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 사회의 교육격차의 양상과 그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정보화 사회는 정보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사회이다. 오늘날 정보와 지식에 대한 소유 여부는 개인의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62464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지리교육전공 , 2013. 8
2013
한국어
910.13751 판사항(22)
충청북도
xi, 245 p. : 삽도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주경식
심사위원 : 류제헌, 권정화, 강창숙, 서민철
참고문헌 : p.214-2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 사회의 교육격차의 양상과 그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정보화 사회는 정보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사회이다. 오늘날 정보와 지식에 대한 소유 여부는 개인의 가...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 사회의 교육격차의 양상과 그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정보화 사회는 정보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사회이다. 오늘날 정보와 지식에 대한 소유 여부는 개인의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 평가 기준이다. 그리고 정보의 접근 및 활용에 따라 정보격차가 발생하며 정보격차는 다시 소득, 직업, 교육 등의 차이를 가져오기 때문에 오늘날 정보 지위에 따른 정보격차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 지위가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은 특히 지식과 정보를 다루는 결정적인 장인만큼 정보 지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경기도는 인구, 산업, 도시 규모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31개의 시군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경기도 31개 시군을 통한 교육격차의 분석은 지역의 교육격차 연구의 공간적 분석 단위를 다양화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통계 자료, 설문자료,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심층 면담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 경기도의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 지위, 학업성취도 분포를 분석하여 경기도의 교육격차 및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상관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과 구조를 파악하였고, 그에 따라 경기도 시군을 유형화한 후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경기도의 종합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보 지위는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도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된 변수들의 분포와 정보 지위를 나타내는 변수들의 분포를 비교·분석한 결과 소프트웨어적 정보 지위 관련 변수들의 분포는 사회·경제적 지위 분포와 유사한 분포 패턴을 보였지만 하드웨어적 정보 지위 관련 변수들과의 분포는 일치하지 않거나 상반되는 패턴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경기도의 학업성취도 분포와 그 변화를 살펴본 결과 경기도의 학업성취도 격차는 크게 나타났으며 도시화 및 교외화 과정이 학업성취도 변화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파악되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의 영역별 분포를 확인한 결과 서울과 인접한 경기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각 영역의 1등급 학생 비율 분포가 집중되어 있어 경기 북부를 비롯한 외곽 지역과의 격차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신도시 개발 정책이 이루어졌던 성남, 용인, 화성의 학업성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외화에 따른 도시화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이 공간적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수능성적의 분포 변화를 분석하고 수능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수능성적과의 요인 분석 후 추출된 요인 점수를 활용하여 군집 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기도 각 시군이 1995년에는 5개의 집단, 2010년에는 8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경기도 각 시군의 지역 특성과 수능성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역별로 크게 변화함과 동시에 그 유형이 보다 더 다양해졌다고 해석되었다.
넷째, 정보 지위 중에서 정보의 질적 지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급 질적 학습 정보의 획득과 정보의 질적 활용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질적 정보 지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이 파악되었다.
다섯째, 정보 지위를 구성하는 변수들 중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변수들을 파악한 결과 아이팟터치의 소유, 해외웹 활용, 전업주부 변수가 학업성취도의 주요 변수들로 파악되었다. 특히 전업주부 변수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 요인은 모가 전업주부인 경우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 교육 활동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원활하다는 점도 있지만 여기서는 특히 모의 자녀에 대한 관리와 자녀에게 정보 제공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더 큰 의의를 두었다.
여섯째,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 지위, 학업성취도를 종합하여 경기도 31개 시군을 유형화한 결과 5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1유형은 가장 많은 지역들이 포함된 다양한 특성의 그룹이 형성되어 있는 도시 지역이다. 2유형은 안양과 광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조업의 발달과 도시 내 빈부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중도시 지역이다. 3유형은 남양주, 시흥, 구리, 의정부, 하남, 동두천이 포함되어 있으며 서울과의 근거리에 있는 침상도시의 성격이 강하다. 4유형은 고양, 부천, 수원, 용인으로 경기도 핵심 대도시 지역이다. 이 도시들은 경제적 지위에 비해 학업성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이 도시들의 경우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해당하는 정보 지위, 특히 질적 정보 지위가 부재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5유형은 과천, 성남, 가평, 양평, 연천으로 각각의 도시들이 독립적 특성을 나타내는 도시지역이다. 이 지역들은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 지위, 학업성취도의 특성이 다른 지역들과 공유할 수 없는 독특한 성질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경기도의 정보 지위를 파악한 결과 과천, 성남, 광명, 안양, 의왕, 군포는 경기도 내에서 정보 지위가 높은 지역이었으며 포천, 양주, 남양주, 시흥, 동두천, 구리 등은 정보 지위가 낮은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정보 지위가 높은 지역은 학업성취도가 높은 지역에 속하였고 정보 지위가 낮은 지역은 학업성취도도 낮은 지역으로 파악되어 정보 지위와 학업성취도와의 밀접한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여덟째, 정보 지위의 결정에 정보 네트워크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보 지위가 높은 지역과 정보 지위가 낮은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결과 정보 지위가 높은 지역은 정보 네트워크가 발달하였으며 정보 지위가 낮은 지역은 정보 네트워크가 발달하지 않았다. 그리고 정보 지위가 발달한 지역 내에서도 정보 네트워크 참여 유무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정보 네트워크가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