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크기 및 저장 온도에 따른 건조 멸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anchovies in the different sizes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31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조 멸치의 효율적인 저장과 유통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건조멸치를 크기별로 대(대멸), 중(중멸), 소(소멸)별로 나누어 5℃와 25℃에서는 180일간, 40℃의 온도에서는 90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5℃, 25℃, 40℃의 온도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의 색도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대멸의 갈변화가 중멸과 소멸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다. 반면 5℃에 저장된 건조 멸치의 색도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경도의 변화에 있어서 대멸은 중멸과 소멸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가 급격하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와 휘발성염기질소는 5℃에서 대멸, 중멸, 소멸은 식품공전의 수산물안전기준인 30 meq/kg과 30 mg/100 g을 넘지 않았으므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40℃에서 저장된 대멸의 과산화물가와 휘발성염기질소는 저장 기간 70일이, 25℃에서는 120일이 지나자 초기부패수준인 반면에 중멸과 소멸은 초기부패수준까지는 아니었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는 5℃와 25℃에 저장된 대멸, 중멸, 소멸은 저장 동안 변화의 차이가 적었지만 40℃에서 저장된 대멸의 증가가 급격하게 일어남으로써 산패가 빠르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에서는 모든 온도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에서 불포화지방산인 DHA와 EPA가 감소되었으며 특히, 40℃에서 감소가 급격하게 나타났다.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의 변화에서는 tyramine, putresine, cadaverine, histamine 함량 모두 증가되었지만 미비한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모든 온도에서 FDA 가이드라인인 50 ppm을 넘지 않았다. 미생물학적 변화에 있어서 5℃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 모두 105 log CFU/mL을 넘지 않았으며, 25℃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의 총세균수는 저장 말기에 106 log CFU/mL을 초과하였고 40℃에서 저장된 대멸의 효모 및 곰팡이는 107 log CFU/mL을 초과하였다. 모든 온도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는 5℃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는 검사 항목 모두 선호도가 높았으며 25℃에서 저장된 대멸은 저장 180일째에 중멸과 소멸보다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40℃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는 대멸의 경우 갈변, 산패취 및 외관은 급격하게 감소되어 낮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40℃에서 저장 된 대멸은 중멸과 소멸보다 지질산화가 더 빨랐고, 소멸과 중멸은 총세균수가 대멸보다 더 높게 검출되었으며 반면에 대멸은 중멸과 소멸보다 효모 및 곰팡이가 높게 검출되었다. 40℃에서 90일 저장된 건조 멸치는 산패취와 갈변이 일어나 관능적 품질에도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낮은 온도에서의 저장은 지질산화방지 및 효모 및 곰팡이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였고, 아울러 관능적 품질도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품질유지에 중요한 요소이며, 건조멸치의 크기가 클수록 더 낮은 온도에서 저장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건조 멸치의 효율적인 저장과 유통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건조멸치를 크기별로 대(대멸), 중(중멸), 소(소멸)별로 나누어 5℃와 25℃에서는 180일간, 40℃의 온도에서는 90일간 저장하면서 이...

