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합운동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4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for 12 weeks o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blood factors in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 for the study were 26 middle aged women with volunteer, over 42 years old, di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for 12 weeks o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blood factors in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 for the study were 26 middle aged women with volunteer, over 42 years old, divided into the exercise program group (n=13) and control group (n=13). All subjects were evaluated pre and post-test. Combined exercise was performed 60 minutes a day,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The test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two-way ANOVA, and the alpha level of p<.05 was set for all tests of significance. The result of combined exercise improved the left·right hand grip strength, curl ups, 20m PACER, Sit and reach, 10m shuttle run and Stand long jump, with prevented the decrease in body weight, BMI, SBP and increase in BMR at middle aged women. Combined exercise also have a positive effects in all the blood factors.
      Therefore, the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could be beneficial to improve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lood variables in middle aged wo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주, "중심비만 위험인자를 가진 중년여성의 신체활동 실천율,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342-352, 2018

      2 권유림,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이 노화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3 (43): 176-184, 2013

      3 최희연, "아쿠아로빅스 운동이 폐경기 중년 비만여성의 혈중지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45-1156, 2015

      4 석류,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운동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체육학회 56 (56): 203-214, 2017

      5 오수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5 (15): 91-100, 2013

      6 조완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9) : 645-658, 2010

      7 양승자,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중년여성들의 생활습관병 관련인자와 혈중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6 (26): 189-195, 2018

      8 허정은, "복합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조정선수들의 심폐기능 및 혈중 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31 (31): 125-133, 2013

      9 한기훈, "복합 운동이 비만 중년성인의 건강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68) : 523-537, 2017

      10 권길영, "내장지방의 임상적 의의" 대한가정의학회 28 (28): 739-747, 2007

      1 이병주, "중심비만 위험인자를 가진 중년여성의 신체활동 실천율,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342-352, 2018

      2 권유림,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이 노화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3 (43): 176-184, 2013

      3 최희연, "아쿠아로빅스 운동이 폐경기 중년 비만여성의 혈중지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45-1156, 2015

      4 석류,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운동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체육학회 56 (56): 203-214, 2017

      5 오수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5 (15): 91-100, 2013

      6 조완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9) : 645-658, 2010

      7 양승자,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중년여성들의 생활습관병 관련인자와 혈중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6 (26): 189-195, 2018

      8 허정은, "복합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조정선수들의 심폐기능 및 혈중 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31 (31): 125-133, 2013

      9 한기훈, "복합 운동이 비만 중년성인의 건강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68) : 523-537, 2017

      10 권길영, "내장지방의 임상적 의의" 대한가정의학회 28 (28): 739-747, 2007

      11 강익원, "규칙적인 걷기운동 참여가 중년여성의 정신 건강 상태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1 (11): 207-215, 2016

      12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민체력100"

      13 이상욱, "고혈압 환자에서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의 혈압개선효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7 (27): 105-112, 2010

      14 안숙희, "걷기운동이 폐경기 비만여성의 심혈관계 위험요소와 사회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7 (37): 519-528, 2007

      15 정현훈, "건강한 노화운동이 고령 여성의 신체조성 및 기초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1121-1130, 2016

      16 Statistics Korea, "Women’s life in statistics"

      17 Wilmore, I. H., "Training for Sport and Activity: The Physiological Basis of the Conditioning Process" Human Kinetics 1988

      18 Cornette, R, "The emotional impact of obesity on children" 5 : 136-141, 2008

      19 Carr M. C.,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syndrome with menopause" 88 (88): 2404-2411, 2003

      20 Jéssica S. Giolo., "The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Plus Com- bined Exercise on Lipid Levels, and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in Postmenopausal Women" 29 : 10-14, 2018

      21 Mercedes Garcia-Alvarez., "Stress hyperlactataemia: present understanding and controversy" 2 (2): 339-347, 2014

      22 Lehtonen, A., "Serum triglyceridesand cholesterol and serum high densitylipoprotein cholesterol in highly physical activemen" 204 : 111-114, 1978

      23 신소정,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가족응집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K시와 Y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11 (11): 137-143, 2018

      24 Tambalis, K., "Responses of blood lipids to aerobic, resistance, and combined aerobic with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vidence" 60 (60): 614-632, 2009

      25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repor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8

      26 Karlsson, J., "Musclemetabolism during Submaximal and Maximal Exercise inMan scand" 26 : 385-394, 1971

      27 Hwkins, M., "Insulin resistance and its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Lippicott Willians & Wilkins 2005

      28 Xanthakis, V., "Improving cardiovascular health in women & children around the world" 136 (136): 359-361, 2012

      29 Nybo, L., "High- intensity training versus traditional exercise interventions for promoting health" 42 : 1951-1958, 2010

      30 ACSM, "Guidlines for graded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2015

      31 ACSM., "Guidlines for graded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Led & Febiger 1995

      32 박은아, "Experience of Late-Middle-Aged Women who Resid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Becoming Psychologically Mature Women" 질병관리본부 6 (6): 159-163, 2015

      33 Kokkinos PF., "Exercise as hypertension therapy" 19 (19): 507-516, 2001

      34 Synder, P. J., "Effects of testosterone treatment on bonemineral density in men over 65" 75 : 1092-1098, 2003

      35 Pusparini.,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in postmenopausal women: A commun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2 : 357-364, 2013

      36 Mazzeo, R. S., "Disposal of blood [1-13C]lactate in humans duringrest and exercise" 60 (60): 232-241, 1986

      37 Lee, K. N., "Clinical Laboratory Tests" Medical Cultural History 2003

      38 Borg, G., "Borg's perceived exertion and pain scales" Human Kinetics 1998

      39 Hosseini SV., "Adolescent girl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 of exercise habit barriers" 1 : 148-157, 2012

      40 ACSM,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testing and prescrip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41 Choi, K. O., "A study on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6 (6): 82-95, 2000

      42 남윤서, "12주간의 탄력밴드 저항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체력,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1205-1216, 2016

      43 김예영,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트레이닝과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여성 노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복부지방, 아디포카인 및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2

      44 정주하, "12주간 지속적, 간헐적 운동형태가 중년여성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3 (43): 9-17, 2018

      45 김재호, "12주간 복합운동이 폐경 중년여성의 심혈관 위험 인자와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및 Vitamin D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 12 (12): 411-421, 2017

      46 김해열, "12주간 복합운동과 영양교육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간기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7 (27): 817-825, 2017

      47 김종규,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혈압, 레지스틴 및 혈관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8 (8): 129-14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