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외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 동향분석(2018∼2022) =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on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2018~202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57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중복장애와 관련된 최근 연구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고, 시각중복장애 연구 분야에서의 향후 시각중복장...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중복장애와 관련된 최근 연구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고, 시각중복장애 연구 분야에서의 향후 시각중복장애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이루어진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 62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학술지 및 발행 연도, 연구 방법, 연구 주제, 시각중복장애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각중복장애와 관련된 논문을 가장 많이 게재한 학술지는 JVIB와 BJVI였으며, 최근 5년간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연구가 22편(35.5%)으로 가장 많았으며, 조사연구 16편(25.8%), 문헌연구 13편(21.0%)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주제로는 의사소통 및 문해가 10편(16.1%)으로 가장 많았으며, 실태조사 연구 9편(14.5%), 교사 관련 연구 8편(12.9%)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각청각장애 연구참여자가 2,224명(52.5%)으로 가장 많았으며, 시각청각장애와 지적장애가 있는 연구참여자가 984명(23.2%)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by systematically gathering and analyzing recent publications from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academic journals. I...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by systematically gathering and analyzing recent publications from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academic journals. Its primary objective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support future research endeavors in the field of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62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conducted from 2018 to 2022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criteria: publication and year,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topics, and additional types of disabilities other than visual impairment to assess research trends.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journals that published the most papers were JVIB and BJVI, and research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over the past 5 year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22 papers(35.5%), survey studies for 16 papers (25.8%). Third, the most common research themes were communication and literacy with 10 papers(16.1%), followed by prevalence studies and teacher-related studies with 9 papers(14.5%). Fourth, participants with deafblind were the most common, totaling 2,224 individuals(52.5%), followed by participants with deafblind along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taling 984 individuals(23.2%).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