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근린생활시설의 내외부 공간의 우선순위와 중요도-만족도를 POE를 이용하여, 개선 및 유지 항목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2023년 취합한 1,001건의 응답 데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1103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9-149(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근린생활시설의 내외부 공간의 우선순위와 중요도-만족도를 POE를 이용하여, 개선 및 유지 항목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2023년 취합한 1,001건의 응답 데이...
본 연구는 근린생활시설의 내외부 공간의 우선순위와 중요도-만족도를 POE를 이용하여, 개선 및 유지 항목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2023년 취합한 1,001건의 응답 데이터와 2024년 취합한 대지 요인별 정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간별 만족도 평균 상위 30%인 302건의 응답을 선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1)근린생활시설의 공간별 만족도는 부정형을 제외한 형상에서, 대지면적은 1,000㎡ 이상에서, 접도 수는 적을수록, 최대 접도 폭은 소로로 하고, 일방통행일 때 상대적으로 더 높게 판단된다. 2)대지 형상 및 면적, 접도 수 및 폭, 통행방식에 따라 공간별 만족도 중항목의 중요도 순위와 우선집중 영역이 다르게 도출되었다. 3)현행화가 가능한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대지요인과 건축물에 대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건축물 설계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도구가 가능함을 의미하며, 보편적인 계획방법이 정립되지 않은 근린생활시설의 경우에는 필요한 것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 만족도를 기반으로 건축설계 초기에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도구로서 온라인 플랫폼의 가능성과 구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에 있다. 건축물의 존속기간과 평가, 임차 프로그램의 유지 기간의 개선을 꾀할 수 있고, 건축가의 역할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ategories for improvement and maintenance in neighborhood facilities by examining prior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both indoor and outdoor spaces using POE. To achieve this, we analyz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ategories for improvement and maintenance in neighborhood facilities by examining prior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both indoor and outdoor spaces using POE. To achieve this, we analyzed 302 responses (top 30% in terms of average space satisfaction) selected from 1,001 responses collected between 2022 and 2023, along with quantitative data related to site elements collected in 2024. First, through frequency analysis, spatial satisfaction in neighborhood facilities was higher in shapes other than irregular shapes, in sites with an area of 1,000㎡ or more, with fewer number of roads adjoining the site, when adjacent to a small road(So-ro) with the maximum road width, and when it is one-way traffic. Second, The rank of importance and the "Concentrate Here" areas for spatial satisfaction categories differ depending on the site shape, site area, number and width of adjoining roads, and traffic way patterns. Third, it implies the possibility of a decision-making tool necessary for building design by reflecting site elements and design requirements going with user satisfaction on an online platform that can be updated. It also shows the necessity for neighborhood facilities, for which a general methodology for design has no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is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possibility and concreteness of an online platform that can be used as a tool to support decision-making in the early stages of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user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o be differentiated in that it can improve the lifespan and evaluation of buildings and the maintenance period of rental programs, and respects the role of architects.
대구시 대규모 택지개발조성사업지구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의 효과 분석 - 목원동 선도지역을 사례로 -
제주형 도심항공교통(J-UAM) 버티포트(Vertiport) 입지요인 분석 연구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작업 유능감과 안전교육의 인식이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