      건조 멸치의 효율적인 저장과 유통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건조멸치를 크기별로 대(대멸), 중(중멸), 소(소멸)별로 나누어 5℃와 25℃에서는 180일간, 40℃의 온도에서는 90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5℃, 25℃, 40℃의 온도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의 색도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대멸의 갈변화가 중멸과 소멸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다. 반면 5℃에 저장된 건조 멸치의 색도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경도의 변화에 있어서 대멸은 중멸과 소멸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가 급격하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와 휘발성염기질소는 5℃에서 대멸, 중멸, 소멸은 식품공전의 수산물안전기준인 30 meq/kg과 30 mg/100 g을 넘지 않았으므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40℃에서 저장된 대멸의 과산화물가와 휘발성염기질소는 저장 기간 70일이, 25℃에서는 120일이 지나자 초기부패수준인 반면에 중멸과 소멸은 초기부패수준까지는 아니었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는 5℃와 25℃에 저장된 대멸, 중멸, 소멸은 저장 동안 변화의 차이가 적었지만 40℃에서 저장된 대멸의 증가가 급격하게 일어남으로써 산패가 빠르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에서는 모든 온도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에서 불포화지방산인 DHA와 EPA가 감소되었으며 특히, 40℃에서 감소가 급격하게 나타났다.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의 변화에서는 tyramine, putresine, cadaverine, histamine 함량 모두 증가되었지만 미비한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모든 온도에서 FDA 가이드라인인 50 ppm을 넘지 않았다. 미생물학적 변화에 있어서 5℃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 모두 105 log CFU/mL을 넘지 않았으며, 25℃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의 총세균수는 저장 말기에 106 log CFU/mL을 초과하였고 40℃에서 저장된 대멸의 효모 및 곰팡이는 107 log CFU/mL을 초과하였다. 모든 온도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는 5℃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는 검사 항목 모두 선호도가 높았으며 25℃에서 저장된 대멸은 저장 180일째에 중멸과 소멸보다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40℃에서 저장된 건조 멸치는 대멸의 경우 갈변, 산패취 및 외관은 급격하게 감소되어 낮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40℃에서 저장 된 대멸은 중멸과 소멸보다 지질산화가 더 빨랐고, 소멸과 중멸은 총세균수가 대멸보다 더 높게 검출되었으며 반면에 대멸은 중멸과 소멸보다 효모 및 곰팡이가 높게 검출되었다. 40℃에서 90일 저장된 건조 멸치는 산패취와 갈변이 일어나 관능적 품질에도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낮은 온도에서의 저장은 지질산화방지 및 효모 및 곰팡이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였고, 아울러 관능적 품질도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품질유지에 중요한 요소이며, 건조멸치의 크기가 클수록 더 낮은 온도에서 저장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Ⅰ. 서론 3
      • Ⅱ. 크기가 다른 건조 멸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6
      • 1. 서론 6
      • 2. 재료 7
      • 국문초록 1
      • Ⅰ. 서론 3
      • Ⅱ. 크기가 다른 건조 멸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6
      • 1. 서론 6
      • 2. 재료 7
      • 3. 실험 방법 7
      • 가. 일반성분 7
      • 나. 색도 9
      • 다. 과산화물가 9
      • 라.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9
      • 마. 휘발성염기질소 9
      • 바. 미생물학적 특성 10
      • 사. 통계분석 10
      • 4. 결과 및 고찰 11
      • 가. 일반성분 11
      • 나. 색도 13
      • 다. 과산화물가 13
      • 라.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15
      • 마. 휘발성염기질소 18
      • 바. 미생물학적 특성 18
      • 5. 요약 및 결론 22
      • Ⅲ. 건조 멸치의 크기 및 저장 온도가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23
      • 1. 서론 23
      • 2. 재료 25
      • 3. 실험 방법 25
      • 가. 색도 25
      • 나. 경도 25
      • 다. 과산화물가 25
      • 라.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26
      • 마. 휘발성염기질소 26
      • 바. 지방산 조성 26
      • 사. 바이오제닉 아민 정량 27
      • 아. 미생물 검사 27
      • 자. 관능검사 28
      • 차. 통계분석 28
      • 4. 결과 및 고찰 29
      • 가. 저장기간 중 색도 변화 29
      • 나. 저장기간 중 경도 변화 30
      • 다. 저장기간 중 과산화물가 변화 34
      • 라. 저장기간 중 TBARS 변화 40
      • 마. 저장기간 중 휘발성염기질소 변화 44
      • 바. 저장기간 중 지방산 조성 변화 48
      • 사. 저장기간 중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 변화 51
      • 아. 저장기간 중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59
      • 자. 저장기간 중 관능적 특성 변화 61
      • 5. 요약 및 결론 69
      • Ⅳ. 참고문헌 71
      • 영문초록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