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비만교육의 실태 및 중요도와 수행도의 분석(IPA)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chool Obes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6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 of obesity including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has grown consider ably in recent years. Being significantly overweight causes serious health problems, and when obesity starts in childhood, it often sets the child up for a lifetime of poor health. Therefore,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on childhood obesity will markedly prevent these problem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ssess the status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on educational perception, facilities, contents, and systems, which focused on the school obes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e-mailing the questionnaire to dietician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n=26), Kyunggi-Do(n=40), and Chollabuk-Do(n=25). The 91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ver.12)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programs.
      1. The student’s perception of importance for nutrition education was 4.0975 but the actual performance was 2.725. The gap index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1.3725.
      2. Education system had the highest gap between importance -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by 1.960, suggesting that prepar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important fo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in spite of the lowest performance.
      3. The regional gab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textbook, diet of overweight children in Kyunggi-D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government perception, dietary-habit & food-life education, fast-food education, education of breakfast importance, and education of school meal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to read food nutrition indication in Chollabuk-Do. Since there was different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each region, it is implied that different adjustmen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in different regions.
      4. As for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employment type, the dietitia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s than the nutrition teacher for cooking class and linking of school meal and diet edu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dietitian may conside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more important than school dietitian do, suggesting that school dietitian may perform more education than their perception.
      5. As for the ag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twent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s in perception of school dietitian and linking of school meal and diet educ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twen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relatively higher than older groups.
      6. The findings from IPA matrix analysis are in the followings. The items of the sections to be improved intensively are perception of parent and in-charge teacher, availability of the education place, preparation of consulting room, preparation of various teaching media, interest of an education program, meal adjustment of overweight children, combination of education and exercise, educ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reduction of meal service duty for education. The items in the above areas showed relatively higher importance but lower performance than the other items. Therefore, they need to be improved by maintaining high level of intensive concentration.
      Collectively, the matrix analysis suggested that intensive improvement area should be improved intensively for more performance. Therefore, more proactive efforts fo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are needed to prevent childhood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and help children to possess more health throughout entire life.
      번역하기

      The problem of obesity including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has grown consider ably in recent years. Being significantly overweight causes serious health problems, and when obesity starts in childhood, it often sets the child up for a l...

      The problem of obesity including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has grown consider ably in recent years. Being significantly overweight causes serious health problems, and when obesity starts in childhood, it often sets the child up for a lifetime of poor health. Therefore,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on childhood obesity will markedly prevent these problem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ssess the status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on educational perception, facilities, contents, and systems, which focused on the school obes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e-mailing the questionnaire to dietician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n=26), Kyunggi-Do(n=40), and Chollabuk-Do(n=25). The 91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ver.12)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programs.
      1. The student’s perception of importance for nutrition education was 4.0975 but the actual performance was 2.725. The gap index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1.3725.
      2. Education system had the highest gap between importance -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by 1.960, suggesting that prepar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important fo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in spite of the lowest performance.
      3. The regional gab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textbook, diet of overweight children in Kyunggi-D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government perception, dietary-habit & food-life education, fast-food education, education of breakfast importance, and education of school meal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to read food nutrition indication in Chollabuk-Do. Since there was different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each region, it is implied that different adjustmen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in different regions.
      4. As for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employment type, the dietitia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s than the nutrition teacher for cooking class and linking of school meal and diet edu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dietitian may conside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more important than school dietitian do, suggesting that school dietitian may perform more education than their perception.
      5. As for the ag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twent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s in perception of school dietitian and linking of school meal and diet educ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twen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relatively higher than older groups.
      6. The findings from IPA matrix analysis are in the followings. The items of the sections to be improved intensively are perception of parent and in-charge teacher, availability of the education place, preparation of consulting room, preparation of various teaching media, interest of an education program, meal adjustment of overweight children, combination of education and exercise, educ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reduction of meal service duty for education. The items in the above areas showed relatively higher importance but lower performance than the other items. Therefore, they need to be improved by maintaining high level of intensive concentration.
