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독교 사회복지에서 평신도의 역할 - 종교개혁시대의 자선기관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13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개혁 직전과 종교개혁시대에 이루어졌던 평신도들의 역할을 통해 작금의 교회들의 문제를 회복 할 수 있는 동기를 주고 기독교사회복지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평신도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종교개혁직전과 당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주된 기독교사회복지 사역을 감당했던 평신도들에게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 당시의 기독교 사회복지사역은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사역들로 요약할 수 있다. 그것은 평신도들로 하여금 종합병원과 프렌치펀드와 같은 자선기관을 설립, 운영하게 한 것이다. 그 당시 종합병원에서의 재정 담당과 관리를 맡은 집사나 프렌치펀드에서의 관리집사와 같은 평신도가 없었다면 사회문제로 인해 칼빈의 기독교사회복지 개혁은 걸림돌에 부딪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제네바 시민들이 종합병원을 창립하면서 지역사회의 가난의 문제를 과감히 해결하고자 했기 때문에 제네바로 온 피난민들이 프렌치펀드 설립에 필요한 돈, 물건, 그리고 시간 등을 기꺼이 내놓았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분위기가 없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칼빈주의 개혁은 여러 나라로 전파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때 제네바에 종교적 박해를 피해서 망명 왔던 수 천 명의 프로테스탄트들이 머무르는 동안 개혁교회와 평신도들을 통해서 기독교사회복지 해택을 받아 그곳에서 받은 칼빈주의를 가지고 자신의 나라로 돌아감으로써 칼빈주의의 개혁사상이 확산되고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교회와 평신도간의 불가분리적 상호관계성이 당면한 사회문제를 개인적인차원에서의 자선의 범위를 넘어 공적인 영역으로 확장시키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피난민들이 제네바 시에 수용 될 수 있었으며 후에 그 피난민들이 고국으로 돌아가서 효과적인 선교사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연구적 함의를 통해서 독자들은 그 당시 교회와 평신도간의 사역적 통일성에 기초하여 보여준 기독교사회복지분야에서의 헌신과 사상에서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고 필자는 기독교사회복지의 중요한주제가 되고 있는 사역의 매체라는 점에서 그 논점을 찾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개혁 직전과 종교개혁시대에 이루어졌던 평신도들의 역할을 통해 작금의 교회들의 문제를 회복 할 수 있는 동기를 주고 기독교사회복지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평...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개혁 직전과 종교개혁시대에 이루어졌던 평신도들의 역할을 통해 작금의 교회들의 문제를 회복 할 수 있는 동기를 주고 기독교사회복지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평신도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종교개혁직전과 당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주된 기독교사회복지 사역을 감당했던 평신도들에게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 당시의 기독교 사회복지사역은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사역들로 요약할 수 있다. 그것은 평신도들로 하여금 종합병원과 프렌치펀드와 같은 자선기관을 설립, 운영하게 한 것이다. 그 당시 종합병원에서의 재정 담당과 관리를 맡은 집사나 프렌치펀드에서의 관리집사와 같은 평신도가 없었다면 사회문제로 인해 칼빈의 기독교사회복지 개혁은 걸림돌에 부딪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제네바 시민들이 종합병원을 창립하면서 지역사회의 가난의 문제를 과감히 해결하고자 했기 때문에 제네바로 온 피난민들이 프렌치펀드 설립에 필요한 돈, 물건, 그리고 시간 등을 기꺼이 내놓았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분위기가 없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칼빈주의 개혁은 여러 나라로 전파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때 제네바에 종교적 박해를 피해서 망명 왔던 수 천 명의 프로테스탄트들이 머무르는 동안 개혁교회와 평신도들을 통해서 기독교사회복지 해택을 받아 그곳에서 받은 칼빈주의를 가지고 자신의 나라로 돌아감으로써 칼빈주의의 개혁사상이 확산되고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교회와 평신도간의 불가분리적 상호관계성이 당면한 사회문제를 개인적인차원에서의 자선의 범위를 넘어 공적인 영역으로 확장시키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피난민들이 제네바 시에 수용 될 수 있었으며 후에 그 피난민들이 고국으로 돌아가서 효과적인 선교사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연구적 함의를 통해서 독자들은 그 당시 교회와 평신도간의 사역적 통일성에 기초하여 보여준 기독교사회복지분야에서의 헌신과 사상에서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고 필자는 기독교사회복지의 중요한주제가 되고 있는 사역의 매체라는 점에서 그 논점을 찾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laity can be absolutely crucial in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One of the great accomplishments of the Reformation in places like Geneva was to inspire laymen to establish and then operate an institution like the General Hospital or to maintain and direct an institution like