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숲 이용 및 관리방안에 필요한 식생구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괴화산을 대상으로 상관우점종 및 종조성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2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09236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1-65(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숲 이용 및 관리방안에 필요한 식생구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괴화산을 대상으로 상관우점종 및 종조성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2개...
본 연구는 도시숲 이용 및 관리방안에 필요한 식생구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괴화산을 대상으로 상관우점종 및 종조성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2개의 군락군(졸참나무-생강나무군락군과 큰금계국군락군)으로 대별되었다. 졸참나무-생강나무군락군은 인공림과 천연림 식생을 포함하고 있는데, 인공림은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천연림은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6개 단위로, 큰금계국군락군은 임연부의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큰낭아초군락, 싸리군락, 족제비싸리군락, 비수리군락의 4개 단위로 각각 분류되어 총 10개의 식생단위 체계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결과 전체 종에서 밤나무가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리기다소나무 6.4%, 아까시나무 6.3% 순으로 나타나 괴화산은 인공조림 수종의 생태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유사도에서 인공림과 천연림은 서로 간 종 구성이 동질적이나 임연부와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DCA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났다. CCA분석 결과, 인공림과 천연림은 해발고도, 암석노출도, 출현종수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임연부와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yto-sociological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 forest stand at Mt. Goehwa in Sejong-Si with the aim of providing vegetation information for urban forest utilization and management plans. The actual forest ve...
Phyto-sociological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 forest stand at Mt. Goehwa in Sejong-Si with the aim of providing vegetation information for urban forest utilization and management plans. The actual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community groups (Quercus serrata-Lindera obtusiloba and Coreopsis lanceolata community groups) at the highest hierarchical level. The Q. serrata-L. obtusiloba community group was classified into six units, which included artificial forest and natural forest vegetation. Artificial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mmunities (Pinus rigida, Castanea crenata, and Robinia pseudoacacia), whereas natural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mmunities (Quercus variabilis, Quercus acutissimaa, and Pinus densiflora). The Coreopsis lanceolata community group, which exhibited vegetativ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 edge areas, was categorized into four units. The urban forest edg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ies (Indigofera bungeana, Lespedeza bicolor, Amorpha fruticosa, and Lespedeza cuneata). Accordingly,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t. Goehwa was categorized into 10 vegetation unit systems. An importance value analysis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for C. crenata at 6.7%, followed by P. rigida at 6.4%, and R. pseudoacacia at 6.3%, indicating that the ecological impact of plantation species can be significant on Mt. Goehwa. A community coefficient of similar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artificial and natural forests had similar species compositions; however, both forests differed from the urban forest edge. This variation was further confirmed by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 with similar results.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showed that the artificial forest and natural forest community typ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titude, bare rock, and the present species. By contrast, the urban forest edge community typ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se factors.
편백림의 임분밀도 관리 기준 탐색을 통한 시업체계 개선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기반 자연적 임분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의 감소 특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