      Collectively, the matrix analysis suggested that intensive improvement area should be improved intensively for more performance. Therefore, more proactive efforts fo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are needed to prevent childhood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and help children to possess more health throughout entire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소아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비만예방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만예방교육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차이가 어떻게 나는지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소아비만예방을 위해 향후 학교 비만예방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본 조사는 서울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일부 초등학교 영양(교)사 115명(서울시 30명, 경기도 55명, 전라북도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메일을 통해 배부하였다. 그 중 91명(서울시 26명, 경기도 40명, 전라북도 25명)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역별 비만예방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갭(Gap)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지역·고용형태·연령에 따라 영역별 비만예방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갭(Gap)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위해 IPA와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전체 평균에서 학생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4.0975이나 실제 실행하고 있는 수행도에 대해서는 2.725점으로, 갭(Gap)지수는 1.3725점이다.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갭(Gap)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영역에 따른 교육의 중요도-수행도 갭(Gap)차이는 교육시스템 부분이 1.960점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비만예방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시스템 마련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잘 수행되어 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지역에 따른 각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하위문항에서 경기도는 교과서(p<.05), 비만아동 식사량 조절(p<.01) 문항에서 차이가 났고, 전라북도에서는 정부의 인식(p<.05), 식습관·식생활 관련수업(p<.05), 패스트푸드교육(p<.05), 아침식사 중요성 교육(p<.05), 학교급식영양표시제 및 식품 영양표시제 읽는 법 교육(p<.05) 문항에서 차이가 나타나 각 지역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과 수행되고 있는 부분이 달라 비만예방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각각 다르게 시행해야 함을 알 수 있다.
      4. 고용형태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영양(교)사의 인식(p<.01), 조리실습 수업(p<.05), 학교급식과 비만교육 연계(p<.05) 문항에서 영양사가 영양교사보다 높은 갭(Gap)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사는 영양교사에 비해 비만예방교육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수행을 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영양교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다.
      5. 연령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20대에서 하위문항 중 영양교사의 인식(p<.05), 학교급식과 비만교육 연계(p<.05)문항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20대에서는 비만예방교육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IPA 격자도 분석 결과는 중점적으로 개선해야할 영역에 속하는 문항으로 학부모의 인식, 담임교사의 인식, 교육 장소 마련, 상담실 마련, 다양한 교수매체 마련, 교육프로그램의 흥미도, 비만아동 식사량 조절, 운동병행 교육, 심리적인 요인을 고려한 교육, 과학적/체계적 교육프로그램 구축, 교육을 위한 급식업무 감소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 속하는 문항들은 다른 문항들에 비해 높은 중요성을 띄는 반면 낮은 수행도를 나타내고 있어 중점적으로 고도의 집중화를 유지하여 개선토록 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격자도 분석에서 중점개선부분에 속한 부분들이 좀 더 수행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개선하여, 초등학생들의 비만을 예방하고 아이들이 건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비만예방교육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소아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비만예방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

      본 연구는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소아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비만예방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만예방교육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차이가 어떻게 나는지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소아비만예방을 위해 향후 학교 비만예방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본 조사는 서울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일부 초등학교 영양(교)사 115명(서울시 30명, 경기도 55명, 전라북도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메일을 통해 배부하였다. 그 중 91명(서울시 26명, 경기도 40명, 전라북도 25명)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역별 비만예방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갭(Gap)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지역·고용형태·연령에 따라 영역별 비만예방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갭(Gap)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위해 IPA와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전체 평균에서 학생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4.0975이나 실제 실행하고 있는 수행도에 대해서는 2.725점으로, 갭(Gap)지수는 1.3725점이다.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갭(Gap)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영역에 따른 교육의 중요도-수행도 갭(Gap)차이는 교육시스템 부분이 1.960점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비만예방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시스템 마련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잘 수행되어 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지역에 따른 각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하위문항에서 경기도는 교과서(p<.05), 비만아동 식사량 조절(p<.01) 문항에서 차이가 났고, 전라북도에서는 정부의 인식(p<.05), 식습관·식생활 관련수업(p<.05), 패스트푸드교육(p<.05), 아침식사 중요성 교육(p<.05), 학교급식영양표시제 및 식품 영양표시제 읽는 법 교육(p<.05) 문항에서 차이가 나타나 각 지역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과 수행되고 있는 부분이 달라 비만예방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각각 다르게 시행해야 함을 알 수 있다.
