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등 체육교사 연수 운영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적이고 효율적인 중등 체육교사 연수의 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등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 체육교사 연수 운영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적이고 효율적인 중등 체육교사 연수의 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등 ...
본 연구는 중등 체육교사 연수 운영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적이고 효율적인 중등 체육교사 연수의 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등 체육교사 연수 운영과 참여에 많은 경험을 가진 연구 참여자 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수 운영 사례로 첫째, 체육교사의 의지와 동기 부여에 의한 자율 연수는 시대적, 상황적 전문성 함양을 위한 자율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체육교사의 직무 수행 중심의 직무 연수는 주관 중심의 교육 철학이 반영된 트렌드 중심의 실제성 있는 연수가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상위 자격 취득을 위한 자격 연수는 저경력 교사들의 교육 철학 세우기를 중심으로 체육 교육의 내용과 방법적인 측면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었다.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체육교사 역량 강화의 지속성 및 연속성을 위한 연수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연수 계획 및 운영 시 연수 참여자들의 이해와 설문을 바탕으로 하는 수요자 중심 연수 제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체육 교육의 특징인 이론과 실천의 연계성을 가진 교육 내용과 방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연수 운영과 평가의 순환적인 통합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and analyze in depth the cases of training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and to present proper measure for improvement in order to suggest an educational and efficient framework for such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and analyze in depth the cases of training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and to present proper measure for improvement in order to suggest an educational and efficient framework for such training. For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participants who had extensive experience in operating and participating in training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From the analysis, there were several findings. First, autonomous training led by the motivation and willingness of physical teachers were based on autonomy, aimed at cultivating the expertise in line with the demands and needs of the times and situations. Second, as for job-focused training for physical teachers, there were operated upon a practical approach, which considered both recent trends and educational philosophies. Third, for training for qualification, aimed for higher-level qualifications, focused on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hilosophies while presenting diversity in the content and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to help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early teaching years. For measures of improvement,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First, there should be a platform to ensure the continuity and sustainability of training, which are essential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re should be efforts to consider the understanding and questionnaire of participants when planning and conducting training programs. Third, there should be efforts to suggest how to integrate physical education theories with practice, which are essential for physical education, in teaching. Fourth, there should be the governance structure for integrated and cyclical management for both the operation and evaluation of training programs.
성별과 중-고강도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중학교-고등학교 전환기 좌식활동과 신체활동 특성 분석
학생선수의 열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스포츠 지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