the French Fund. Without pious deacons of the Hospital, or French Fund, the social problem of the period could have simply overwhelmed the developing Reformed society. The administr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must be flexible and innovative. The natives of Geneva were prepared to make drastic adjustments to meet the problems of the local poor when they created the General Hospital. And the refugees to Geneva were prepared to make substantial personal sacrifices of money, goods and time to build the French Fund. Without this institutional underpinning, there would have been no Calvinist Reformation as we know it. That Reformation was absolutely dependent on the thousands of religious refugees who flocked to Geneva, then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ies with the Calvinist message. Without prior resolution of local social problems, the refugees could never have been admitted to the city. Without timely resolution of their own problems, the refugees could never have become effective missionaries to their home countries. I conclude that twenty first-century Christians can draw useful lessons from the dedication and imaginatio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displayed by sixteenth-century deacons.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laity can be absolutely crucial in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One of the great accomplishments of the Reformation in places like Geneva was to inspire laymen to establish and then operate ...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laity can be absolutely crucial in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One of the great accomplishments of the Reformation in places like Geneva was to inspire laymen to establish and then operate an institution like the General Hospital or to maintain and direct an institution like the French Fund. Without pious deacons of the Hospital, or French Fund, the social problem of the period could have simply overwhelmed the developing Reformed society. The administr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must be flexible and innovative. The natives of Geneva were prepared to make drastic adjustments to meet the problems of the local poor when they created the General Hospital. And the refugees to Geneva were prepared to make substantial personal sacrifices of money, goods and time to build the French Fund. Without this institutional underpinning, there would have been no Calvinist Reformation as we know it. That Reformation was absolutely dependent on the thousands of religious refugees who flocked to Geneva, then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ies with the Calvinist message. Without prior resolution of local social problems, the refugees could never have been admitted to the city. Without timely resolution of their own problems, the refugees could never have become effective missionaries to their home countries. I conclude that twenty first-century Christians can draw useful lessons from the dedication and imaginatio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displayed by sixteenth-century deac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기독교 사회복지의 가치와 교회의 사회적 책임
      • 1. 기독교 사회복지의 가치
      • 2. 교회의 사회적 책임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기독교 사회복지의 가치와 교회의 사회적 책임
      • 1. 기독교 사회복지의 가치
      • 2. 교회의 사회적 책임
      • III. 종교개혁이전의 평신도역할
      • 1. 사회적 구걸에 대한 교회역할
      • 2. 자선시설(Hospital)의 평신도역할
      • IV. 종교개혁시대의 평신도역할
      • 1. 종합병원 (General Hospital)의 평신도 역할
      • 2. 프렌치펀드(French Fund)의 평신도역할
      • 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tott, John R. W, "현대교회와 평신도 훈련" 엠마오출판사 1987

