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허정경,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이경님,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 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 과제수행능력 및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1996
3 정은주,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 송혜영, "유아의 정서적·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5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곽혜경, "유아의 기질, 유아가 제공한 통제계기, 어머니의 통제책략과 유아의 자기통제행동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8
7 이혜련, "유아의 개인 및 부모 특성 정서이해와 정서조절,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8 신혜원, "유아기 자기조절능력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9 이양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박순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 허정경,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이경님,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 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 과제수행능력 및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1996
3 정은주,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 송혜영, "유아의 정서적·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5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곽혜경, "유아의 기질, 유아가 제공한 통제계기, 어머니의 통제책략과 유아의 자기통제행동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8
7 이혜련, "유아의 개인 및 부모 특성 정서이해와 정서조절,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8 신혜원, "유아기 자기조절능력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9 이양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박순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김호정,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2 김문신,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3 강기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22 (22): 115-132, 2001
14 강기숙,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인지양식 및 자기통제행동발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15 손경화,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자아회복력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6 이경님,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내외통제소재와 또래 괴롭힘의 관계" 26 : 317-331, 2001
17 하유미, "아동의 性, 초기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아동 의 정서표현: 자부심과 수치심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8 임미옥, "부모의 정서표현 및 자녀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5
19 한영민,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0 Cummings, E. M.,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expression of anger and affection by others in the family" 52 : 1274-1282, 1981
21 Boyum, L. A, "The role of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57 (57): 593-608, 1995
22 Dix, T, "The effective organization of parenting: Adaptive and maladaptive processes" 110 : 3-25, 1991
23 Olson, S. H., "Teacher Ratings of self-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A Japanese/U.S. comparison" 21 : 609-617, 2001
24 Dosser, D. A., Jr, "Situational contex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30 : 375-387, 1983
25 Kendal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al of a rating scale" 47 : 1020-1029, 1979
26 Perry, N. E, "Promoting nonviolent behavior in children" 16 (16): 26-29, 2001
27 Garner, P. W.,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in the disappointment paradigm and its relation to temperament, emotional knowledge, and family expressiveness" 67 : 1406-1419, 1996
28 Parker J. G.,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102 : 357-389, 1987
29 Markman, H, "Fighting for Your Marriage(Revised and updated edition)" Jossey Bass, Inc 2001
30 Lindsey, E. W, "Father-child play and children's peer relations" 1995
31 Pruett, K. D, "Father need: Why father care is as essential as mother care for your child" Free Press 2000
32 Dunn, J., "Family talk about feeling states and children's later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27 : 448-455, 1991
33 Halberstadt, A. G, "Family expressiveness: A retrospective and new direction for research, In The social context of nonverbal behavi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9-155, 1999
34 Kilpatrick, S. D., "Empathic accuracy and accommodative behavior among newly married couples" 9 (9): 369-393, 2002
35 Cummings, E. M., "Emotional security as a regulatory process in normal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8 (8): 123-139, 1996
36 Notorious, C. I, "Emotional expression in husbands and Wives" 44 (44): 483-489, 1982
37 Gottman, J. M,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25 : 373-381, 1989
38 Eisengerg, N., "Dispositional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heir role in predicting quality of social functioning" 78 : 136-157, 2000
39 Derryberry, D., "Arousal, affect and attention as components of temperament" 55 : 958-966, 1988
40 Silverman I. W., "A shot-term longitudinal study of the early development self-regulation" 20 : 415-435, 1992
41 양옥승,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61-18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