 1143-1154, 1982

      46 Potash, L.M., "A technique for assessing map relief legibility" 15 (15): 28-35, 1978

      47 최영은, "1981~2010년 한국기후도 작성을 위한 범례 지정에 대한 연구" 한국지도학회 11 (11): 105-112, 2011

      48 신휴석, "(A)study on map color schemes for people with color vision deficiency"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1 0.9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