      2 이정서, "현대 사회의 동향과 사회 복지 선교의 과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13 (13): 235-262, 2010

      3 남정우, "현대 사회 선교의 대상 - 명목상 기독교인에 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13 (13): 47-76, 2010

      4 김경재, "한국문화와 기독교 : 비판과 과제, In 한국교회와 사회" 도서출판 나단 278-294, 1989

      5 홍주민, "한국교회의 디아코니아 실천을 위한 디아코니아학의 가능성 모색을 위해 - 독일의 디아코니아학의 형성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8) : 233-258, 2005

      6 고영민, "성서원어 대사전" 기독교문사 1973

      7 이정서, "기독교와 사회복지" 범론사 2004

      8 MacArthur, John,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 두란노서원 1986

      9 손의성, "구역을 중심으로 한 빈곤복지의 신학적 근거와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16) : 153-188, 2008

      10 Harris, Maria, "교육목회 커리큘럼"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1 Stott, John R. W, "현대교회와 평신도 훈련" 엠마오출판사 1987

      2 이정서, "현대 사회의 동향과 사회 복지 선교의 과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13 (13): 235-262, 2010

      3 남정우, "현대 사회 선교의 대상 - 명목상 기독교인에 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13 (13): 47-76, 2010

      4 김경재, "한국문화와 기독교 : 비판과 과제, In 한국교회와 사회" 도서출판 나단 278-294, 1989

      5 홍주민, "한국교회의 디아코니아 실천을 위한 디아코니아학의 가능성 모색을 위해 - 독일의 디아코니아학의 형성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8) : 233-258, 2005

      6 고영민, "성서원어 대사전" 기독교문사 1973

      7 이정서, "기독교와 사회복지" 범론사 2004

      8 MacArthur, John,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 두란노서원 1986

      9 손의성, "구역을 중심으로 한 빈곤복지의 신학적 근거와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16) : 153-188, 2008

      10 Harris, Maria, "교육목회 커리큘럼"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11 Graham, F, "건설적인 혁명가 칼빈-사회와 경제에 끼친 영향" 생명의 말씀사 1986

      12 김주한, "가난과 가난한 자들에 대한 구호정책-중세후기 기독교 사회복지정책-" 한국교회사학회 (21) : 63-94, 2007

      13 Kingdon, Robert M, "Transition and Revolution: problems and issues of European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istory, In Transition and Revolution: problems and issues of European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istory" Studies in Church History 109-240, 1975

      14 Kittel, Gerhard,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Ⅱ" Wm, B. Eerdmans 1964

      15 Kittel, Gerhard,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III" Wm, B. Eerdmans 1965

      16 Perrenoud, Alfred, "The Population of Geneva" 1979

      17 Cranfeild, C. E. B, "The Epistle to the Romans" T&T Clark. Ltd 1979

      18 Torrance, T. F, "Survie in Jesus Christ"

      19 Kingdon, Robert M, "Social Welfare in Calvin's Geneva" 76 : 40-76, 1971

      20 Bergier, Jean François, "Registres de las Compagine des pasteurs de Genève au temps de Calvin" Geneva 1964

      21 Runia, Klass, "Reformation Today" The banner of Truth Trust 1968

      22 Torrey, Ruben, A, "Poverty in the Bible" 4 (4): 11-34, 1991

      23 Bolton, Brenda M, "Paupertas Christi: Old Wealth and New Poverty in the Twelfth Century, In Renaissance and Renewal in Christian History" Blackwell 79-110, 1977

      24 Dayton, Edward R, "Mission and the Church. Perspectives on the World Christian Movement"

      25 Bascapè, Giacomo C, "L'assistenza e la beneficenza a Milano dall'salto medioevo alla fine della dinastia Storzsca" 7 : 390-420, 1957

      26 Neil, Gilbert, "Diment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rentice-Hall, Inc 1974

      27 McKee, Elsie A, "Diakonia in the Classic Reformed Tradition and Today"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apany 1989

      28 Moberg, David O, "Church as a Social Institution" Baker Book House 1984

      29 Kingdon, Robert M, "Calvinism and Social Welfare" 17 : 212-243, 1982

      30 Reid, J. K. S, "Calvin: Theological Treatises Draft Ecclesiatical Ordinaces, In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SCM Press LTD 52-68,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