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소아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비만예방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
본 연구는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소아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비만예방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만예방교육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차이가 어떻게 나는지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소아비만예방을 위해 향후 학교 비만예방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본 조사는 서울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일부 초등학교 영양(교)사 115명(서울시 30명, 경기도 55명, 전라북도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메일을 통해 배부하였다. 그 중 91명(서울시 26명, 경기도 40명, 전라북도 25명)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역별 비만예방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갭(Gap)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지역·고용형태·연령에 따라 영역별 비만예방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갭(Gap)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위해 IPA와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전체 평균에서 학생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4.0975이나 실제 실행하고 있는 수행도에 대해서는 2.725점으로, 갭(Gap)지수는 1.3725점이다.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갭(Gap)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영역에 따른 교육의 중요도-수행도 갭(Gap)차이는 교육시스템 부분이 1.960점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비만예방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시스템 마련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잘 수행되어 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지역에 따른 각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하위문항에서 경기도는 교과서(p<.05), 비만아동 식사량 조절(p<.01) 문항에서 차이가 났고, 전라북도에서는 정부의 인식(p<.05), 식습관·식생활 관련수업(p<.05), 패스트푸드교육(p<.05), 아침식사 중요성 교육(p<.05), 학교급식영양표시제 및 식품 영양표시제 읽는 법 교육(p<.05) 문항에서 차이가 나타나 각 지역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과 수행되고 있는 부분이 달라 비만예방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각각 다르게 시행해야 함을 알 수 있다.
4. 고용형태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영양(교)사의 인식(p<.01), 조리실습 수업(p<.05), 학교급식과 비만교육 연계(p<.05) 문항에서 영양사가 영양교사보다 높은 갭(Gap)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사는 영양교사에 비해 비만예방교육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수행을 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영양교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다.
5. 연령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20대에서 하위문항 중 영양교사의 인식(p<.05), 학교급식과 비만교육 연계(p<.05)문항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20대에서는 비만예방교육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IPA 격자도 분석 결과는 중점적으로 개선해야할 영역에 속하는 문항으로 학부모의 인식, 담임교사의 인식, 교육 장소 마련, 상담실 마련, 다양한 교수매체 마련, 교육프로그램의 흥미도, 비만아동 식사량 조절, 운동병행 교육, 심리적인 요인을 고려한 교육, 과학적/체계적 교육프로그램 구축, 교육을 위한 급식업무 감소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 속하는 문항들은 다른 문항들에 비해 높은 중요성을 띄는 반면 낮은 수행도를 나타내고 있어 중점적으로 고도의 집중화를 유지하여 개선토록 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격자도 분석에서 중점개선부분에 속한 부분들이 좀 더 수행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개선하여, 초등학생들의 비만을 예방하고 아이들이 건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비만예방교육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