      4. 고용형태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영양(교)사의 인식(p<.01), 조리실습 수업(p<.05), 학교급식과 비만교육 연계(p<.05) 문항에서 영양사가 영양교사보다 높은 갭(Gap)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사는 영양교사에 비해 비만예방교육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수행을 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영양교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다.
      5. 연령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20대에서 하위문항 중 영양교사의 인식(p<.05), 학교급식과 비만교육 연계(p<.05)문항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20대에서는 비만예방교육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IPA 격자도 분석 결과는 중점적으로 개선해야할 영역에 속하는 문항으로 학부모의 인식, 담임교사의 인식, 교육 장소 마련, 상담실 마련, 다양한 교수매체 마련, 교육프로그램의 흥미도, 비만아동 식사량 조절, 운동병행 교육, 심리적인 요인을 고려한 교육, 과학적/체계적 교육프로그램 구축, 교육을 위한 급식업무 감소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 속하는 문항들은 다른 문항들에 비해 높은 중요성을 띄는 반면 낮은 수행도를 나타내고 있어 중점적으로 고도의 집중화를 유지하여 개선토록 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격자도 분석에서 중점개선부분에 속한 부분들이 좀 더 수행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개선하여, 초등학생들의 비만을 예방하고 아이들이 건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비만예방교육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2
      • 3. 용어의 정의 = 3
      • Ⅱ. 이론적 배경 = 7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2
      • 3. 용어의 정의 = 3
      • Ⅱ. 이론적 배경 = 7
      • 1. 비만 = 7
      • 1) 비만의 정의 = 7
      • 2) 비만의 문제점 = 8
      • 3) 비만의 현황 = 10
      • 2. 외국의 학교비만교육현황 = 14
      • 1) 미국 = 14
      • 2) 영국 = 21
      • 3) 싱가포르 = 24
      • 4) 일본 = 27
      • 3. 우리나라의 학교비만교육현황 = 29
      • 1) 제주시 동초등학교 -‘비만치료를 위한 기초 체력반’ = 30
      • 2) 서울시 삼정초등학교 = 32
      • 3) 아산시 둔포초등학교 -‘튼튼 건강교실’ = 32
      • 4) 충남 소정초등학교 -‘날씬 가꾸미 건강교실’ = 33
      • 4. 외국과 우리나라의 학교 비만교육 비교 = 35
      • 5. 우리나라 학교 비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37
      •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40
      • 1. 조사대상 및 시기 = 40
      • 2. 조사내용 및 방법 = 41
      • 3. 통계처리 방법 = 42
      •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43
      •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43
      • 2. 영역별 비만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45
      • 1) 교육인식 = 45
      • 2) 교육시설 = 47
      • 3) 교육내용 = 48
      • 4) 교육시스템 = 51
      • 3. 지역에 따른 영역별 비만교육 중요도-수행도 분석 = 54
      • 4. 고용형태에 따른 영역별 비만교육 중요도-수행도 분석 = 62
      • 5. 연령에 따른 영역별 비만교육 중요도-수행도 분석 = 69
      • 6. IPA격자도 분석 = 76
      • 1) 교육인식부분 = 76
      • 2) 교육시설부분 = 79
      • 3) 교육내용부분 = 82
      • 4) 교육시스템부분 = 85
      • 5) 종합분석 = 88
      • Ⅴ. 결론 및 제언 = 92
      • 참고문헌 = 103
      • ABSTRACT = 111
      • 설문지 = 1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