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2잡가 형장가 연구 = 20세기 초와 현행 형장가의 시대적 변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05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2잡가>중 한곡인 ‘형장가(刑杖歌)’를 연구하였다. ‘20세기 초 ‘형장가’’와 ‘현행 ‘형장가’’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사설과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 등을...

      본 논문은 <12잡가>중 한곡인 ‘형장가(刑杖歌)’를 연구하였다. ‘20세기 초 ‘형장가’’와 ‘현행 ‘형장가’’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사설과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12잡가>의 출현은 19세기부터지만 <12잡가> 12곡이 모두 완성된 것은 20세기 중반이며 ‘형장가’ 는 20세기 초에 나타난다. ‘형장가’의 연구를 위해 20세기 초 <12잡가> 사설을 수록한 『한국속가전집』, 20세기 초?중반의 <12잡가> 사설과 악보를 수록한 『?잡가악보집』?, 현행 <12잡가> 사설과 악보를 수록한 『경기12잡가』가 연구 자료로 사용 되었다.
      II장에서 ‘형장가’ 사설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형장가’ 사설의 내용 변화는 1번 나타난다. 내용 변화의 양상은 ‘가사의 첨삭’과 ‘내용의 순서 변화’이다. 사설의 어휘 차이 양상은 다섯 군데로 ‘고어의 현대어 교체, 종결어미의 교체, 연결어미의 교체, 감탄사의 교체, 어미의 교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형장가’ 어휘 차이의 뚜렷한 규칙성은 없으며, 다만 『?한국속가전집』?의 고어(古語) 표기가 『?잡가악보집』?, 『?경기12잡가』?에서는 현대어 표기로 바뀐 것이 특징이다. 사설의 내용 변화와 어휘 차이의 양상을 분석해 볼 때, 『?한국속가전집』?에서 『잡가악보집』, 『경기12잡가』에 이르기까지 ‘형장가’ 사설의 어휘 차이는 거의 없으며 『?한국속가전집』?에는 없던 사설이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에 나타난다. ‘가사의 첨삭’으로 내용상으로는 판소리 <춘향가>의 한부분이지만 독립된 곡으로써 <12잡가> ‘형장가’의 완성도를 높였다.
      III장에서 ‘형장가’의 장단과 말붙임을 살펴보았다. ‘형장가’에 나타나는 장단은 모두 두 종류로 사용하는 장단은 ‘느린6박장단’, ‘빠른6박장단’이다.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에 수록된 ‘형장가’ 장단의 종류와 전체 장단수는 같다. 그러므로 ‘형장가’는 장단에 있어서 변화가 없다. 다음으로 ‘형장가’의 말붙임과 말붙임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형장가’에 나타나는 말붙임 유형은 ???, ??? 두 종류이다. ‘형장가’ 각 장단의 첫 박에는 주로 ??? 유형이 나타났다. ‘형장가’는 주로 첫 박과 넷째 박에 말붙임이 있다. 첫 박과 넷째 박은 모두 북편에 해당하므로 ‘형장가’의 말붙임은 북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형장가’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의 영향을 받은 노래임을 알 수 있다.
      IV장에서 ‘형장가’의 악곡구분 및 출현음과 종지음을 살펴보았다. ‘형장가’는 유절형식의 후렴구가 없는 곡이다.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형장가’의 출현음은 ‘G<SUB>3</SUB>, A<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A<SUB>4</SUB>’의 6음으로 두 가집의 출현음은 같았다. 출현음의 음정은 ‘장2도+완전4도+단3도+장2도+장2도’이다. 중심음은 ‘D<SUB>4</SUB>’이며 종지음은 ‘G<SUB>3</SUB>’로 하행종지 하였다. 두 가집의 출현음, 주요음, 중심음은 모두 같다. ‘형장가’의 주요음은 ‘G<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이다. 주요음의 음정은 ‘완전5도+단3도+장2도’로 진행하며 음간의 도약이 있어 ‘형장가’는 <12잡가>중 다이나믹한 선율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형장가’는 서정적인 선율과 변화 있는 장단으로 엮은 <12잡가>로 시대적으로 살펴보면 사설의 변화가 나타났고 장단, 출현음, 중심음, 종지음의 변화는 없었다. ‘형장가’ 곡 안에서의 장단은 ‘느린6박장단’에서 ‘빠른6박장단’으로 변화했으며 출현음과 종지음의 변화는 없었다. ‘형장가’는 판소리 <춘향가>중 한 대목을 확대하여 인생의 희노애락(喜怒哀樂)과 애증(愛憎)의 감정을 장단의 변화로 표현한 절제된 <12잡가>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yeogjangga(刑杖歌, Song at the Execution Ground)’, a piece of music among <Twelve Japga(十二雜歌)>.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in narration and music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

      This study examined ‘Hyeogjangga(刑杖歌, Song at the Execution Ground)’, a piece of music among <Twelve Japga(十二雜歌)>.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in narration and music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by comparing the early 20th century ‘Hyeogjangga’ and ‘current Hyeogjangga’. <Twelve Japga> started from the 19th century but 12 songs of <Twelve Japga> were completed in the middle 20th century, and ‘Hyeogjangga’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e analysis of ‘Hyeogjangga’, this study used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with the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Twelve Japga> narration and music and 『Gyeonggi Twelve Japga(京畿十二雜歌)』 ?with current <Twelve Japga> narration and music.
      In chapter II,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of ‘Hyeogjangga’ narration. The changes in ‘Hyeogjangga’ narration are seen once. The aspect of the changes is ‘addition and deletion of lyrics’ and ‘changes of order of content’. The aspect of vocabulary changes of narration is diversely seen as five types such as replacement of archaic word by modern language, replacement of sentence endings, replacement of connective endings, replacement of interjection, and replacement of endings. There is no certain regularity of differences in ‘Hyeogjangga’ vocabularies but archaic word of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has been changed to modern language in ?『Book of Japga(雜歌樂譜集)』 ?and 『Gyeonggi Twelve Japg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anges in contents of narration and differences of vocabularies, the changes of ‘Hyeogjangga’ narration are rarely seen.
      In chapter III, this study looked into rhythm and malbuchim of ‘Hyeogjangga’. Rhythms in ‘Hyeogjangga’ are two types of ‘slow 6-beat rhythm’ and ’fast 6-beat rhythm’. The type and the number of rhythms of ‘Hyeogjangga’ included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are same. Therefore, there is no change in the rhythm of ‘Hyeogjangga’. Next, this study examined types of malbuchim of ‘Hyeogjangga’ and the types of malbuchim. The types of malbuchim in ‘Hyeogjangga’ are two ???, ???. The first beat of each rhythm in ‘Hyeogjangga’ is mostly ???. The first and the fourth beats of ‘Hyeogjangga’ are mostly malbuchim. The first and the fourth beats occur at bukpyeon so malbuchim of ‘Hyeogjangga’ is in the bukpyeon. Based on this fact, we know that ‘Hyeogjangga’ is affected by the Eodan-seongjang(語短聲長).
      In chapter IV, this study looked into the movements of music,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nd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of ‘Hyeogjangga’. ‘Hyeogjangga’ has no stanzaic form of chorus. The tone of appearance of ‘Hyeogjangga’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is six sounds of ‘G<SUB>3</SUB>, A<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A<SUB>4</SUB>’, and they are same as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of the two music books. The tunes of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re ‘Major 2nd + Perfected 4th + Minor 3rd + Major 2nd + Major 2nd’. The tone of core(中心音) is ‘D<SUB>4</SUB>’ and the tone of cadence (終止音) of down cadence(下行終止) occurred as ‘G<SUB>3</SUB>’. These two music books show the sam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and the tone of core(中心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of ‘Hyeogjangga’ are ‘G<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The tune of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is conducted as ‘Perfected 5th + Minor 3rd + Major 2nd’ and there is a jump between sounds so ‘Hyeogjangga’ out of <Twelve Japga> shows a very dynamic melody.
      ‘Hyeogjangga’ is <Twelve Japga> with lyrical melodies and dynamic beats and shows narration changes by times but there is no change in beats,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core(中心音), and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The b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형장가의 사설
      • III. 형장가의 장단과 말붙임
      • IV. 형장가의 악곡구분 및 출현음과 종지음
      • 국문초록
      • I. 서론
      • II. 형장가의 사설
      • III. 형장가의 장단과 말붙임
      • IV. 형장가의 악곡구분 및 출현음과 종지음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